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水剌床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水剌床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水剌床 (水刺床)은 高麗 末과 朝鮮時代의 宮中 飮食에서 王에게 올리던 밥床을 높여 부르는 말이다. '수라'라는 말은 高麗 元宗 때 傳해진 몽골語 로, 飮食을 뜻하는 '슐라'에서 온 것으로 보고 있다. 하루에 아침과 저녁 두 次例에 걸쳐서 받았으며, 아침 수라는 午前 10時頃, 저녁 數라는 午後 5時頃에 들었다.

水剌床은 12첩 班常차림으로 圓盤과 곁盤, 冊床盤의 3賞으로 構成되어 있다. 圓盤에는 흰水剌, 藿湯(미역국), 措置(찌개), 찜(先), 전골, 김치, 醬과 함께 12가지 飯饌을 놓았으며, 곁盤에는 팥水剌, 곰湯, 別食 肉膾, 別食 水卵, 車周鉢, 次官, 恩功機 3個, 銀접시 3個, 冊床盤에는 전골, 醬국, 고기, 참기름, 鷄卵, 脚色菜蔬 等을 놓았다. 12牒은 더運柩이(육류, 魚類)와 贊구이(金, 더덕, 菜蔬), 煎油魚, 片肉, 熟菜, 生菜, 조리개(조림), 젓갈, 長과(장아찌), 마른贊(자반, 튀각), 別饌, 生灰 또는 宿懷로 構成되었다.

흰水剌와 藿湯, 팥水剌와 곰湯을 各各 圓盤과 곁盤에 따로 올려서 먹고 싶은 수라와 湯을 고를 수 있게 하였다. 措置는 젓국 措置와 土葬 措置 2가지를 準備하였으며, 肉類는 찜, 菜蔬類는 線으로 올리고, 전골의 境遇는 火爐와 전골틀을 함께 두어 冊床盤에 準備해둔 고기와 菜蔬, 양념을 卽席에서 調理하여 지찬하였다. 김치類는 송송이와 젓국지, 동치미를 놓았으며, 場에는 廳長과 草葬, 醋고추醬을 올렸다.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