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윤해영 (詩人)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윤해영 (詩人)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윤해영
作家 情報
出生 1909年
咸鏡北道
死亡 1956年 ?
國籍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職業 作家,敎育인
장르

윤해영 (尹海榮, 1909年 ~ 1956年 ?)은 日帝强占期 滿洲 地域에서 活動한 是認 이다.

生涯 [ 編輯 ]

咸鏡北道 出生으로 룽징 에서 敎師로 勤務했다는 것 外에는 身上에 對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일송정 푸른솔은 늙어늙어 갔어도"라는 歌詞로 始作되는 歌曲 〈 先驅者 〉가 抗日 精神을 담은 노래로 알려져 大韓民國에서 오래 불리면서 이 노래의 作詞家로 有名해졌다.

윤해영은 〈先驅者〉의 作曲家 조두남 의 回顧錄을 통해 神祕한 獨立鬪士 靑年으로 描寫되었다. 조두남은 1932年 〈先驅者〉를 作曲할 때 하얼빈 의 한 旅館에서 윤해영을 만나 歌詞를 받았으나 以後 忽然히 사라져 다시 보지 못했다고 回顧한 바 있다.

滿洲 地域이 中華人民共和國 의 領域이 되면서 오랫동안 接近이 쉽지 않아 조두남이 描寫한 內容에 따른 이같은 認識이 오래 持續되었다. 그러나 1990年代 以後 當時 조두남과 함께 活動했던 音樂인 김종화가 조두남의 回顧錄 內容은 事實과 다르다고 暴露하면서 윤해영의 實際 行跡이 드러나기 始作했다.

새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윤해영은 조두남의 回顧에 登場하는 時期보다 늦은 1940年代 에 主로 活動한 人物로, 〈舂精의 노래〉, 〈滿洲 아리랑〉, 〈오랑캐고개〉, 〈해란강〉, 〈아리랑 滿洲〉, 〈四季〉, 〈渤海高地〉, 〈瘠土記〉, 〈樂土 滿洲〉 等 日本 帝國 의 滿洲 侵略으로 세워진 滿洲國 의 建國 理念을 讚揚하는 多數의 親日 詩를 發表했다. [1] 이 가운데 〈樂土 滿洲〉는 滿洲國에서 政策的으로 널리 普及한 노래이며, 〈아리랑 滿洲〉는 滿洲國 建國 10周年을 記念한 《만선일보》의 公募展에서 黨性된 作品이다. 또한 무단장 에서 管制 團體인 五族協和回 支部의 宣傳과 幹部를 지낸 人物인 것으로 드러났다.

學界의 硏究가 잇따라 윤해영이 滿洲 地域의 代表的인 親日 詩人이었다는 것은 通說이 되었으나, 文藝批評家 金永壽는 2005年 에 《夢想의 詩人 윤해영》에서 윤해영의 詩에 登場하는 '五族', '五色旗' 等 滿洲國 의 象徵이 實際로는 高句麗 思想을 象徵한다는 異說을 提起하기도 했다. [2] 金永壽는 윤해영이 檢閱을 속이기 위해 滿洲國에서 흔히 쓰이는 單語에 다른 뜻을 숨겨 使用했는데, 이를 表面만 읽은 學者들이 誤讀했다고 主張했다.

日帝 敗亡 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으로 가서 土地 改革 政策을 讚揚하는 〈分配받은 땅〉이라는 노래를 發表하기도 했으며, 1956年 死亡한 것으로 傳해 들었다는 證言이 있다. 滿洲에서 愛唱된 〈東北人民 行進曲〉, 〈東北人民自衛軍 송가〉도 윤해영 作詩의 노래이다.

2008年 民族問題硏究所 가 整理한 친일인명사전 收錄豫定者 名單 文學 部門에 包含되었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資料 [ 編輯 ]

  • 類演算 (2003年 7月 4日). 〈〈先驅者〉는 없다〉. 《滿洲 아리랑 (잊혀진 大陸, 일만 里 滿洲 奇行)》. 서울: 돌베개. ISBN   89-7199-162-3 .  

各州 [ 編輯 ]

  1. 김주완 (2003年 6月 8日). ““<先驅者> 안부르기 運動 벌여야" - 김영남 希望連帶 代表... "노래碑 撤去訴訟 할터 " . 오마이뉴스 . 2008年 6月 1日에 確認함 .  
  2. 정천기 (2005年 7月 14日). ““歌曲 '先驅者' 作詞 윤해영, 親日詩人 아니다”” . 한겨레(聯合뉴스 認容). 2018年 3月 1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6月 1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