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정신철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정신철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前任
최기산 (보니파시오)
第3代 天主敎 仁川敎區 敎區長
2016年 12月 27日 -

정신철 (鄭信喆, 1964年 10月 22日 ~ )은 天主敎 仁川敎區 第3代 敎區長 主敎 이다. 洗禮名은 요한 洗禮者 이다. 1993年 司祭 敍品을 받은 뒤 2010年 主敎 敍品을 받고 仁川敎區의 補佐 主敎에 任命돼 主敎 敍品을 받고 主敎會의 海外宣敎·僑胞司牧委員會 委員長, 敎育委員會 委員長 等으로 活動했다.

略歷 [ 編輯 ]

정신철은 1964年 10月 仁川廣域市 송림동 에서 出生하였으며, 信仰心이 透徹한 父母 밑에서 자라 어린 時節 複寫를 서며 本堂 神父들과 가깝게 지내면서 司祭職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다. 特히 父親 정종심(바오로)은 아들로부터 ‘大修道院長’이란 別名으로 불릴 程度로 祈禱 生活을 忠實히 했다고 하며, 母親 박순정(도미나)은 仁川 地域 福音化에 獻身한 證據者 박순집(베드로, 1830~1911)의 後孫이다. 이들 夫婦는 成人의 이름을 本따 두 아들의 이름을 지었다. 첫째 아들 鄭大哲에겐 유대철 베드로 聖人의 이름과 洗禮名을, 둘째는 정신철(가롤로) 聖人의 이름을 붙여줬다. 1993年 司祭品을 받은 精神鐵은 삼정동聖堂 補佐 神父를 거쳐 2002年 파리 가톨릭 大學校 에서 實踐神學人 敎理敎育學으로 博士學位를 받았다. 韓國 敎會 最初의 敎理敎育學 博士로 記錄돼 있다. 2002年 역곡2洞聖堂 補佐 神父를 거친 뒤 韓國天主敎主敎會의 敎理敎育委員會 委員으로서 主敎會議가 發刊하는 靑年敎理書 1~4卷 著述에 參與하기도 했다. [1]

2010年 4月 29日 敎皇 베네딕토 16歲 에 依해 天主敎 仁川敎區의 補佐 主敎와 쿠이쿨 名義主敎로 任命되어, 같은 해 6月 16日 午後 2時 仁川 三山월드體育館 에서 主敎品을 받았다. 2016年 5月 30日 仁川敎區長 최기산 主敎가 갑작스럽게 선종해 敎區長이 空席이 되자, 仁川敎區 참社會는 6月 3日 情 主敎를 敎區長 職務 代行으로 選出했다. 6月 4日 鄭 主敎는 敎皇廳에 依해 敎區長 署理로 任命되었으며, 11月 10日 第3代 仁川敎區長에 任命됐다. 정신철의 敎區長 着座 미사는 12月 27日 仁川 답동성당에서 擧行됐다.

文章 [ 編輯 ]

情 主敎의 文章은 主敎의 傳統的 象徵인 牧者의 帽子와 中央의 지팡이, 信仰의 守護를 象徵하는 防牌로 表現했다.

防牌 上段의 빨간色은 그리스도의 受難과 죽음, 聖靈의 恩師와 그리스도를 따르는 殉敎的 熱情을 象徵한다. 흰 비둘기는 地上을 向해 힘차게 降臨해 참 平和와 救援을 주는 聖靈을 形象化했다. 防牌 오른便 綠色 바탕의 聖體와 말씀의 食卓은 하느님 사랑을 具體的으로 體驗하는 靈的糧食을 의미한다. 成體가 V字 形態로 쪼개진 것은 '내가 世上을 이겼다'(요한 16,33)고 한 예수 그리스도에 對한 行動하는 믿음을 力動的으로 表現한 것이다. 왼便의 津한 藍色 바탕에 빛나는 별은 仁川敎區 守護聖人인 바다의 별 聖母 마리아를 象徵한다.

情 主敎의 司牧標語는 요한 1서 1張 16節의 'Deus caritas est'(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라는 聖經 句節로, 하느님의 끝없는 普遍的 사랑을 敎區民들과 나누고 온 世上에 傳播하겠다는 意味를 담고 있다. 情 主敎는 “主敎 任命 消息을 듣는 瞬間 이 말씀이 떠올랐고, 聖體朝拜를 하는 내내 이 말씀이 머릿속을 맴돌았다”고 밝혔다. [2]

各州 [ 編輯 ]

  1. 이힘 記者 (2010年 5月 9日). “[仁川敎區 정신철 補佐主敎 任命 이모저모” . 《가톨릭평화신문》.  
  2. 서영호 記者 (2010年 5月 30日). “仁川敎區 정신철 補佐主敎 文章ㆍ社目標語 確定” . 《가톨릭평화신문》.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