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에파메이논다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에파메이논다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에파메이논다스
에파메이논사스의 상
에파메이논사스의 上
出生地 테바이
死亡地 萬티네이아
服務 스트라테고스
最終階級 스트라테고스
主要 參戰 레욱트라 戰鬪
萬티네이아 戰鬪

에파메이논다스 ( 古代 그리스어 : ?παμειν?νδα?, 紀元前 410年 警 ~ 紀元前 362年 )은 紀元前 4世紀 테바이 의 將軍이자 政治家이며, 테바이를 이끌어 스파르타 의 支配에서 벗어나 그리스 政治의 頂上에 세웠다. 이 過程에서 에파메이논다스는 紀元前 371年 의 〈 레욱트라 戰鬪 〉에서 스파르타의 軍事力을 무너뜨리고, 200餘 年間 스파르타의 奴隸로 살던 메세니아 헤일로타이 들을 解放하였다. 에파메이논다스는 그리스의 政治 地形을 바꾸었으며, 옛 同盟을 解體하고 새로운 同盟을 結成하였으며 全體 都市들의 建設을 監督하였다. 그는 여러 主要 戰術을 考案하고 實行하여 軍事的으로도 影響力이 있었다.

生涯 [ 編輯 ]

紀元前 420年 무렵, 에파메이논다스는 테베 의 貴族으로 태어났다. 가난한 貴族 집안이었지만, 높은 敎育을 받았고, 特히 피타고라스 學派 의 哲學을 사랑했다.

중장步兵 으로 軍隊에 合流하여 紀元前 385年 에 그리스의 霸權을 노리는 스파르타 의 援軍으로 萬티네이아 攻掠에 신성대 를 이끌고 參加했다. 가장 親한 親舊였던 펠로피다스 가 負傷을 입었고, 스파르타 에 依해 救出될 때까지 그를 지켜 냈다.

紀元前 385年 , 스파르타 테베 를 合倂하고 合倂을 反對하는 有力者들을 追放했다. 追放 當한 사람 中에 펠로피다스가 包含되어 있었지만, 危險이 없는 것으로 看做된 에파메이논다스는 追放을 면할 수 있었다. 에파메이논다스는 아테네 에서 母國을 解放시킬 機會를 엿보고 있었던 펠로피다스의 連絡을 받고 테베의 獨立을 決心한다. 紀元前 379年 , 펠로피다스 一派에 依한 테베의 市民 蹶起가 成功하여 테베는 스파르타의 支配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테베는 펠로피다스의 指導 下에 理解가 一致된 아테네와 同盟을 맺고, 스파르타와의 戰鬪를 避하면서 强化에 유리한 狀況을 만들어 내며 漸次 아테네와 反目하게 된다. 紀元前 374年 에는 講和 會議가 열렸는데, 보이오티아 여러 都市에서 撤收를 要求하는 스파르타 의 王 亞憩室라오스 2歲 와 協商은 決裂되었고 스파르타는 테베를 攻略할 決心을 한다.

레우크트라 戰鬪 [ 編輯 ]

레우크트라 戰鬪, 371 BC, 에파메이논다스의 戰術的 前進을 보여준다

紀元前 371年 , 에파메이논다스는 레우크트라 戰鬪 를 통해 보이오티아 여러 都市에서 모은 軍隊의 總司令官으로서 스파르타를 이끄는 펠로폰네소스 同盟 勢力과 對決을 펼친다. 레욱트라 戰鬪에서 數的으로 優勢한 스파르타군을 相對로 斜線隊形을 처음으로 導入하여 戰鬪를 勝利로 이끌었다. 레욱트라 戰鬪 以前까지의 戰鬪의 樣相은 各 陣營의 右翼이 左翼을 攻擊하고, 左翼이 右翼의 攻擊을 버티는 式이었다. 스파르타는 중장步兵을 一列로 均一하게 配置하는 一般的이지만, 效果的인 陣形을 構築했다. 그에 맞선 에파미논다스는 左翼에 테바이 신성대 와 騎兵隊를 筆頭老漢 50列의 縱深을 構築하여 스파르타의 大型을 粉碎하고 戰鬪를 勝利로 이끌었다.

以後 그리스의 霸權을 追求하기 위해 紀元前 370年 , 펠로폰네소스 遠征을 決行한다. 中間에 指揮權의 任期가 滿了되었지만, 進軍을 繼續하여 스파르타의 要衝地를 攻擊했다. 그러나 아테네가 스파르타의 支援을 決定하자, 進軍이 어려워졌기 때문에, 테베로 歸國했다. 歸國 後, 母國의 監察官은 無斷으로 指揮權을 延長한 것으로 不法으로 規定하고, 그에게 死刑 裁判을 要求했지만, 에파메이논다스는 自身을 辯護하는 演說을 통해 窮地에서 벗어났다. 以後 다시 遠征을 떠나, 스파르타와 아테네에 打擊을 주었지만 反擊의 機會를 엿보고 있던 國內의 政敵에 依해 前과 不足으로 叱責을 當해 政界에서 追放된다. 그 戰鬪에서 一般 軍人으로 參加해 我軍이 敵의 埋伏에 當해 全滅의 危機에 빠졌을 때 그는 指揮權을 移讓 받고 我軍의 危機를 救했다.

萬티네이아 戰鬪 [ 編輯 ]

아이작 발라벤 , 에파메이논다스의 죽음 . 암스테르담 國立美術館 .

紀元前 362年 , 테게아 의 出兵 要請에 應해 테베는 萬티네이아와 同盟을 맺은 스파르타, 아테네와 다시 衝突하였고, 네 番째 펠로폰네소스 遠征을 떠났다. 萬티네이아 戰鬪 에서 에파메이논다스는 스파르타와 萬티네이아를 奇襲했지만, 戰果를 거두지 못했고, 回轉을 치루어야 했다. 이 戰鬪에서 에파메이논다스는 스스로 突擊隊를 이끌고 敵을 敗走시켰지만, 自身은 戰鬪 中에 槍을 맞고 戰死했다.

萬티네이아에서 그를 비롯한 高級 將校를 모두 잃고 더 以上 그의 軍事 敎理 를 傳播할 수 있는 테베 사람은 없었기 때문에 테베의 霸權을 維持하는 것은 困難을 겪게 되었다. 그것을 繼承한 사람은 테베에서 3年間의 人質 生活을 해야했던 마케도니아 王國 필리포스 2歲 였으며, 그와 그의 아들 알렉산더 3歲 以後에 ‘마케도니아의 팔랑크스 ’를 일궈낸, 카이로네이아 戰鬪 에서 테베 軍隊를 물리치게 된다.

評價 [ 編輯 ]

비록, 萬티네이아 戰鬪 에서 重傷을 입고 戰死하였지만 로마 의 雄辯家 키케로 는 그를 일컬어 ‘그리스의 第1人者’라고 불렀다. 그럼에도 不拘하고 오늘날에 에파메이논다스는 比較的 덜 알려져있는 便이다. 그가 構築한 그리스의 政治 秩序는 霸權과 同盟의 變遷이 繼續되면서 그의 生前에 이미 갈라지게 되었다. 그가 죽은 지 27年 만에 알렉산드로스 大王 은 抵抗하는 테바이 를 破壞하였다. 그리하여 當代에 理想主義者이자, 解放者로 讚美받던 에파메이논다스는 오늘날 主로 10餘 年間( 紀元前 371年 ~ 362年)의 戰爭으로 그리스 霸權國들의 國力을 약화시켜 마케도니아 가 그리스를 征服하게끔 環境을 造成한 것으로 評價받는다.

文獻 [ 編輯 ]

紀元前 420年 무렵, 에파메이논다스는 테베 의 貴族으로 태어났다. 古代 文獻에 依하면, 에파메이논다스는 同時代에 親하게 지냈던 이들(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歲 펠로피다스 )과 比較해 그 삶에 對한 情報가 貧弱한 便이다. 이러한 主要 理由 中의 하나가 플루타르코스가 그의 電氣를 紛失했다는 것이다. 에파메이논다스는 《 플루타르코스 英雄傳 》의 擴張版에 記錄된 約 50人의 古代 人物 中 한 사람이었고, 그 著書에서 로마의 政治家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와 比肩되고 있지만, 둘 모두 電氣가 流失되었다. [1] 플루타르코스는 에파메이논다스의 죽음 以後 400年을 記錄하고 있었고, 그러므로 2次 文獻이기는 하지만, 그의 著書에서 뚜렷하게 그의 이름이 登場한다. 이것으로 그의 말을 어느 程度 證明할 수 있었다. [2]

에파메이논다스의 삶에 對한 보다 仔細한 內容은 플루타르코스 英雄傳에서 同時代 사람이었던 〈펠로피다스〉 篇과 亞憩室라오스 2歲 便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現存하는 에파메이논다스의 電氣 中에 로마인 이었던 코르넬리우스 네포스 1世紀 에 쓴 것이 있으며, 플루타르코스의 著書가 紛失될 狀況에서 에파메이논다스의 主要한 文獻이 되었다. [3]

參考 文獻 [ 編輯 ]

  • 코르넬리우스 네포스 의 《英雄傳》
  • Anderson, J.K. (1970). 《Military theory and practice in the age of Xenophon》. 버클리: 캘리포니아 大學校 出版部. ISBN   0-520-01564-9 .  
  • Buckler, John (1980). 《The Theban hegemony, 371-362 BC》. 캠브리지, MA: 하버드 大學校 出版部. ISBN   0-674-87645-8 .  

各州 [ 編輯 ]

  1. Buckley, Aspects of Greek History , 12
  2. e.g. Themistocles 25 has a direct reference to Thucydides 1.137
  3. 코르넬리우스 네포스 , 에파메이논다스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