한국   대만   중국   일본 
忠州 靑龍四肢 보각국사탑 앞 獅子 石燈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忠州 靑龍四肢 보각국사탑 앞 獅子 石燈

忠州 靑龍四肢 보각국사탑 앞 獅子 石燈
(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 앞 獅子 石燈)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寶物
種目 寶物 第656號
( 1979年 5月 22日 指定)
數量 1期
時代 朝鮮時代
所有 國有
位置
충주 청룡사지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충주 청룡사지
忠州 靑龍四肢
忠州 靑龍四肢(大韓民國)
住所 忠淸北道 忠州市 소태면 오량리 산32-2번지
座標 北緯 37° 7′ 47″ 東京 127° 50′ 21″  /  北緯 37.12972° 東經 127.83917°  / 37.12972; 127.83917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靑龍寺石燈
(靑龍寺石燈)
대한민국 忠淸北道 有形文化財 (解止)
種目 有形文化財 第32號
( 1976年 12月 21日 指定)
( 1979年 5月 22日 解止)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忠州 靑龍四肢 보각국사탑 앞 獅子 石燈 (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 앞 獅子 石燈)은 忠淸北道   忠州市   소태면 청룡사지에 있는, 朝鮮時代 石燈 이다. 1979年 5月 22日 大韓民國의 寶物 第656號로 指定되었다.

槪要 [ 編輯 ]

靑龍寺는 언제 創建되었는지 뚜렷하게 알 수 없고, 現在 절의 옛모습을 斟酌해 볼 方法이 없다. 옛터에는 石燈과 함께 普覺國師의 舍利塔과 塔碑만이 서 있을 뿐이며, 現在의 靑龍寺는 옛터의 北쪽에 자리잡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石燈은 普覺國師의 冥福을 빌어 주기 위해 그의 舍利塔 앞에 세워진 것으로, 불을 밝혀두는 火舍石(火舍石)을 中心으로 아래에는 이를 받쳐주는 3段의 받침을 두고, 慰勞는 지붕돌과 머리裝飾을 얹었다.

3段의 받침 가운데 아래받침돌은 앞을 向해 엎드려 있는 獅子를 彫刻하였는데, 이 때문에 獅子石燈이라 부른다. 獅子의 등에 얹어진 가운데받침은 기둥模樣으로 4脚의 낮은 돌을 두었다. 火舍石은 4角으로, 네 모서리를 둥근기둥처럼 彫刻하였고, 앞뒤로 2個의 窓을 내었다. 지붕돌은 네 귀퉁이마다 자그마한 꽃을 突出되게 彫刻해 놓았으며, 낙수면의 傾斜가 急하고 네 모서리線이 두터워 高麗時代의 지붕돌 樣式을 잘 보여준다.

절터에서 席等을 舍利塔, 塔碑와 나란히 세운 것은 朝鮮時代의 配置方式이다. 塔碑에 새겨진 記錄으로 미루어 이 石燈은 朝鮮 傳記인 太祖 1年(1392)부터 그 이듬해인 1393年에 걸쳐 세워진 것으로 推測된다.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