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아우구스트 란트메서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아우구스트 란트메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아우구스트 란트메서
동그라미 안에 있는 사람이 란트메서.

아우구스트 란트메서 ( 獨逸語 : August Landmesser , 1910年 5月 24日 [1] ~ 1944年 10月 17日 )는 獨逸 함부르크 블롬 플루스 포스 造船所의 勞動者였다. 1936年 6月 13日 [2] 獨逸 戰爭海軍 바크 級 訓鍊함 SSS 호르스트 베셀 의 進水式 當時 [3] 다른 모든 사람들이 나치 敬禮 를 하는 가운데 혼자 팔짱을 끼고 비웃으며 구경만 하고 있는 寫眞이 撮影되어 所謂 "나치 敬禮를 하지 않은 男子"(Guy Who Refused To Give A Nazi Salute), "팔짱을 낀 男子"(The Man Behind The Crossed Arms)로 有名해졌다. [4]

生涯 [ 編輯 ]

아우구스트 란트메서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州 모레게 에서 아우구스트 프란츠 란트메서(August Franz Landmesser)와 빌헬미네 마그달레네 슈미트포트(Wilhelmine Magdalene Schmidtpott) 사이에 태어난 외동아들이었다. 1931年 란트메서는 일자리를 求하려고 나치당 에 入黨했으나, 1935年 이르마 에클러(Irma Eckler)라는 유대人 女性과 사귀게 되어 黨에서 제명당하였다. [5] 란트메서와 에클러는 함부르크에서 結婚했고, 둘이 結婚하고 한 달 뒤 뉘른베르크法 이 通過되어 유대人과 獨逸人의 結婚이 禁止되었다. 1935年 10月 29日 長女 잉그리드(Ingrid)가 태어났다. [5]

有名한 寫眞이 撮影된 지 1年 뒤인 1937年 란트메서는 아내와 함께 덴마크 로 逃避하려 했으나 失敗했고, 1937年 7月 人種汚染罪 로 告發當했다. 란트메서는 아내가 純血 유대人인 줄 自身도, 아내 스스로도 몰랐다고 抗辯했고, 1938年 5月 27日 유대人 女子와 夫婦 生活을 繼續할 境遇 監獄에 갈 것이라는 警告를 받고 證據 不充分으로 풀려났다. 그러나 란트메서는 아내와 離婚하지 않았고, 1938年 7月 15日 다시 逮捕되어 니더작센 엠瑟란트라거 强制收容所로 보내졌다.

란트메서가 收容所에 끌려간 뒤 妊娠 中이었던 에클러는 게슈타포 에게 체포당해 풀스뷔텔 刑務所에 收監되었고, 監獄에서 둘째 딸 이레네(Irene)를 낳았다. [2] 란트메서 姊妹는 孤兒院으로 보내졌다가 그 뒤에 할머니가 데리고 갔다. 1941年 이레네는 다른 家族에게 入養되었고, 잉그리드 亦是 1953年에 할머니가 죽자 그 家族이 데리고 깄다. 에클러는 아이들을 빼앗긴 뒤 이곳저곳 强制 收容所를 오가다가 1942年 2月頃 베른부르크 安樂死 센터 에서 다른 사람 14,000餘名과 함께 殺害당했다.

한便 란트메서는 1941年 1月 19日 監獄에서 出所하여, [5] 한동안 퓌스트(Pust) 貨物運送會社의 監督으로 일했다. [6] 그러다 1944年 2月 罪囚部隊 第999아프리카 警査團 에 徵兵되어 戰爭터에 끌려갔고, 1944年 10月 17日 크로아티아 펠레샤츠半島 스톤 에서 附近에서 失踪되었으며 作戰 中 死亡 한 것으로 看做되었다. 란트메서와 에클러는 1949年 法律的으로 死亡이 宣告되었다.

함부르크 市議會는 1951年 여름 아우구스트 란트메서와 이르마 에클러의 結婚을 溯及 適用하였고, 그해 가을 큰딸 잉그리드는 "란트메서"로 姓(姓)을 바꿨다. 작은딸 이레네는 그 뒤로도 "에클러"라는 姓을 使用했다. 1991年 3月 22日에는 아우구스트 란트메서가 1936年 6月 13日에 나치 敬禮를 한 사람들 속에서 혼자서 팔짱을 낀 寫眞이 獨逸의 新聞 《디 차이트》를 通해 公開되었다.

各州 [ 編輯 ]

  1. Eckler, Irene (1996). Die Vormundschaftsakte 1935-1958: Verfolgung einer Familie wegen "Rassenschande": Dokumente und Berichte aus Hamburg . Horneburg . 2014年 1月 15日에 確認함 .  
  2. Flock, Elizabeth (2012年 2月 7日). “August Landmesser, shipyard worker in Hamburg, refused to perform Nazi salute (photo)” . 《 워싱턴 포스트 》 ( Washington, D.C. : Washington Post Media ) . 2014年 1月 15日에 確認함 .  
  3. Simone Erpel: Zivilcourage : Schlusselbild einer unvollendeten ?Volksgemeinschaft". In: Gerhard Paul (Hrsg.): Das Jahrhundert der Bilder, Bd. 1: 1900?1949, Gottingen 2009, S. 490?497, ISBN   978-3-89331-949-7
  4. Straße, Amanda. “Verbotene Liebe | Courage” . 《Fasena.de》. 1&1 Internet . 2014年 1月 15日에 確認함 .  
  5. Roux, Francois. Comprendre Hitler et les allemands . Paris : Max Milo Editions . ISBN   9782315004614 . 2014年 1月 15日에 確認함 .  
  6. Straße, Amanda. “Father reported missing” . 《Fasena.de》. 1&1 Internet . 2014年 1月 15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