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中道 言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中道 言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中道 言約(Half-Way Covenant)은 1660年 臺에 뉴잉글랜드 에 있는 會衆 敎會 에서 敎人의 會員券을 둘러싼 한 形態이다.

그 當時 淸敎徒 傳統에 依하여 敎會의 會員의 資格에는 반드시 衆生의 體驗이 있어야 했으며, 이 體驗을 한 뒤에야 만이 洗禮를 받을 수 있었다. 植民地 2世代에 들어 漸漸 더 衆生의 體驗을 한 者들의 數字가 줄자, 洗禮敎人의 數字가 주는 일이 發生했다. 이에 따라서, 會心하지 않은 父母의 子女들이 洗禮를 받도록 容認하자는 것이 中道 言約이다. 이것을 처음 提案한 것은 리처드 매더 였다. 3世代인 孫子世代가 萬一 父母가 條件이 充足되면 아이들이 洗禮를 받도록 하자는 것이었다. 이 制度에 對하여 敎會는 兩分되었고, 그 結果 다양한 形態의 豫期치 않은 結果가 發生하였다. 몇 個의 敎會(입스위치, 켐스포드)는 도체스터敎會를 除外하고 이 制度를 받아들였지만, 바람직하다고 여기지 않았다.

첫째. 中道言約을 採擇하자, 漸漸 더 信仰을 告白하기만 하면 敎會 會員券을 주게 되는 形式的인 會員券 附與가 增加하게 되었다.

둘째. 洗禮를 주는 데에 있어서 衆生의 體驗이 없어도 주게 되자, 衆生이 없는 敎人들이 增加하게 되었다.

세째. 이러한 結果로 다시 初期의 信仰으로 돌아가야 된다는 復興의 熱望이 싹터서 대각성運動의 밑바탕이 되었다.

內容 [1] [ 編輯 ]

中道言約의 內容은 두가지로 構成되어 있다.

첫째. 敎會들이 歷史的인 信仰을 따라야 하며, 따르게 되면, 언젠가는 그것이 그들의 救援하는 믿음이 될 것이라는 所望을 가져야 한다.

둘째. 外形的인 順應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살아야 한다.


  1. Stout, Harry S. (2012). 〈3. Sion's Out-Casts〉. 《The New England soul : preaching and religious culture in colonial New England》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59쪽. ISBN   978-0-19-99213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