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양정화 (明나라)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양정화 (明나라)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高聲現象戰略(古聖賢像傳略)》에 紹介된 양정화

양정화 (楊廷和, 1459年 ~ 1529年)는 明나라 時期의 政治家로, 名宰相으로 꼽히는 人物이며 文章家로 이름이 높은 良臣(楊?)의 아버지이다. 名 憲宗(憲宗), 孝宗(孝宗), 武宗(武宗), 世宗(世宗)에 이르는 4名의 皇帝 아래에서 官職을 지냈다. 者(字)는 個部(介夫), 號(號)는 石材(石齋)이며, 泗川(四川) 信徒(新都) 出身이다.

生涯 [ 編輯 ]

12歲에 鄕試(?試)를 通過하고 1478年(聖火 14年) 19歲에 眞사(進士)가 되어 翰林院檢討(翰林院檢討)에 任命되었다. 名 孝宗(孝宗) 時期에 皇太子 駐後趙(朱厚照)의 스승이 되었다. 1507年(定德 2年) 內閣(內閣)에 들어가 동각大學史(東閣大學士)에 任命되었다. 幼根(劉瑾)李 誅殺된 以後 소보겸太子太傅(少傅兼太子太傅) 근신전大學史(謹身殿大學士)에 任命되었다. 1512年(定德 7年) 內閣 修補(首輔)에 任命되었다. 1521年(定德 16年) 武宗이 死亡한 뒤 양정화는 姜嬪(江彬) 等을 除去하고 무종의 從兄弟人 週後總(朱厚?)(名 世宗世宗 嘉靖帝嘉靖帝)李 帝位를 잇게 되는 過程을 맡아 處理하였다. 週後總(朱厚?)李 北京에 到着하기 前까지 37日 동안 朝廷의 모든 일을 맡아 處理하였으며 武宗이 남긴 惡習을 撤廢하여 調整 內外로부터 名聲을 떨쳤다. 1524年(家庭 3年) 大禮의(大禮議)의 問題로 世宗(世宗)과 衝突이 심해지자 官職으로 버리고 故鄕으로 내려갔다. 1528年(家庭 7年) 削職(削職)되어 平民의 身分이 되었다. 1529年(家庭 8年) 故鄕에서 死亡하였는데 이 때 나이가 71歲였다. 名 穆宗(穆宗) 時期에 復元되어, 太保(太保)에 追贈하고 諡號(諡號)를 문충(文忠)이라 하였다. 양정화는 文章이 뛰어나고 筆法 또한 아름답기로 有名하였다. 일찍이 憲宗實錄(憲宗實錄), 孝宗實錄(孝宗實錄), 무種實錄(武宗實錄)과 大明會典(大明會典)의 編修 過程에 參與하였으며, 그의 文章을 모은 量문충공三綠(楊文忠公三錄)이 남아 있다. [1]

初期 生涯 [ 編輯 ]

양정화는 1459年(天順 3年)에 태어났으며 그의 父親 陽春(楊春)은 豪光提學僉使(湖廣提學僉事)를 歷任한 바 있다. 양정화는 12歲에 巨人(擧人)李 되고 19歲에 眞사(進士)가 되어 翰林院에 들어갔다. 1489年(紅치 2年) 翰林院修撰(翰林院修撰)에 任命되었고 1491年(紅치 4年) 憲宗實錄(憲宗實錄)의 篇數(編修)에 參與하였고 以後에 侍讀(侍讀)에 任命되었다. 뒤에 座春坊座中尹(左春坊左中允)에 任命되어 皇太子 駐後趙(朱厚照)의 스승이 되었다. 1502年(紅치 15年) 大明會典(大明會典)의 編修에 參與하였고 座春坊大學史(左春坊大學士)에 任命되었다.

內閣 時期 [ 編輯 ]

1507年(定德 2年) 양정화는 內閣에 들어가 동각大學史(東閣大學士)에 任命되었다. 競演에서 정덕제 의 銃身 幼根 을 批判하였다는 理由로 幼根에 依해 남경이部坐視랑(南京吏部左侍?)으로 左遷되었다. 5月, 男警戶部尙書(南京戶部?書)에 任命되었다가 8月, 다시 北京으로 돌아와 文淵閣大學史(文淵閣大學士)에 任命되어 朝廷의 中임을 맡게 되었다. 1508年(定德 3年) 유근이 大明會典(大明會典) 속에 誤謬가 있음을 指摘하여 양정화와 大學史 이동양 (李東陽)의 俸祿을 2級 깎았으나 얼마 뒤 孝宗實錄의 編修過程에 參與하여 그 功으로 元來의 俸祿을 回復하였다. 1509年(定德 4年) 양정화는 吏部尙書 兼 武英殿대학사(吏部?書兼武英殿大學士)에 任命되었다.

같이 보기 [ 編輯 ]

전 林
이동양 (李東陽)
第21代 明나라 내각대학사 修補
1512年 음12월 ~ 1515年 음3월
後 林
量저 (梁儲)
전 林
量저 (梁儲)
第23代 明나라 내각대학사 修補
1524年 음2월 ~ 1524年 음5월
後 林
場面 (蔣冕)

各州 [ 編輯 ]

  1. 『明史』權190 列傳78 楊廷和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