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靑하군 (中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靑하군 (中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靑하군 (淸河郡), 감陵軍 (甘陵郡)은 中國 의 옛 行政 區域 이다. 郡國制 施行 市의 王國令으로서는 淸夏國 (淸河國), 감陵國 (甘陵國)이라 한다.

傳한 [ 編輯 ]

진희의 난(기원전 197年) 當時 上山軍과 함께 淸夏란 地名이 言及되므로, 이때에는 이미 있었으며 告祭가 조나라 의 지軍人 거록群 을 分割해 趙나라의 지軍으로서 設置한 것으로 推定된다.

傳한 無題 가 13株를 두면서 寄主 에 屬했다. [1] 經濟 3年(紀元前 153年) 조나라가 吳楚七國의 亂에 加擔하자 回收돼 漢나라에 屬했다. 傳한 經濟 가 經濟 中3年( 紀元前 147年 )에 아들 淸夏哀王 儒僧 을 봉하면서 淸夏國이 되었고, 애왕이 在位 12年 만에 아들 없이 죽으면서 淸夏軍이 되었다. [2] [3] [4] 無題 時代인 遠征 3年( 紀元前 114年 )에 臺나라를 廢하면서 大王 留意 (淸夏康王)를 이봉하여 다시 淸夏局을 세웠다. 先制 時代인 지절 4年( 紀元前 66年 )에 청하王 幼年 이 女同生과 私通해 幼年의 王位를 빼앗고 淸夏國을 弊害 다시 淸夏軍으로 돌렸다. [2] [5] 草原 2年( 紀元前 47年 )에 先制가 아들 中産哀王 유경 을 봉하면서 다시 淸夏國이 되었고, 3年( 紀元前 46年 )에 유경이 中産王으로 옮겨 봉해지면서 다시 淸夏軍이 되었다. [6]

淸夏康王 有意義 아들들이 推恩令에 따라 包領(蒲領), 南曲(南曲), 隨試(修市), 同窓(東昌), 新鄕(新鄕), 수고(脩故), 東洋(東陽)의 侯爵으로 봉해지면서 淸夏國의 版圖는 줄어들었는데, 이 中 東洋, 新鄕, 수고는 다시 淸夏君의 管轄에 屬했으나 [1] 수고현은 以後의 人口調査에서 사라졌고 [1] 隨試는 渤海郡의 所屬으로 넘어갔다. [7] 平帝 時期에 施行된 遠視 2年( 2年 )의 人口調査에 따르면 虎口 20萬 1774號, 人口 87萬 5422名이 있었다. 14縣을 두었다. [1]

賢明 漢字 大略的 位置 備考
靑陽縣 淸陽縣 싱타이視 稱허현 南洞 淸夏國의 서울이며, 淸夏君의 치소다. 靑陽後 王흡 의 後國이 있었다.
동무聖賢 東武城縣 헝수이時 區廳縣
逆幕玄 繹幕縣 더저우視 핑위안縣 北西
영현 靈縣 랴五淸視 가오湯縣 下手 의 支流 名毒하(鳴犢河)가 나와 東北에서 曺(?)에 이르러 鈍氏下(屯氏河)로 들어간다.
적현 ?縣 랴五淸視 린칭視 北東
유현 ?縣 더저우視 핑위안縣 南西
牌具現 貝丘縣 랴五淸視 南 徒尉가 다스린다.
신성현 信成縣 싱타이視 稱허현 北西 掌匣下(張甲河)가 둔씨별하(屯氏別河)에서 나와 東北에서 曺(?)에 이르러 長壽(?水)로 들어간다.
私製縣 [8] 題縣 헝수이時 짜오彰顯 南西
東洋縣 東陽縣 더저우視 우청縣 北東 淸夏康王의 아들 兪泓 의 侯國이다.
新響絃 信鄕縣 더저우視 샤陳玄 淸夏康王의 아들 遊標 의 侯國이다.
搖絃 ?縣 싱타이視 亂宮視 南洞
조강현 棗彊縣 헝수이時 짜오彰顯 南洞
複養賢 復陽縣 헝수이時 區廳縣 서

[1]

[ 編輯 ]

君의 이름을 坪下(平河)로 고치고, 다음 玄의 이름을 고쳤다.

傳한
영(靈) 파(播)
敵(?) 敵治(?治)
有(?) 先六(善陸)
東洋(東陽) 徐陵(胥陵)
福羊(復陽) 惡世(樂歲)

後漢 [ 編輯 ]

7絃, 12萬 3964號, 76萬 418名을 다스렸다. [9] 乾草 7年( 82年 ) 6月 甲寅일에 太子 유경이 廢位되고 청하王으로 봉해지면서 王國이 되었다. [10] 乾花 元年( 147年 ), 청하王 遺産이 反逆에 連累되어 王位에서 쫓겨나면서 淸夏局은 廢止되었다. 乾花 2年, 이름을 감陵(甘陵)으로 고치고 安平王의 아들 琉璃(劉理)를 王으로 봉했다. [11] 建安 11年( 205年 ), 감릉국을 弊害 감陵軍으로 했다. [12] [9]

後漢 末 元素 寄主 를 掌握하면서 袁紹의 勢力圈에 編入되었는데, 元素事後 曹操 원담 을 討伐할 때 主要 占領地中 하나가 되었다.

賢明 漢字 備考
감陵縣 甘陵縣 안提示機 적현(?縣)에서 只今의 이름으로 改名되었다. 曹操가 원담을 攻擊할 때 을 包圍했을 때 원談이 本縣과 안평국 , 渤海郡 , 下間群 을 占領하고 中産群 의 原狀을 攻擊했다.
牌具現 貝丘縣
동무聖賢 東武城縣 曹操의 模寫中 한名인 최염 의 出生地이다.
유현 ?縣
영현 靈縣 97年 ( 後漢 話題 永遠 9年) 復舊되었다.
逆幕玄 繹幕縣
鑛泉縣 廣川縣 元來 新島郡의 屬縣이었다. 極盡性(棘津城)이 있다.
新響絃 信鄕縣 後漢 順帝 때 안평현(安平縣)으로 改名되었고 濁軍 을 거쳐 안평국 으로 移管되었다.

위진 [ 編輯 ]

226年 ( 曺偉 問題 黃초 7年) 8月 12日 祖妣의 아들 造景 이 청하王으로 任命되면서 淸夏國으로 昇格되었다. 6絃 22,000號를 거느렸다. [13]

賢明 漢字 大略的 位置 備考
淸夏縣 淸河縣 랴오청 時 린칭 時 北東 서진대에 감릉현에서 只今의 이름으로 改名되었다.
동무聖賢 東武城縣 헝수이 時 區廳 現 男 西半둔 一帶
逆幕後國 繹幕候國 더저우視 핑위안縣 北西
牌具現 貝丘縣 랴오청 時 린칭 時 남
영현 靈縣 랴五淸視 가오湯縣
유현 ?縣 더저우視 핑위안縣 南西

北緯 [ 編輯 ]

401年 ( 北緯 道武帝 천흥 4年) 尙州 가 新設됨에 따라 위軍 , 광평군 , 楊平郡 , 급군 , 돈丘君 과 함께 喪主로 내속되었다. 4絃 26,033號 123,670名을 거느렸다. [14]

賢明 漢字 大略的 位置 備考
淸夏縣 淸河縣 랴오청 時 샤眞 現 下城(河城)李 現境內에 있었다.
牌具現 貝丘縣 랴오청 時 린칭 時 東南 代身張(大辛庄)一代
後聖賢 候城縣 더저우 市 우청 現 洋裝(楊庄)一代? 489年 ( 북위 孝文帝 泰和 13年) 후성(候城)에서 新設되었다.
茂盛縣 武城縣 變化없음 동무聖賢에서 只今의 이름으로 改名되었다.

北周, 수 [ 編輯 ]

北周 에서 敗走(貝州) 가 新設되었을 때 淸夏軍이 本主의 속軍이 되었다. 14絃 36,544號를 거느렸다. [15]

賢明 漢字 大略的 位置 備考
淸夏縣 淸河縣 싱타이 時 웨이 縣 嗅官眞(侯??) 개황 初期 淸夏軍이 廢止되면서 茂盛縣(武城縣)에서 只今의 이름으로 改名되었고 새로운 무성현을 따로 新設했다. 596年 ( 수 問題 개황 16年) 하진현(夏津縣)李 新設되었다가 大業 初期 廢止되었고 淸夏軍이 設置되었다.
靑陽縣 淸陽縣 랴오청 時 린칭 時 松林眞(松林鎭)一代 北齊 때 後聖賢이 淸夏縣에 統廢合되었고 靑下弦이 牌具現에 統廢合되었다. 586年 (數 文帝 개황 6年) 靑陽縣으로 改名되었다.
茂盛縣 武城縣 더저우 市 우청 現 노권둔진(??屯?)일대 槪況初期 상성현(上城縣)에서 只今의 이름으로 改名되었다.
逆정현 曆亭縣 더저우 市 우청 現 桐 596年 茂盛縣에서 分離新設되었다.
장남현 ?南縣 헝수이 時 區廳 現 고성진(故城鎭) 586年 東洋縣(東陽縣)으로 新設되었으나 598年 只今의 이름으로 改名되었다. 北魏때 만들어진 索虜性(索盧城)李 現境內에 있었는데, 北齊때 조강현(棗强縣)으로 所屬이 바뀌었다가 只今에 이르렀다.
유현 ?縣 헝수이 時 샤眞 現 596年 復舊되었다.
임청현 臨淸縣 싱타이 時 린示現 北齊때 廢止되었다가 586年 復舊되었다. 또한 596年 社具現(沙丘縣)李 新設되었으나 大業初 廢止되었다.
晴天縣 淸泉縣 싱타이 時 린시 現 東南 年漸進一帶 北齊때 천동현(千童縣)李 編入되었다.
청평縣 淸平縣 랴오청 時 린칭 時 東南 강장진西쪽一帶 586年 牌具現으로 新設되었으나 596年에 只今의 이름으로 改名되었다.
高당현 高唐縣 더저우 市 街五湯 現 北魏때 藍靑河君에 屬했으나 北齊때 本運이 廢止되면서 淸夏君의 屬縣이 되었다.
경성현 經城縣 싱타이 時 웨이 縣 競進(??) 北齊때 廢止되었다가 586年 復舊되었다. 596年 부성현(府城縣)李 新設되었다가 大業初期 廢止되었다.
種聖賢 宗城縣 싱타이 時 웨이 縣 桐 619年 光宗縣(廣宗縣)에서 只今의 이름으로 改名되었다.
박평현 博平縣 랴오청 時 츠핑 現 王菜果村(王菜瓜村) 586年 영현(靈縣)李 分離伏치되었다가 大業初 廢止되었다.
治平縣 ?平縣 랴오청 時 츠핑 現 桐 北齊때 廢止되었다가 개황초에 復舊되었다.


各州 [ 編輯 ]

  1. 班固: 《漢書》 卷28床 地理誌第8床
  2. 위와 같음, 卷14 諸侯王標題2
  3. 위와 같음, 卷5 經濟機制5
  4. 위와 같음, 卷53 警十三王前提23
  5. 위와 같음, 卷47 문삼王前提17
  6. 위와 같음, 卷80 船員六王前提50
  7. 위와 같음, 卷15하 王子後票下劑3
  8. 寒暑의 原文 글字는 ??(艸+心).
  9. 사마표: 《屬한서》 地理誌 第20
  10. 범엽: 《 後漢書 》 卷3 肅宗驍將提起第3
  11. 위와 같음, 卷7 孝丸劑器第7
  12. 위와 같음, 卷9 孝헌提起第9
  13. 《陳書》14卷 지 第4 地理誌 上 冀州 淸夏國 [1]
  14. 《魏書》106卷 上 第 5 紙型紙 2上 使嗾 靑하군 [2]
  15. 《水西》29卷 지 제30 地理誌 中 冀州 靑하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