言語計劃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言語計劃 (language planning)은 意思疏通의 問題를 解決할 目的으로 한 社會에서 言語의 機能을 변화시키기 위해 政府가 公認하고 長期間 持續하며 加하는 意識的인 努力이다. [1] 言語計劃은 現在 使用되는 言語를 바꿔나가기 위해 組織的으로 現實에 介入하는 것이다. 많은 나라들은 政府 單位에서 그런 機關을 維持하고 있으며 大韓民國 에도 國立國語院 이 있다.

性格 [ 編輯 ]

言語計劃이라는 말은 主로 第3世界 國家들의 國民國家 建設이나 近代化 過程에서 많이 言及되었다. 正體性 確立의 主要 手段으로 言語 標準化가 가장 重要한 政策 中 하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事實 제3세계만의 現象도, 近代化 過程에서만의 現象인 것은 아니다.

言語計劃은 國家單位에서만 벌어지는 것은 아니고 民族單位나 地域單位에서도 얼마든지 벌어질 수 있다. 한 民族이 두個 以上의 國家로 나뉘어있다면 그 때는 國家 單位를 넘는 일이 되기도 한다. 文字가 없는 言語를 위한 國際機構로는 國際 SIL 이 있다.

地位 計劃 [ 編輯 ]

地位 計劃(status planning)은 여러 言語가 있을 때 어떤 言語를 國語 로 삼고 어떤 것을 公用語 로 삼을 것인지, 或은 어떤 言語를 標準語 로 두고 어떤 것을 方言 으로 둘 것인지를 定하는 것이다. 이 過程에서 어떤 文字를 쓸 것인가에 對한 問題가 불거지기도 한다. ( 言語政策 을 參考하라)

地位 計劃은 한 國家가 獨立할 때 매우 重要하게 여겨진다. 例를 들어 少數民族의 자국어 話者들이 子女들을 교육시킬 때 自身들의 言語 使用을 (恣意的 或은 他意的으로) 否定하면 그 言語는 머잖아 旣存의 地位를 잃게 된다. 事實 地位 그 自體는 相對的인 槪念이므로 그 地位는 漸進的으로 向上될 수도, 減少될 수도 있다.

資料計劃 [ 編輯 ]

資料計劃(corpus planning)은 한 言語를 標準化시키기 爲해 綴字法, 어원, 辭典編纂, 文獻整理 等을 遂行하는 것이다. 資料計劃의 目標는 한 言語가 對話, 公的生活, 敎育 等에 問題없이 活用될 수 있도록 그 言語의 言語資源을 發展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過程에서 言語純粹主義者들은 外來語를 排斥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며(순 우리말 使用 運動 等) 새로운 綴字法에 對한 苦悶이 생기기도 한다(현대 터키어의 로마字化 等).

習得計劃 [ 編輯 ]

敎育計劃(acquisition planning)은 國語, 公用語, 外國語를 어떻게 교육시킬것인가를 苦悶하는 것이다. 敎育計劃은 言語 擴散에 直接的인 影響을 미치고 또 文化와의 關聯이 높기 때문에 各 國家들은 自國民을 위한 敎育機關을 維持하는 同時에 海外에서 文化院을 運營하면서 자국어를 퍼뜨리기 위해 努力하고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웨인스타인(1980)의 正義를 워더友誼 '現代 社會言語學' 2板(박의재 驛, 韓信文化史)에서 再引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