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通貨制度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유럽通貨制度 (European Monetary System, EMS)는 1979年 3月에 EC 國家들을 主軸으로 創設된 一種의 通話 블록으로, EC 通貨 相互間에 換率 安定을 이룩하고 美國달러 및 日本엔貨 等의 EC 域外通話에 對하여 加盟國 通貨 全體가 換率 變動을 하는 制度이다. EC 通貨의 單一化를 통해 EC 域內의 經濟的 統合을 實現하는게 EMS 創設의 目的이며, 主要 內容으로 價値 尺度로서의 유럽通貨單位(European Currency Unit)의 創出, 換率 調整 및 介入 그리고 유럽通貨基金 等이 있다.

1971年 8月 美달러의 金兌換이 停止된 後, 各國의 換率評價가 不安해지자 世界 主要通貨國은 71年 12月 스미스소니언 協定을 거쳐 유럽 各國의 美달러 換率 變動幅을 旣存의 上下 1%에서 上下 2.5%로 擴大하기로 했다. 이에 對해 72年 4月 加盟國家들이 對美달러 換率 變動幅을 1.125%로 制限하는 유럽通貨 스네이크를 발족시켰다. 이의 名稱은 換率 變動의 모습이 터널 속의 뱀과 같다고 해서 命名된 것이다. 그러나 1973年 3月에 달러 危機가 繼續되자 스네이크 加盟通話들은 非加盟通話에 對해 아무런 制限을 두지 않고 변동시켜 나가되 스네이크 加盟通話 間에는 換率 變動의 範圍를 制限하도록 함으로써 共同變動換率制가 採擇되었다.

1978年 들어 유럽國家를 위한 보다 效率的이고 合理的인 通貨制度의 創設을 摸索하게 되었고, 그 結果 1979年 3月에 正式으로 EMS가 發足하게 되었다. EMS는 벨기에·덴마크·프랑스·아일랜드·이탈리아·룩셈부르크·네덜란드·英國·獨逸(統一 前 西獨)같은 加盟國과 함께 出帆했다.

1981年에 그리스가 EMS에 加入했고, 1990年에는 포르투갈과 에스파냐가, 1994年에는 오스트리아가 이 制度에 加入했다. 그後 1994年 1月 1日 EC가 EU(유럽聯合)으로 固有名稱을 바꾸었고, 유럽聯合의 中央銀行 役割을 하게 될 유럽通貨器具(EMI)가 設立되었다.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유럽通貨制度" 項目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