珍島의 珍島개

珍島의 珍島개
(珍島의 珍島犬)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天然記念物
種目 天然記念物 第53號
( 1962年 12月 3日 指定)
數量 .
位置
珍島 (大韓民國)
住所 全羅南道 珍島郡 진도읍 進度本度
座標 北緯 34° 26′ 37″ 東經 126° 11′ 42″  /  北緯 34.44361° 東京 126.19500°  / 34.44361; 126.19500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珍島의 珍島개 (珍島의 珍島犬)는 全羅南道 珍島郡 一帶에서 옛날부터 길러오고 있는 特産의 개 品種이다. 1962年 12月 3日 大韓民國의 天然記念物 第53號로 指定되었다.

槪要 [ 編輯 ]

全羅南道 珍島郡 一帶에서 우리 先祖들이 옛날부터 길러오고 있는 우리나라 特産의 개 品種이다. 珍島개의 키는 수컷이 50∼55cm, 암컷은 45∼50cm이며 머리와 얼굴은 正面에서 보아 8角形을 나타내고 야무진 턱을 가졌으며 全體的 引上은 溫順하다. 귀는 앞으로 若干 기울어져 빳빳하게 서 있고, 눈은 三角形이며 짙은 黃色이나 灰色을 띤다. 코는 거의 검은色이고 淡紅色을 띤 것도 있다. 珍島개는 性格이 大膽하고 嗅覺과 聽覺이 아주 銳敏하여 사냥에 適合하다. 또한 충직하고 怜悧하며, 살던 곳에서 멀리 다른 곳으로 갔다가도 살던 곳으로 되돌아오는 性質이 뛰어나 愛玩用이나 집지키기에 적합한 個이다.

家畜으로 기르게 된 由來에는 三國時代에 南宋(南宋)의 貿易船이 珍島 近海에서 遭難을 當했을 때 들어왔다는 설, 高麗時代 三別抄의 亂 때 蒙古軍 軍犬이 남아 始祖가 되었다는 說, 朝鮮 前期 珍島郡의 軍馬牧場을 지키기 위해 蒙古에서 들여왔다는 說 等이 있다. 明確한 歷史記錄이 남아 있지 않아 確實하게 由來를 斷定할 수 없으나, 石器時代 사람들이 기르던 개의 種類가 傳해 내려오면서 陸地와 떨어진 珍島에서 純粹한 血統을 그대로 保存해 온 것으로 보인다. 朝鮮時代 壬辰倭亂(1592) 때 珍島의 모든 개들이 一齊히 한 方向을 向하여 짖으며 尋常치 않은 態度를 보였는데, 그 다음날 數 많은 倭軍 배들이 그 方向에서 나타났다는 이야기도 傳해진다.

珍島의 珍島개는 現在 <韓國珍島個保存育成法>과 <文化財保護法>에 依하여 法的인 保護를 받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固有 品種으로서 學術的 價値가 크므로 天然記念物로 指定·保護하고 있다.

한글맞춤法 [ 編輯 ]

한글맞춤法表記案을 따르면 ‘珍島개’가 맞는 表記지만 文化財 指定 公式 名稱은 '珍島개'이다. [1]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1. 天然記念物 第540號
  2. 天然記念物 第368號
  3. 天然記念物 第53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