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하인리히 폰 튀넨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요한 하인리히 폰 튀넨

요한 하인리히 폰 튀넨 (Johann Heinrich von Thunen, 1783年 6月 24日 - 1850年 9月 22日 )은 獨逸 經濟學者 이다. 北部 獨逸 메클렌부르크 地方의 地主 家門에서 태어난 그는 空間 經濟學 을 創始한 것으로 有名하다. 1826年 發表된 그의 첫 論文 <고립국>(Der isolierte Staat)은 空間 經濟學 을 深度있게 다룬 첫 論文으로 손꼽힌다.

農産物 地帶 理論 [ 編輯 ]

튀넨은 다음의 前提 下에 農産物의 地帶 가 數學的으로 一律的인 形態를 보인다는 理論을 展開하였다.

  • 都市는 "고립국"의 中央에 位置하며, 唯一한 市場이다.
  • 市長은 完全 競爭 市場 의 形態를 띤다
  • 고립국은 氣候, 地形, 植生, 土壤에 있어 完全히 同質的인 空間이다.
  • 고립국의 運送手段은 牛馬車 한 가지만 存在하며, 運送費는 距離에 比例한다.
  • 고립국에는 길이 存在하지 않으며, 都心까지는 直線(最短距離)으로 移動한다.
  • 고립국의 農夫는 合理的 經濟人 이다.

이를 式으로 表現하면 다음과 같다.

R: 地帶, Y: 單位 土地當 産出量, p: 單位 財貨의 市場價格, c: 單位 財貨의 生産費, F: 運送料率, m: 市場까지의 距離

이 公式에 따르면 土地의 利用은 地帶에 依해 決定된다.

튀넨의 모델

이러한 튀넨의 數學的 모델은 右側 그림과 같은 同心圓 模樣으로 構造化된다. 그에 따르면 都市와 가장 가까운 同心圓에서는 自由式 農業(園藝, 酪農業)李 立地하게 된다. 當時 이러한 農産品들은 쉽게 變質되었기 때문에 都市로의 迅速한 運送이 必要했기 大門이다. 建築, 燃料 따위를 위한 林業은 두 番째 同心圓에 位置한다. 當時에는 木材가 宏壯히 重要한 材料였고, 이는 무겁기 때문에 輸送이 어렵기 때문이었다. 세 番째 同心圓에선 곡물류의 栽培가 일어난다고 보았다. 穀物은 酪農品 따위에 비해 가볍고 保管이 쉽기 때문이다. 마지막 同心圓에서는 粗放的 農業이 일어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 同心圓 밖은 荒蕪地로, 中心 都市에서 너무 멀기 때문에 어떠한 形態의 農業도 發生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튀넨의 이러한 理論은 産業化 以前의 유럽과 유럽 植民地의 經濟를 分析하는 데에 큰 도움을 주었다.

튀넨 理論의 脆弱點 [ 編輯 ]

튀넨의 孤立國은 그 前提로 因한 根本的 脆弱點을 가지고 있다. 튀넨의 前提와는 달리 實際 狀況에선

  • 周邊에 여러 市場이 存在할 수 있다.
  • 需要와 供給에 依해 價格이 變化되기 때문에 完全 競爭 市場의 모습을 보일 수 없다.
  • 氣候, 地形, 植生, 土壤이 同質할 수 없다.
  • 運送費가 體感한다.

따라서 튀넨의 理論은 産業 革命 以後의 現象에는 잘 使用하지 않으며 主로 歷史的 狀況 分析에 局限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