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二重拘束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二重拘束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二重拘束(double bind) 或은 二重메시지(double message) 는 하나가 다른 하나를 否定하는 둘 以上의 矛盾된 메시지를 個人이나 集團이 받게 되는 意思疏通上의 딜레마를 말한다. 몇몇 狀況에서 特히 家族이나 關係 속에서, 이는 情緖的으로 苦痛을 줄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메시지에 反應하는 것이 다른 메시지에는 反應하지 못하는 或은 그 驛도 可能한 狀況을 만들기에, 個人은 反應 與否에 相關없이 틀리게 된다. 二重拘束은 內在하는 딜레마를 直面할 수 없어서 解決할 수도 狀況으로부터 빠져나갈 수도 없을 때 일어난다. 二重拘束理論(Double bind theory)은 1950年代 그레고리 베이트슨 (Gregory Bateson)과 그 同僚들이 처음 考案하였다. 二重拘束은 열린 强制力(open coercion) 없이 統制 形態로 活用된다. 混同(confusion)의 使用은 應하기도 抵抗하기도 어렵게 한다. 二重拘束은 메시지의 順序에 따른 觀念化(abstraction)의 差異, 이 메시지들이 狀況 脈絡 속에서 直說的으로(explicitly) 陳述되었는지 아니면 比喩的으로(implicitly) 陳述되었는지, 목소리로 傳達되었는지 바디랭귀지로 傳達되었는지 等을 包含한다. 한 個人이나 集團이 들어가 있는 持續的인 關係 中 一部에서 二重拘束이 자주 보이면 問題가 發生한다.


槪要 [ 編輯 ]

二重拘束은 '二重拘束對象者(the subject, 以下 對象者)'가 두 個의 相反된 要求(demands)에 붙잡힌 單純한 矛盾狀況으로 誤認되기 쉽다. 二重拘束의 核心이 두 個의 相反된 要求인 것은 事實이지만, 差異는 이러한 相反된 要求들이 어떻게 對象者에게 賦課되는지, 對象者의 狀況 理解는 어떤지, 누가 或은 무엇이 이러한 要求를 對象者에게 賦課하는지에 있다. 老윈(no-win) 狀況과 달리, 對象者는 本人이 處한 逆說的인 狀況의 正確한 本質을 定義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다. 矛盾은 當場의 脈絡에서 表現되지는 않기에 外部 觀察者에게 보이지는 않으며, 오로지 事前 意思疏通(prior communication)을 考慮할 때만이 二重拘束이 분명해진다. 一般的으로, 要求란 것은 尊敬하는 父母, 敎師, 醫師 等이 附與하는 것이지만, 前後 事情으로 인하여 要求 自體는 不得已 遂行할 수 없게 된다. 例를 들어, 權威를 가진 한 사람이 矛盾된 두 條件을 附與하지만 이에 對하여서 異議를 提起할 수 없다는 暗默的인 룰이 있을 때, 이러한 狀況이 發生한다. 그레고리 베이트슨 等은 아래와 같이 二重拘束을 規定하였다.

1. 二重拘束 狀況에서는 두 名 以上의 사람이 관여되어 있다. 한 사람은 (二重拘束의) '對象者(subject)'가 되고, 다른 사람(들)은 對象者의 上級者로서, 對象者가 尊敬하는 父母 等의 權威者에 該當한다.
2. 經驗 反復 : 二重拘束은 對象者의 經驗에서 反復되는 主題이다. 그리고 그렇게 하여 單一한 트라우마적 經驗으로서 解決될 수 없다.
3. 1차지詩(primary injunction) : 다른 사람들이 對象者에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形態 中 하나로 賦課한다.

(1) 무언가를 하라. 하지 않으면 나는 너를 處罰할 것이다.

(2) 무언가를 하지 마라. 하면 나는 너를 處罰할 것이다.

處罰은 사랑 撤回, 憎惡와 憤怒 表現, 權威者의 無力感 表現으로부터 招來되는 有機(abandonment) 等이 있다.
4. 2차지詩(secondary injunction) : 더 높고 더 抽象的으로 日次指示와 矛盾된 指示事項을 對象者에게 賦課한다. 例를 들어 "무언가를 해야 한다. 하지만 네가 願하기 때문에 그것을 하라." 이러한 指示는 반드시 言語로(verbally) 表現되는 것은 아니다.
5. 必要하면, 3차지詩(tertiary injunction)가 딜레마 脫出을 막기 위하여 對象者에게 賦課된다. 說明을 위하여 下段에 例示를 들었다.
6. 最終的으로, 베이트슨은 對象者가 이미 二重拘束 패턴으로 世上을 바라보게 되면, 以前에 提示된 要求事項의 모든 項目은 不必要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였다.

a. 對象者가 强烈한 關係로 들어감 : 對象者는 關係가 相當히 重要하다고 생각하고, 相對에게 適切하게 反應하기 위하여 相對가 어떤 메시지를 傳達하고 있는지 正確하게 識別함

b. 相對는 對象者에게 두 가지 메시지 指示를 表現하는데, 兩者는 서로 矛盾?相衝된다.
c. 對象者는 反應해야 할 메시지 指示가 무엇인지 다시 識別하기 위하여, 提示된 메시지들에 對하여 應答하지 못한다. 例를 들어, '非言語的 信號(metacommunicative statement)'를 표할 수 없다.

따라서 二重拘束의 核心은 두 가지 相反된 要求들이 各各 다른 論理에 基盤한 것이며, 둘 中 어느 것도 無視하거나 脫出할 수 없다. 이는 對象者를 分裂되게 하여 어떤 要求라도 충족시키려거든 다른 것은 充足되지 못하게 된다. "나는 이를 해야 하지만 할 수 없다"는 二重拘束 經驗에 對한 代表的인 說明이다. 效果的인 二重拘束이란, 對象者가 一致指示에 對應하는 要求와 이차지視 要求 사이에 葛藤을 直面하거나 解決하지 못하게 된다. 이런 點에서, 二重構造는 單純한 矛盾에서 表現不可能한 內的 葛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對象者는 日次指示 要求를 充足시키길 바라지만, 그때마다 이차지視 要求와 兩立 不可能하게 되는 狀況을 다룰 수 없게 되어 日次指示 要求를 達成하는 것도 失敗한다. 따라서 이런 狀況에서 對象者는, 行動上에서 葛藤하지만 日次指示 要求를 遂行하려고 하나, 極度의 不安感을 表出하게 된다. 이는 美國 法曹界에서 美國 修正 憲法 第5條(the Fifth Amendment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에 앞서 走行位(州行爲, state action)에 適用 問題를 둘러싸고 問題가 되었다. 聯邦法院管轄事件(federal case)에 對한 證言을 위하여 召喚狀이 발의될 수 있었지만, 修正 憲法 第5條에 따르면 聯邦法院管轄事件에 對한 證言을 拒否할 수 있는 免除權(immunity)이 發生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免除權은 第5條를 통해 주어졌음에도 不拘하고 週 檢察의 起訴(state prosecution)에는 適用되지 않았기에, 聯邦法 關聯 分野에서만 證言을 拒否할 수 있었다. 때문에 證言을 拒否할 境遇 法廷冒瀆罪(contempt of court)로 拘束되거나 證言할 수 있게 되었으며, 聯邦 訴訟 節次에서 强制로 情報를 提供한 사람은 州政府에서 有罪判決을 받게 되었다.

歷史 [ 編輯 ]

'二重拘束'이라는 用語는 人類學者 그레고리 베이트슨과 同僚 돈 잭슨(Don D. Jackson), 제이 헤일리(Jay Haley), 존 位클랜드(John H. Weakland) 等이 最初로 考案하였다. 1950年代 中盤, 調絃病 (schizophrenia)과 關聯된 意思疏通의 複雜性에 關한 論議 中에 나온 것이다. 베이트슨은 正常的인 狀況에서도 흔한 것이며 特히 演劇, 유머, 時, 儀禮, 小說 等에서 흔히 보이는 것이라고 主張하였다. 이들의 硏究는 調絃病으로 種種 診斷된 보이는 意思疏通의 꼬임(tangles in communication)李 腦機能障礙(brain dysfunction)라는 長期 關聯 原因으로 인한 結果가 아니라는 것을 示唆한다. 代身, 이러한 破壞的인 二重拘束은 家族 中 父母들에게서 자주 보이는 흔한 意思疏通 페턴이며, 平生 二重拘束을 지니면서 살아가게 되면 思考와 意思疏通에 있어서 혼란스러운 패턴을 誘發한다는 事實을 發見하였다.

意思疏通上의 複雜性 [ 編輯 ]

人間의 意思疏通은 複雜하며, 背後脈絡(context)은 意思疏通에 있어 核心 部分 中 하나이다. 意思疏通은 使用하는 單語, 목소리 톤, 바디랭귀지로 構成된다. 또한 이러한 構成要素들이 過去에 했던 말들과 어떤 聯關이 있는지 亦是 構成要素이다. 말하진 않았지만 行間에는 숨겨진 意味가 있다는 것. 發言이 成立되었던 當時 環境과 같은 非言語的 端緖들에 依해 어떻게 이러한 要素들이 修正되었는지 等이다. 例를 들어, 누군가 '사랑해'라고 告白한다면, 말한 사람, 목소리 톤과 바디랭귀지, 말한 當時 狀況과 脈絡 等을 考慮할 것이다. 이러한 告白은 相對에 對해서 마음을 表現하는 것이거나, 이미 서로 사랑을 느끼는 關係에서 淡淡하게 마음을 再確認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마음에서 우러나오지 않은 말이거나 甚至於 相對를 操縱하려는 意圖에서 나온 것일 수도 있다. 告白에 對答해 줄 것을 넌지시 要求하는 것인지, 弄談인지, 公的 關係에서의 脈絡과 私的 關係에서의 脈絡 等等의 要素 亦是 告白의 意味에 影響을 줄 것이다. 意思疏通에서 葛藤은 흔히 發生하며 '무슨 뜻이야?'라고 묻거나 다른 方式으로 意味를 알아내려고 한다. 이를 메타커뮤니케이션 (metacommunication)이라고 부른다. 卽 意思疏通에 關한 意思疏通인 것이다. 明確한 意味를 相對에게 要求하기가 어려울 때가 있다. 메타커뮤니케이션과 피드백 시스템이 缺如되어 있거나 充分치 못하거나 或은 意味를 明確하게 把握할 時間이 不足할 때에, 日常에서 意思疏通의 어려움이 發生한다. 딜레마에 빠져 있거나 빠져나갈 길을 찾게 되면 處罰받게 되는 狀況에 處한다면, 二重拘束은 매우 스트레스를 주며 破壞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를 빠져나갈 解決策을 發見하려고 努力한다면 情緖的 成長을 이룰 수 있다.

例示 [ 編輯 ]

代表的인 二重拘束의 事例는 엄마가 아이에게 사랑한다고 말하면서도 싫症나서 돌아서거나, 訓戒하기 위하여 때리는 것이다. 使用하는 言語는 社會的으로 受容 可能하지만 바디랭귀지로는 葛藤이 있다. 아이는 言語와 바디랭귀지 사이의 矛盾에 어떻게 反應할지를 모르겠고, 基本的 欲求로서 아이는 엄마에게 依存하기에 進退兩難에 빠지게 된다. 어린 아이들은 言語로 葛藤을 分明히 표하기 어렵기에, 葛藤 狀況을 無視하거나 關係를 떠날 수 있다. 다른 事例로는, 알아서 할 것을 命令받는 것이다. 바록 '命令'이란 것과 '알아서 한다'는 것은 代置되는 것이지만, 그 命令을 無視하지도 矛盾狀況에 對하여 言及할 수도 없을 때만이 二重拘束이 생긴다. 以前의 意思疏通 狀況에 익숙하지 않은 第3者가 볼 境遇, 醫師疏通에서의 葛藤에 對하여 무엇이 問題인지 안 보일 때가 있다.

具體的例示 [ 編輯 ]

  • 제럴드 마빈 와인버그 (Gerald Marvin Weinberg)는 家庭 外 狀況에 對한 例示를 提示하였다. "이 役割을 잘 할 수 있는 사람을 찾아오도록 한다."
: 指示받는 사람 立場에선, 現在 役割을 맡고 있는 사람이 役割에 어울리는지에 對한 客觀的인 評價를 하는 것이 아니라, 現在 役割을 맡고 있는 사람이 잘 어울린다는 것을 確信시키거나, 或은 마음대로 다른 사람을 골라와야 하는 狀況인 것이다.

  • 엄마가 아이에게 "너는 나를 사랑해야 해."
: 日次指示는 '너는 해야해'이고 이차지市는 '사랑은 사랑하는 사람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것'이라는 숨겨진 眞實이다. 卽 아이는 엄마를 眞心으로 사랑하기에 아이의 同意가 있어야 하는 問題인 것이다.

  • 兒童虐待自家 아이에게 "너는 나를 일찍 떠났어야 했다. 그러나 只今은 너무 늦었다. 왜냐하면 只今 내가 한 일에 네가 싫어했음을 아무도 믿어주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면서 同時에 아이가 脫出을 試圖하는 것을 가로막는다.
: 兒童虐待者는 아이를 그루밍(grooming)하고 若干 認定이나 膳物, 特權을 아이에게 주면서 二重拘束 關係를 始作한다. 日次指示는 다음과 같다. "너는 너가 나로부터 얻어가는 것을 좋아해야 해!" 아이가 繼續하기 始作하면(아이가 그 사람에게 받아가려는 것을 좋아하기 始作하면), 關係는 다음 段階로 가고 작은 犧牲이 發生한다. 그리고는 二次指示가 始作된다. "나는 너를 處罰한다." 兒童虐待自家 어떤 理由를 대든, "왜냐하면 너는 나쁘고 버릇없고 지저분해서" 或은 "너는 그럴만 해서" 或은 "니가 나를 이렇게 만들어서"이다. 萬若 아이가 虐待者에게 抵抗하거나 도망가려 하면, "너는 진작 나에게서 벗어났어야 했다"라는 3차지詩를 내린다. 그러면 惡循環이 始作되고 더 甚한 괴롭힘이 發生한다.
  • 엄마가 아들에게 "누나를 내버려둬라!" 同時에 아들은 누나가 와서 問題를 일으키도록 부추기는 것을 알고 있다.
: 日次指示는 위의 命令으로서 어길 境遇 處罰받게 된다. 이차지市는 누나가 와서 葛藤을 일으키지만 엄마는 모를 것이며 아들을 혼내지 않는다는 事實이다. 아들은 엄마에게 反駁하면 혼날 것이라는 생각일 것이다. 二重拘束을 벗어나기 위한 可能性은 누나가 自身을 不安하게 만들려고 하는 目的(누나의 行動 뒤에 있는 理由가 맞다면) 뿐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다. 萬若 아들이 혼나는 것에 괴롭지 않다면 누나는 아들을 괴롭히지 않을 것이다. 아들은 엄마와 누나를 둘다 避하여서 狀況을 完全히 떠날 수도 있다. 누나는 동생이 없어졌다는 事實에 괴롭힘 當하였다고 主張할 수 없다. 엄마는 없는 아들에게 魂을 낼 수도 없다. 다른 解決策으로는 論理와 推論의 創造的인 適用에 基盤해 있다. 適切한 對答은 "누나에게도 똑같이 얘기해주세요!"이다. 엄마가 아들을 犧牲羊으로 삼으로 한다면 그렇게 말하지 않을 것이다. 命令은 아들을 向하여 否定的인 含意를 가지고 있다.

肯定的인 二重拘束 [ 編輯 ]

베이트슨은 肯定的인 二重拘束(positive double binds)도 이야기했다. 禪佛敎 (Zen Buddhism)에서 靈的 成長을 위하여 던지는 話頭 (話頭), 心理治療者들이 治療를 위하여 患者들이 日常에서 마주치는 葛藤에 患者들을 直面시키는 方式의 二重拘束이 그것이다. 後者는 治療的 二重拘束(therapeutic doble bind)이라고 하는데, 이는 美國 心理學者 밀턴 에릭슨 (Milton H. Erickson)이 創始하였다. 베이트슨이 諮問을 求하기도 했던 에릭슨은 自身의 삶으로 二重拘束의 生産的인 可能性을 보여주었고, 治療技法에 對해 보여주었다.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