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요하네스 헤벨리우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요하네스 헤벨리우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요하네스 헤벨리우스의 肖像畫

요하네스 虛벨리우스 ( 라틴語 : Johannes Hevelius , 폴란드語 : Jan Heweliusz 얀 헤벨리우시 [ * ] , 1611年 1月 28日 ~ 1687年 1月 28日)는 當時 폴란드-리투아니아 聯邦 에 屬했던 단치히( 그단스크 )의 議員이며 市場 이었다. [1] 그는 또한 天文學者 이며, 月面 地形學의 創始者로 名聲을 얻었고, 10個의 새로운 별자리 를 描寫하여 그中 7個는 如前히 天文學者들로부터 認定받고 있다. [2]

南半球 자리에서 六分儀 자리와 北半球의 작은여우자리 等을 만들었다.

生涯 [ 編輯 ]

人生의 草飯部

헤벨리우스는 아버지인 아브라함 헤벨케(1576년~1649년)와 어머니 코르둘라 헤케르(1576年~1655年)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父母는 獨逸語를 使用하는 루터교人 으로, [3] 보헤미아 出身의 富裕한 麥酒 商人 이었다. 어린 時節, 헤벨리우스는 공데치(G?decz)로 보내져 그곳에서 폴란드語 를 배웠다. [4]

헤벨리우스는 김나지움 에서 페테르 크뤼거(Peter Cruger)로부터 가르침을 받았고, 1930年에는 레이던 大學校 에서 法學 을 修學하였다. 그 後에는 英國 프랑스 를 旅行하면서 피에르 가상디 , 마랭 메르센 , 아타나시우스 키르허 를 만났다. 1634年에 그는 故鄕에 定着하였고, 이듬해 結婚하였다. 그 다음해에는 麥酒 釀造 길드 의 一員이 되었고, 1643年부터는 길드를 이끌었다.

天文學에의 寄與
헤벨리우스가 完成한 페테르 크뤼거의 方位角 四分의

헤벨리우스는 그의 一生을 통하여 地方 政府 의 是正을 主導하여 1651年에는 小都市의 議員이 되기도 했지만, 1639年 以後로 그의 主要 關心은 天文學에 있었다.

헤벨리우스의 天體望遠鏡의 木版畫

1641年에는 세 채를 連結한 그의 집에 天文臺 를 짓고 優秀한 器具들을 갖추었는데, 그中에는 나무와 鐵絲로 自作한 焦點距離 46m(150피트)의 케플러式 望遠鏡도 있었다. [5] 이 天文臺는 '스테르넨부르크(Sternenburg, [6] [7] (라틴語) Stellaeburgum, (폴란드語) Gwiezdny Zamek) 또는 '별의 城'이라 불렸다. [8]

헤벨리우스의 月面 地圖

헤벨리우스는 太陽의 黑點 을 觀測하였고, 1642年에서 1645年까지의 4年 間 月面 地圖를 만들었으며, 의 經度上 秤動 을 發見하여 그 結果를 Selenographia, sive Lunae descriptio (1647年)에 發表하였다. 이로부터 그는 月面 地形學의 創始者로 불리게 되었다.

헤벨리우스는 1654年부터 王立學會 의 會員이었고, 王立學會는 그를 첫 番째 獨逸人 會員으로 여기고 있었다. [9]

1660年 1月 29日 폴란드 王妃 루드비카 마리아 곤자가 가 헤벨리우스의 社說 天文臺를 訪問하였고, 헤벨리우스는 폴란드 王의 臣下로서 連이은 네 王의 後援을 받았다. [10] 1659年에 天文臺를 訪問했던 폴란드 國王 얀 2歲 카地미에시 바사 는 1660年 헤벨리우스의 家族들을 貴族의 地位에 오르게 하였다. [11] 貴族의 身分이 폴란드 國會의 承認을 얻지는 않았지만, 헤벨리우스의 文章에는 獨特한 폴란드의 王冠이 包含되어 있다. [12] 1677年부터 1683年까지 헤벨리우스를 種種 訪問했던 폴란드 國王 얀 3歲 소비에스키 는 釀造와 關聯된 稅金을 免除해 주었고, 詩 境界 밖으로도 自由롭게 麥酒를 販賣할 수 있도록 許諾하였다. [13]

그는 1652年, 1661年, 1672年, 1677年의 4個의 彗星 을 發見하였다. 그는 이 發見으로 이러한 天體들이 太陽 周圍를 抛物線의 經路를 그린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1679年 5月, 王立學會의 特赦로 젊은 英國人 에드먼드 헬리 가 헤벨리우스를 訪問하였다. 헬리는 로버트 훅 존 플램스티드 로부터 헤벨리우스에게 測定에 望遠鏡 을 使用할 것을 說得하도록 要請받았으나, 헤벨리우스는 照準儀와 四分의 만으로도 充分함을 보여주었다. 그래서 그는 天體望遠鏡 없이 測定한 마지막 天文學者로 여겨지기도 한다. [14]

萬年과 별자리
觀測 中인 헤벨리우스와 夫人 엘리사베스

헤벨리우스는 1662年에 그의 첫 番째 夫人 카타리네가 죽고 1年이 지나 商人 家族의 엘리사베스 헤벨리우스와 結婚하였다. 헤벨리우스와 엘리사베스 사이에는 4名의 子女가 있었다. 엘리사베스는 헤벨리우스를 도왔고, 헤벨리우스의 死後에는 2卷의 헤벨리우스의 著書를 出刊하였다. 그女는 最初의 女性 天文學者로 여겨지기도 한다.

1679年 9月 26日, 헤벨리우스의 天文臺와 裝備와 書籍들이 火災로 破壞되었다. 이 災難은 그의 著書 Annus climactericus (1685)의 序文에 描寫되었다. 그는 곧 損傷을 修理하였고, 1680年 12月의 臺彗星을 觀測할 수 있었다. 그는 그의 破壞된 裝備들을 記念하여 六分儀자리 에 이름을 붙였다.

1683年末, 빈 戰鬪 에서 폴란드 王 얀 3歲 소비에스키가 이끄는 基督敎 軍隊가 勝利한 것을 記念하여 그는 별자리를 만들어 'Scutum Sobiescianum'(소비에스키의 防牌)의 이름을 붙였는데, 이것이 現在의 防牌자리 이다. 이 별자리는 그의 집에 豪華롭게 그린 별자리인 'Firmamentum Sobiescianum'을 통하여 一般에 알려졌다.

요하네스 헤벨리우스의 墓碑銘

그는 1679年 火災의 衝擊으로 健康이 나빠졌고, 1687年 1月 28日, 76回 生日에 死亡하였다. 그는 故鄕의 'St. Catherine' 聖堂에 묻혔다.

事後인 1690年頃, 그의 遺作이 Prodromus Astronomiae 의 題目으로 夫人 엘리자베스에 依해 3卷으로 出刊되었는데, 出刊年度가 1687年으로 標示된 세 番째 冊 Firmamentum Sobiescianum sive Uranographia 에는 56章으로 構成된 별그림에 사냥개 자리 , 도마뱀자리 , 작은獅子자리 , 살쾡이자리 , 防牌자리 , 六分儀자리 , 여우자리 等 現在에도 使用되는 7個의 새로운 별자리와 '케르베로스자리', 'Mons Maenalus 자리', 작은三角形자리 等 더 以上 使用되지 않는 몇 個의 별자리가 그려져 있다.

著述 및 業績 [ 編輯 ]

  • Selenographia (1647年)
  • De nativa Saturni facie ejusque varis Phasibus (1656年)
  • Historiola Mirae (1662年) - 週期的인 變光星 고래자리 오미크론 에 '경이롭다'는 意味로 '미라'(Mira)라는 이름을 붙였다.
  • Prodromus cometicus (1665年)
  • Cometographia (1668年)
  • Machina coelestis - 1673年의 1部는 그의 觀測機器에 對한 說明을 包含한다. 1679年의 2部에서는 火災 때문인지 매우 稀貴하다. 1部의 肉眼 觀測法에 對한 言及은 望遠鏡이 없는 觀測은 거의 價値가 없다고 主張했던 로버트 훅과의 論爭을 불러일으켰다. [15]
  • Annus climatericus, sive rerum uranicarum observationum annus quadragesimus nonus … (1685年) - 1679年의 火災를 言及하였으며, 미라 變光星에 對한 헤벨리우스의 觀測이 包含되었다.
  • Prodromus Astronomiae (1690年頃) [16] [17]
  • ' Prodromus - 序文과 出刊되지 않은 觀測들.
  • Catalogus Stellarum Fixarum (1687年으로 出刊年度 表記) - 1564個의 별 目錄.
  • Prodromus Astronomiae - 헤벨리우스의 夫人 엘리자베스(Catherina Elisabetha Koopman Hevelius)가 3卷으로 出刊하였으며, 그 內容은 다음과 같다. [16] [17]
    • ' Prodromus - 序文과 出刊되지 않은 觀測들
    • Catalogus Stellarum Fixarum (1687年으로 出刊年度 表記) - 1564個의 별 目錄
    • Firmamentum Sobiescianum sive Uranographia (1687年으로 出刊年度 表記) - 56章으로 構成된 별자리 地圖.

各州 [ 編輯 ]

  1. Robert Bideleux, Ian Jeffries, A History of Eastern Europe: Crisis and Change , Routledge, 1998, p.124, ISBN   0-415-16112-6 Google Books
  2. Ian Ridpath. “Star Tales” . 2015年 1月 3日에 確認함 .  
  3. “The Galileo Project” . 라이스大學校 . 2015年 1月 3日에 確認함 .  
  4. Libri Gedanenses , Tomy 23-24, Gda?ska Pa?stwowe Wydawnictwo Naukowe, p.127, 2005.
  5. Henry C. King, Harold Spencer Jones, The history of the telescope , p.53
  6. Jose M. Vaquero, Manuel Vazquez (2009). 《The sun recorded through history》 . Springer. 126쪽. ISBN   9780387927909 .  
  7. Marc Lachieze-Rey, Jean-Pierre Luminet (2001). 《Celestial Treasury: from the music of the spheres to the conquest of spac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6쪽. ISBN   0-521-80040-4 .  
    Henry C. King (2003). 《The history of the telescope》 . Courier Dover publ. 53쪽. ISBN   0-486-43265-3 .  
    Peter L. Manly (1995). 《Unusual telescope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2쪽. ISBN   0-521-48393-X .  
    Mark Pendergrast (2003). 《Mirror mirror》 . 96쪽.  
    Patrick Moore (2002). 《Astronomy encyclopedia》 . Oxford University Press. 180쪽.  
  8. Gda?ski dom Jana Heweliusza Archived 2011年 12月 2日 - 웨이백 머신 , 그단스크 科學 祝祭
  9. Edward Neville da Costa Andrade (1960). 《A brief history of the Royal Society》 . Royal Society. 24쪽.  
  10. Skimborowicz, Hippolit (1860). 《?ywot i prace Jana Hewelinsza gda?szczanina ?yjacego pod panowaniem czterech krolow polskich》. Warszawa. OCLC   253951432 .  
  11. Kwartalnik historii kultury materialnej , Tom 39, Instytut Historii Kultury Materialnej 1991 (Polska Akademia Nauk), p.159.
  12. Robert Gl?bocki, Andrzej Zbierski, On the 3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Johannes Hevelius: book of The International Scientific Session , The Polish Academy of Sciences, p.56, 1992.
  13. Mi?dzynarodowy Rok Heweliusza 1987: dokumentacja obchodow trzechsetnej rocznicy ?mierci Jana Heweliusza (1687-1987), Zakład Narodowy im Ossoli?skich, 1990, p.10
  14. Daintith, John,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Scientists , CRC Books, 1994 , ISBN   0-7503-0287-9 , Google Books
  15. J.J. O'Connor, E.F. Robertson, Johannes Hevelius Archived 2011年 6月 7日 - 웨이백 머신 , gap-system.org
  16. “The United States Naval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Command (NMOC), Hevelius - Prodromus astronomiae” . 2015年 9月 2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5年 1月 5日에 確認함 .  
  17. Nick Kanas, Star maps: history, artistry, and cartography , p.164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