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이인석 (軍人)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이인석 (軍人)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인석 (李仁錫, ? ~ 1939年 6月 22日 )은 日帝强占期 의 軍人이다.

生涯 [ 編輯 ]

忠淸北道 沃川郡 군서면 出身이다. 8男妹 中 맏아들로 태어나 只今은 廢校된 沃川農業實習學校를 卒業하였다. 이 學校에 講師로 就業하였다가 志願兵으로 中日 戰爭 에 參戰하였고, 中國 에서 戰死하였다. 階級은 日本軍 陸軍 上等兵이었다.

이인석은 1938年 에 志願兵 制度가 實施된 以來 처음으로 戰死한 朝鮮人이라, 제1호 戰死者로 크게 宣傳되었다. 많은 勳章을 받고 言論에도 死亡 消息이 "志願兵 이인석群 最初의 榮譽의 戰死"로 報道되었다. [1] 沃川 李仁石의 집으로는 敎師가 引率하는 學生들을 包含하여 巡禮客이 찾아왔고, 家族들은 賻儀金을 받아 生計를 維持하였다.

허영 의 映畫 《너와 나》에는 李仁石을 모티브로 삼은 主人公이 日本人 과 結婚하고 出征 前에 扶餘神宮 에 參拜하는 內容이 나오는 等, 日帝 强占期 末期의 戰爭 弘報에 널리 利用되었다. [2] 김동환의 詩 〈卷群聚千名(勸君就天命)〉을 包含하여 李仁石을 素材로 한 藝術 作品이 여러 장르에서 만들어졌다. 小說家 박완서 는 自傳的 小說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서, 李仁石의 一代記를 담은 나니와부시 가 每日 放送되었다고 回顧한 바 있다. [3]

死亡 當時 이인석에게는 아내와 갓 태어난 딸이 있었다. 夫人은 조카를 養子로 들여 李仁石의 代를 잇게 하였다. 2003年 의 《沃川新聞》 報道에 따르면, 夫人과 동생 等 家族들은 이인석이 自發的으로 志願兵이 된 것이 아니라 講師로 在職하던 學校의 校長 等 第3者의 慫慂으로 强制로 끌려가 犧牲된 것이라고 主張하였다. [4]

參考資料 [ 編輯 ]

各州 [ 編輯 ]

  1. 강인규 (2003年 12月 1日). “國民 죽음 앞에 '早速한 派兵'이라니 - [批評] <朝鮮日報>의 '모럴 해저드 ' . 오마이뉴스 . 2008年 8月 26日에 確認함 .   |題目= 에 지움 文字가 있음(위치 24) ( 도움말 )
  2. 이이화 (2004年 5月 1日). 〈第1部 植民地에 불어오는 近代化 바람 - 4. 活動寫眞 보러 團成社 간다〉. 《韓國史 이야기 22 (빼앗긴 들에 부는 近代化 바람)》. 서울: 한길사. ISBN   89-356-5161-3 .  
  3. 박완서 (2004年 7月 5日).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서울: 熊進씽크빅. 147쪽쪽. ISBN   89-01-04606-7 .  
  4. 이안재 (2003年 9月 27日). “發掘 沃川現代史 - "兄님이 이용당한 것... . 沃川新聞 . 2008年 8月 26日에 確認함 . 强制로 支援시킨 거야.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데 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