自己生産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自己生産의 例로 들수 있는 3D로 漂沙된 살아있는 細胞의 類似 分裂

自己生産 或은 自家生産 , 自動生産 (autopoiesis, ( 現代 그리스語 : α?τo- (auto-) 自家 現代 그리스語 : πο?ησι? (poiesis) 生産, 生産品 )銀 自己 自身을 再生産하고 維持해가는 體系를 이른다. 이 槪念은 1972年 칠레의 生物學者인 움베르토 마투라나 와 프란시스코 바렐라가 살아있는 細胞 들의 生化學的 自己 維持를 基盤으로 만든 用語이다. 自家生産 理論은 體系理論 社會學 等地에 適用되었다. 움베르토 마투라나와 프란시스코 바렐라는 1960年代와 1970年代에 ‘살아 있는 것’을 說明하는 理論 作業에 沒頭하였는데, 그들은 生命力과 같이 더 以上 說明이 必要 없는 槪念에서 解答을 찾지도 않고, 運動, 生殖, 進化와 같은 生命 槪念의 屬性을 列擧하는 것으로 滿足하지도 않았다. 그들은 作業의 結果를 Autopoiesis라는 槪念에 含蓄하는데, 이 말은 그리스어 autos(=自己)와 poiein(=製作)의 合成語로 自身(의) 生成 或은 自身(의) 算出 等의 뜻을 가진다. [1]

自己生産이란 單語는 스스로 무(無)에서 무엇을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이 槪念은 體系가 自身의 固有한 力動性으로부터 體系의 存續을 維持한다는 것을 敍述하기 위해 使用된다. 이러한 造作的 閉鎖性과 力動的 開放性은 生物學的인 自動生産 體系의 特徵이라고 볼 수 있다. [2] 또한 自己生産 體系는 閉鎖的인 同時에 開放的인 體系이다. 自己生産 體系는 構成要素와 作動의 側面에서는 閉鎖 體系이지만, 物質과 에너지의 側面에서는 開放 體系로 볼 수 있다. [1]

自己生産의 核心的 項目은 다음의 세 가지로 整理할 수 있다.

1, 自己生産 體系는 自己構成 要素로부터 自己構成 要素를 再生産한다.
2, 自己生産 體系는 스스로 環境과 境界를 긋는다.
3, 自己生産 體系는 自己構成 要素들 사이의 相互作用을 통해 自身의 狀態를 變形해나가며(자기준거), 다음 段階에서 變形한 地點이나 狀態로 進入한다(재투입).
[1]

自己生産이란 하나의 體系가 體系 固有의 作動을 오로지 體系 固有의 作動들의 連結網을 통해서만 生産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리고 이 體系 固有의 連結網은 다시 作動을 통해 生産된다. 한便으로 自己生産은 作動上의 閉鎖性 테제를 뜻한다. 卽 體系는 自己스스로를 生産한다. 體系는 마치 어떤 컴퓨터가 自身의 프로그램을 스스로 開發할 수 있는 것처럼 體系 固有의 構造를 生産할 뿐 아니라 作動 次元에서는 自律的이기도 하다. 體系는 어떠한 作動도 環境으로부터 輸入할 수 없다. 이러한 作動上의 閉鎖性은 但只 다음과 같은 言明을 다르게 表現한 것 뿐이다. 卽 하나의 自己生産的 體系는 이 體系가 作動을 生産하기 위해 必要로 하는 作動을 自身의 交遊한 作動의 連結網을 통해 生産한다 [3] 고 볼 수 있다.

參考 文獻 [ 編輯 ]

  1. 이철. “累萬의 自己生産 體系 槪念과 그 社會理論私的 意義”. 《談論201》.  
  2. 이남복. “累萬의 自動生産體系理論”. 《한국사회학회 社會學大會 論文集》.  
  3. 니클라스 累萬 . 《體系理論 入門》. 새물결 出版社. 142쪽. ISBN   9788955593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