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銀河 조석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銀河 조석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생쥐 銀河 .

銀河 조석 ( Galactic tide )은 銀河 重力場 에 依해 發生하는 潮汐力 의 一種으로, 主要 效果로는 相互作用銀河 , 왜소은하 衛星銀河 의 分解, 오르트 구름 攝動 等이 있다.

外部 銀河 [ 編輯 ]

銀河 間의 衝突 [ 編輯 ]

더듬이 銀河 의 衝突 中 潮汐力에 依해 생긴 긴 꼬리.

潮汐力은 重力의 絶對的인 世紀보다 重力의 差異와 關聯이 있기 때문에, 銀河의 潮汐力은 銀河 周邊에만 作用한다. 萬若 두 銀河가 近處를 지나갈 境遇, 매우 큰 潮汐力이 作用하게 된다.

두 銀河가 正面으로 衝突하는 境遇는 그리 흔하지 않으며, 潮汐力이 作用해 銀河의 進行 方向에 影響을 준다. 두 銀河가 重力적 相互作用으로 서로를 돌 때 潮汐力의 影響을 받은 地域은 銀河 本體에서 떨어져 나와 差等回戰 에 따라 分解되어 銀河間 空間으로 떨어져 나가는데, 이 꼬리 模樣 構造를 조석 꼬리 라고 부른다. 조석 꼬리는 굽은 形態를 띄며, 直線으로 보이는 境遇는 옆에서 보아 겉보기에 直線처럼 보이는 것이다. 조석 꼬리를 形成하는 物質은 普通 重力을 剛하게 받는 銀河 中心 膨大部보다 銀河 圓盤에서 더 많이 供給된다. [1] 조석 꼬리가 剛하게 드러난 例示로는 생쥐 銀河 더듬이 銀河 가 있다.

달이 두 조석 膨大部를 만드는 것과 같은 原理로, 조석 꼬리도 普通 두 個가 생겨난다. 相對 銀河보다 質量이 비슷하거나 적으면 긴 꼬리가 생겨나며, 相對 銀河보다 質量이 크면 該當 銀河에는 꼬리가 작게 생기고, 다리( bridge )라고 부르는 銀河 앞쪽의 꼬리가 더 커지게 된다. [1] 조석 다리는 位置上 조석 꼬리와 區別하기 어려우며, 두 銀河가 합쳐지는 過程에서 銀河에 다시 吸收되어 조석 꼬리보다 觀測할 수 있는 期間이 짧고, 萬若 두 銀河와 地球와의 距離가 다르면 조석 다리가 가려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꼬리가 兩쪽 銀河에 모두 連結되어 있는 模樣인 조석 고리( tidal loop )는 더 觀測하기 어렵다. [2]

衛星 銀河 [ 編輯 ]

안드로메다 銀河 로, 圓盤 왼쪽 위에 있는 衛星銀河 메시에 32 는 안드로메다 銀河의 潮汐力에 依해 銀河 팔이 사라졌다.

銀河의 潮汐力은 銀河에 가까워질수록 剛해지기 때문에, 衛星銀河 가 第一 影響을 크게 받는다. 潮汐力을 받은 衛星銀河는 回轉 方向과 速度, 質量- 광도 關係의 異常 等 觀測할 수 있는 以上 現象을 보이며, [3] 衛星銀河에서 恒星과 機體가 옆 銀河로 넘어가기도 한다. 안드로메다 銀河 의 衛星銀河人 메시에 32 는 바깥 螺旋팔 을 안드로메다 銀河에 잃었고, 銀河 中心部의 分子雲 을 壓縮해 恒星 形成이 促進되었다. [4]

螺旋팔을 잃는 過程은 基本的으로 꼬리가 생기는 過程과 같지만, 質量 差異가 크기 때문에 實質的으로 한쪽 銀河에만 影響이 나타난다. 衛星銀河가 매우 작을 境遇에는 조석 꼬리의 模樣이 對稱으로 나타나며, 衛星銀河의 뒤를 따라가는 模樣이 된다. [5] 하지만 衛星銀河의 質量이 中心 銀河 質量의 1萬 分의 1 以上이라면, 衛星銀河 自體의 重力이 꼬리에 影響을 주어 꼬리가 非對稱하게 여러 方向으로 퍼져나간다. 最終的으로 形成되는 救助는 衛星銀河의 質量과 軌道, 中心 銀河 周邊 暗黑物質 헤일로 의 質量과 構造에 影響을 받으며, 銀河 暗黑物質 位置 에너지 를 硏究할 方法으로 脚光받고 있다. [6]

萬若 왜소은하 가 큰 銀河에 너무 가까이 接近하거나, 오랜 期間 동안 한 銀河를 돌면, 銀河의 形態가 完全히 무너져 中心 銀河를 감싸는 線 形態로 變하기도 한다. 또한, 안드로메다 銀河 等 一部 銀河의 銀河圓半 은 여러 矮小銀河가 이 過程을 거치며 完全히 吸收된 結果物로 보기도 한다. [7]

銀河 內 天體의 影響 [ 編輯 ]

銀河 內에 있는 天體에도 銀河의 潮汐力은 影響을 끼치는데, 特히 恒星 이나 行星界 의 形成에 가장 큰 影響을 준다. 普通 恒星系에서는, 隣近 恒星이 間或 지나갈 때를 除外하면, 中心 항성만이 實質的인 重力적 影響力을 發揮하나, 恒星系 崔外郭에서는 恒星의 重力이 弱해 銀河 潮汐의 影響이 커진다. 太陽系의 境遇, 장주기 彗星의 根源地로 推定되는 오르트 구름 이 바로 이 地域에 屬한다.

오르트 구름은 約 1 光年 距離에 있는, 太陽系를 두르고 있는 巨大한 九老, 太陽과의 距離가 멀기 때문에 우리銀河 自體의 潮汐力이 相當한 影響을 行使하여, 오르트 구름의 模樣을 銀河 中心 方向으로 찌그러트린다. 이 程度 距離에서는 太陽의 重力이 弱하기 때문에, 銀河의 潮汐力만으로도 미행성 이 攪亂을 받아 內太陽系 로 向하게 된다. [8] 오르트 구름의 微行星은 主로 巖石과 얼음이 섞인 天體로, 內太陽系로 進入하면 얼음이 蒸發하며 彗星 이 된다.

오르트 구름 의 槪略度.

또한, 銀河 潮汐이 太陽系 바깥쪽의 미행성 을 더 바깥으로 끌어내서, 오르트 구름의 形成 自體에 도움을 주었을 可能性도 提起되고 있다. [9] 이처럼 銀河 潮汐의 影響은 相當히 複雜하며, 全體的인 作用보다는 行星界에 있는 各 天體가 어떻게 反應하는지가 더 重要하다. 하지만 긴 時間 동안 效果가 累積되면 相當한 部分을 차지하는데, 現在 오르트 구름에서 오는 彗星 中 90% 假量이 銀河 潮汐이 原因이라고 推定하고 있다. [10]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Toomre A.; Toomre J. (1972). “Galactic Bridges and Tails”. 《The Astrophysical Journal》 178 : 623?666. Bibcode : 1972ApJ...178..623T . doi : 10.1086/151823 .  
  2. Wehner E.H.; 外. (2006). “NGC 3310 and its tidal debris: remnants of galaxy evolution”.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71 (3): 1047?1056. arXiv : astro-ph/0607088 . Bibcode : 2006MNRAS.371.1047W . doi : 10.1111/j.1365-2966.2006.10757.x . S2CID   14563215 .  
  3. Piatek S.; Pryor C. (1993). “Can Galactic Tides Inflate the Apparent M/L's of Dwarf Galaxies?”. 《Bulletin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25 : 1383. Bibcode : 1993AAS...183.5701P .  
  4. Bekki, Kenji; Couch, Warrick J.; Drinkwater, Michael J.; Gregg, Michael D. (2001). “A New Formation Model for M32: A Threshed Early-Type Spiral Galaxy?” (PDF) . 《The Astrophysical Journal》 557 (1): Issue 1, pp. L39?L42. arXiv : astro-ph/0107117 . Bibcode : 2001ApJ...557L..39B . doi : 10.1086/323075 . S2CID   18707442 .  
  5. Johnston, K.V.; Hernquist, L.; Bolte, M. (1996). “Fossil Signatures of Ancient Accretion Events in the Halo”. 《The Astrophysical Journal》 465 : 278. arXiv : astro-ph/9602060 . Bibcode : 1996ApJ...465..278J . doi : 10.1086/177418 . S2CID   16091481 .  
  6. Choi, J.-H.; Weinberg, M.D.; Katz, N. (2007). “The dynamics of tidal tails from massive satellite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1 (3): 987?1000. arXiv : astro-ph/0702353 . Bibcode : 2007MNRAS.381..987C . doi : 10.1111/j.1365-2966.2007.12313.x . S2CID   6261478 .  
  7. Penarrubia J.; McConnachie A.; Babul A. (2006). “On the Formation of Extended Galactic Disks by Tidally Disrupted Dwarf Galaxies”. 《The Astrophysical Journal》 650 (1): L33?L36. arXiv : astro-ph/0606101 . Bibcode : 2006ApJ...650L..33P . doi : 10.1086/508656 . S2CID   17292044 .  
  8. Fouchard M.; 外. (2006). “Long-term effects of the Galactic tide on cometary dynamics”. 《Celestial Mechanics and Dynamical Astronomy》 95 (1?4): 299?326. Bibcode : 2006CeMDA..95..299F . doi : 10.1007/s10569-006-9027-8 . S2CID   123126965 .  
  9. Higuchi A., Kokubo E.; Mukai, T. (2005). “Orbital Evolution of Planetesimals by the Galactic Tide”. 《Bulletin of the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37 : 521. Bibcode : 2005DDA....36.0205H .  
  10. Nurmi P.; Valtonen M.J.; Zheng J.Q. (2001). “Periodic variation of Oort Cloud flux and cometary impacts on the Earth and Jupiter”.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27 (4): 1367?1376. Bibcode : 2001MNRAS.327.1367N . doi : 10.1046/j.1365-8711.2001.04854.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