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腦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小腦
小腦와 橋腦 가 强調되어있는 腦 圖面
小腦가 붉은色으로 標示되어 있다
情報
上位 構造 後腦
識別子
라틴語 Cerebellum
MeSH D002531
NeuroNames 643
NeuroLex ID birnlex_1489
TA98 A14.1.07.001
TA2 5788
FMA 67944

小腦 (小腦, cerebellum) 또는 작은골 脊椎動物 大部分의 後腦 에서 도드라게 觀察되는 의 一部分이다. 大槪 大腦 보다는 작지만, 코끼리고기과 動物과 같은 一部 動物들은 大腦보다 小腦가 더 큰 境遇도 있다. [1] 感覺 認知의 統合과 筋肉의 調整과 制御에서 重要한 役割을 擔當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 以外에도 注意, 言語와 같은 認知 機能과 두려움 調節, 快樂 反應 等에 關聯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2] [3] 運動機能의 境遇 運動 信號를 直接 내려주는 中樞가 아닌, 脊椎를 通해 들어온 感覺 情報와 其他 腦 領域의 信號들을 綜合하여 精密한 運動機能을 遂行하거나 협응 하여 遂行한다. [4]

解剖學的으로는 大腦 下部에 分離되어 存在한다. 不規則的으로 分布한 大腦 皮質 의 고랑들과는 다르게, 小腦 皮質의 고랑들은 서로 平行하여 規則的으로 配列되어있다. 小腦 皮質에는 여러 種類의 神經 細胞 가 規則的으로 配列되어 있는데 그 中 푸르키녜 細胞 顆粒細胞 가 特히 重要한 機能을 한다. 이들이 遂行한 作業들은 大部分이 小腦 中心部 白質 에 位置한 小腦心府核 을 通過해 다른 領域으로 傳達된다. [5]

救助 [ 編輯 ]

小腦는 다리腦 (pons) 등쪽의 第4腦室에 들씌워지듯이 存在하는 큰 構造로, 人間의 境遇 가로 10cm, 세로 5cm, 높이 3cm, 무게는 約 150g 程度이다.

小腦의 위쪽은 大腦 半球 의 後頭葉에 接해 있지만 거기에는 硬膜이 들어 있어 두 部位를 區分한다. 이 막은 지붕처럼 小腦를 덮고 있기 때문에 '小腦 텐트'라고도 한다. 小腦는 兩쪽으로 크게 부풀려 있는데, 이 部分을 '小腦 半球'라고 하며, 左右 小腦 半球에 낀 가느다란 中央部를 '忠部(蟲部, vermis)'라고 한다. 忠部와 小腦 半球는 形態的으로는 連續해 있으나 그 機能은 完全히 다르다. 또 進化的인 觀點으로 보면 忠部는 歷史가 긴 部分으로 '高(古)小腦'라고도 한다.

小腦는 매우 단단하게 접혀진 構造로 되어 있으며 皮質은 쭈글쭈글한 주름(小腦回)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大腦 半球와는 다르게 거의 平行으로 가로주름 模樣으로 있다. 주름 사이의 홈은 얕은 것이 主로 있지만 곳곳에 아주 깊이 패어있고, 內部에서 나뭇가지 模樣으로 갈라져있다. 小腦 白質의 깊숙한 안쪽으로 겹겹이 쌓여져있는 核들이 存在하며 가장 아래 部分은 液體로 가득찬 腦室이 存在한다.

小腦 半球는 高等動物에 發達한 部分으로, 이를 '新(新)小腦'라고 부르기도 한다. 魚類나 潮流에도 小腦는 發達해 있고 크기도 크지만 이들은 모두 告訴腦만으로 되어 있다.

小腦와 其他 腦와는 위, 中間, 아래의 세 가지 小腦 다리(cerebellar peduncle)에 依해 連絡을 하는데, 이들은 모두 神經 纖維 다발이다. 이 가운데 위小腦다리는 小腦核에서 나와 中腦·間腦 等으로 가는 纖維를 主로 含有하는데, 中間小腦다리는 大腦 皮質에서, 아래小腦다리는 硏修 · 脊髓 에서 小腦 皮質에 들어오는 纖維를 主로 含有하고 있다.

小腦의 內部 構造는 가장 바깥層에 神經 細胞 集團인 '겉質'(小腦 겉質), 그리고 여기서 나오는 神經 纖維 다발로 된 '속質'이 있으며, 가장 內部에는 神經 細胞 덩어리인 '小腦核'이 있다.

小腦 겉質의 層 [ 編輯 ]

두個의 半球로 이루어진 小腦 겉質(cerebellar cortex)은 모든 部分이 均等한 構造를 하고 있으며 中央部인 忠部(vermis)를 넘어 兩 옆에 있는 半球로 延長된다. 겉質의 表面이 매우 密接하게 접혀 小腦回(folia)를 이루고있다.

大腦 겉質 과는 매우 다른 模樣으로 小腦 겉質은 뚜렷하게 3層으로 나누어 진다.

분자층 [ 編輯 ]

분자층 (molecular layer)

분자층은 小腦 皮質 가장 바깥에 位置한다. 이 部分은 顆粒層의 顆粒 細胞(granule cell)들의 軸索人 平行纖維(parallel fiber)로 두텁게 뒤덮여있다. 여기서 顆粒細胞의 逐朔들은 푸르키네 細胞와 골지 細胞의 가지突起들에 글루타민産 시냅스 를 形成한다. 또한 이 層에는 바구니 細胞(basket cell)와 星狀細胞(stellate cell)가 存在하고, 이 細胞들의 가지突起 는 푸르키네 細胞와 같이 小腦皮質에 垂直으로 뻗어있어 顆粒細胞의 逐朔들과 글루타민産 시냅스 를 形成한다. 바구니 細胞와 星霜 細胞는 各各 푸르키네 細胞의 逐朔 및 細胞體와 푸르키네 細胞의 가지突起에 GABA 시냅스를 形成한다. 하나의 바구니細胞는 小腦皮質의 橫斷面에서 10個 程度의 푸르키네 細胞와 神經接合을 이룰 수 있다. 그 外에도 星狀細胞들은 自己들끼리 GABA 시냅스를 形成한다.

조롱박層 [ 編輯 ]

조롱박層 (Purkinje layer 또는 Purkinje cell layer) 또는 조롱박세포층 또는 푸르킨예세포층 또는 푸르키네세포층

푸르키네 細胞層은 과립층 바로 바깥쪽에 位置한다. 여기에는 小腦 皮質에서 눈에 띄는 '푸르키네 細胞'의 세포체들이 자리한다. 지름 15-20um의 세포체가 푸르키네 세포층에 늘어서 있고, 여기서 나오는 軸索 (遠心性)은 皮質에서 나와 小腦核으로 向하는데, 이것이 小腦 皮質에서 小腦核으로의 唯一한 神經纖維이다. 푸르키네 細胞의 樹狀 突起는 가늘게 가지가 갈라지면서 부채꼴로 퍼져 분자층으로 뻗어나간다. 여기서 올리브核에서 뻗어나온 登頂纖維들이 各 푸르키네 細胞마다 하나씩 붙어 글루타민産 시냅스를 形成하고 首相 突起를 따라 繼續 시냅스 를 形成해가며 분자층으로 올라간다. 또한 분자층의 바구니細胞로부터 뻗은 逐朔이 푸르키네 細胞 逐朔의 첫番째 마디와 세포체를 바구니처럼 감싸면서 GABA 시냅스 를 形成한다.

과립층 [ 編輯 ]

과립층 (granular layer)

과립층은 小腦 皮質의 가장 안쪽 部分으로 이끼纖維를 통해 外部로부터 入力信號가 들어오는 部分이다. 顆粒層의 가장 큰 特徵은 지름 5~8um 程度의 작은 顆粒 細胞들이 密集되어 있는 것이다. 顆粒 細胞는 核膜 周圍에 染色顆粒을 가지고 있어서 小腦 皮質을 染色하면 매우 津하게 染色이 된다. 이 顆粒細胞들의 數는 매우 많아 人間의 境遇 中樞神經系의 神經細胞들 中 50% 以上을 차지한다. 顆粒細胞(granule cell)의 逐朔들은 과립층에서 垂直으로 上昇하여 分子層까지 들어간 後 여기서 2갈래로 갈라져서 小腦 皮質의 平行方向으로 뻗어 平行纖維(parallel fiber)를 이룬다. 이 外에도 골지 細胞, 홑극솔 細胞 (unipolar brush cell), 壘가로 細胞 (Lugaro cell)들이 存在하여 神經網을 形成한다. 具體的으로는 이끼纖維들이 顆粒 細胞, 骨홑極붓털 細胞 (unipolar brush cell), 골지 細胞에 글루타민산 이 傳達物質인 시냅스 를 形成하며, 홑극솔 細胞는 다시 顆粒細胞에 다시 글루타민産 시냅스 를 形成한다. 골지 細胞 또한 亦是 顆粒 細胞에 감마 아미노뷰티르山 (GABA)을 信號物質로 하는 시냅스 를 形成한다. 루가로 細胞들은 푸르키네 細胞들로부터 GABA 入力을 받고 다시 골지 細胞들에게 軸索을 보내 GABA 시냅스 를 形成한다.

細胞 構成 [ 編輯 ]

푸르키네 細胞(Purkinje cell); 조롱박 細胞

분자층과 顆粒層 사이에 두 層의 細胞層을 따라서 늘어서 있다. 그 가지突起 는 普通 細胞體의 말초부에서 1~2個의 1次 가지突起로 始作하여 皮質의 表面을 向해 廣範圍하게 퍼져 그 끝이 煙幕 바로 아래까지 位置한다. 푸르키네 細胞의 幅은 約 30μm이고 直徑은 約 70μm이다. 가지突起 가시(spine)가 約 180,000個가 存在하여 가지突起 受容面이 매우 넓어지며 사람에게 푸르키네 細胞는 約 15X10 6 個로 推定된다.

푸르키네 細胞의 軸索, 特히 忠部(vermis)에서 나오는 것은 前庭神經外側核에 到達하는 것이 있다. 푸르키네 細胞의 逐朔은 測地를 내서 骨脂細胞나 바구니細胞의 가지突起와 시냅스結合을 한다.

骨脂細胞(Golgi cell)

骨脂細胞는 顆粒層의 表層 가까이에 있고 긴 放射狀의 가지突起를 모든 方向으로 펼치고 있다. 이들 가지突起의 大部分이 분자층으로 들어가지만 顆粒層에만 存在하는 것도 間或 있다. 골지 細胞의 逐朔은 세포체의 아래部分에서 始作하는데 이때 細胞體에서 나오자마자 微細하게 分枝하여 빽빽한 纖維속을 이루어 과립층에 分布한다. 骨脂細胞의 逐朔은 이끼纖維와 함께 顆粒細胞의 가지突起에 시냅스 結合하여 이른바 小腦絲球體를 形成한다. 骨脂細胞로 들어가는 興奮衝動은 主로 分子層의 平行纖維(parallel fiber)와 푸르키네 細胞의 軸索測地에 依해 傳達된다.

顆粒細胞(granule cell)와 이끼 纖維(mossy fiber)

顆粒細胞는 中樞神經系 中에서 가장 작은 神經細胞이며 小腦皮質의 崔深層 卽 과립층에는 無數한 顆粒細胞가 密集해 있다. 顆粒細胞의 直徑은 5~7μm이고 核은 原形으로 染色이 잘되고 얇은 細胞質層에 둘러싸여 있다. 顆粒細胞는 各各 4~7個의 가지突起를 放射絲으로 펼치고 있다. 가지突起의 갈고리 模樣의 終末部는 小腦 絲球體에 들어가 여기서 이끼纖維와 시냅스 連結한다.

이끼 纖維는 各 20~30個의 絲球體에 가지를 보내며 絲球體는 各各 約 15個의 다른 顆粒細胞로부터 가지돌기를 받고 있다. 따라서 各 1個의 이끼纖維가 적어도 300個의 顆粒細胞와 連結된다.

顆粒細胞의 逐朔은 분자층에 垂直으로 上行하여 여기서 2個의 가지로 갈라진다. 이렇게 갈라진 가지는 平行纖維(parallel fiber)로 되어 小腦會議 長軸에 平行해서 2~3mm 뻗어있다. 顆粒層의 深部에 있는 顆粒細胞의 逐朔은 분자층의 深部에서 갈라져 푸르키네 細胞의 가지突起의 가까운 部位의 가지突起極과 시냅스 結合한다.

분자층에 있어서 平行纖維는 마치 電話線의 굵은 다발 같이 푸르키네 細胞의 가지突起에 垂直으로 걸려 있다. 平行纖維는 約 220個의 푸르키네 細胞를 通過하고 各 푸르키네 細胞는 3X10 5 ~ 4X10 5 個의 平行纖維에 依해 貫通된다.

바구니 細胞(basket cell)과 星狀細胞(stellate cell)

바구니細胞와 星狀細胞는 분자층에 있으며 이들 細胞의 가지突起 는 푸르키네 細胞의 가지突起와 마찬가지로 시상면에 分布한다. 逐朔은 세포체의 아래에서 始作하여 시상면으로 푸르키네 細胞의 가지突起 盆地와 平行하게 갈라져 位置한다. 바구니 細胞의 逐朔은 細胞體에서 若干 떨어진 곳에서 下行止를 내고 이들은 많은 시냅스로 푸르키네 細胞에 終止하지만 이보다 먼저 푸르키네 細胞 軸索을 바구니 模樣으로 둘러싼다.

1個의 바구니 細胞의 逐朔은 施賞方向으로 달려서 約 12個의 푸르키네 細胞와 結合하고 이것과 垂直方向으로 2~3個의 푸르키네 細胞와 結合한다. 그러므로 바구니細胞는 分子層의 深部에 있는 特殊化 된 星狀細胞로 볼 수 있다. [6]

오름纖維(climbing fiber)

오름纖維는 腦줄기(brainstem)와 反對便 아래올리브核(inferior olivary nucleus)을 통하여 푸르키네 細胞로 信號를 傳達한다. 오름纖維는 小腦皮質로 들어가기전 約 10個의 가지로 나누어져 푸르키네 細胞의 가지突起와 數 百個의 시냅스를 形成한다. 平行纖維(parallel fiber)가 푸르키네 細胞로 많은 信號를 보내는 反面, 오름纖維는 푸르키네 細胞로 하나의 信號만 보낸다. 오름纖維의 活動電位는 푸르키네 細胞의 活動電位를 誘導한다.

役割 및 作用 [ 編輯 ]

小腦의 들神經(afferent fiber)은 날神經(efferent fiber)에 비해 約 3倍 程度로 많다.

求心性 回로(Afferent pathway) [ 編輯 ]

小腦로 들어오는 纖維는 아래小腦다리(inferior cerebellar peduncle), 中間小腦다리(middle cerebellar peduncle), 위小腦다리(superior cerebellar peduncle)이 있으며, 主로 아래小腦다리와 中間小腦다리를 통한다.

다리腦小腦로(corticopontocerebellar pathway)

皮質橋腦 纖維(corticopontine fiber)는 大腦 皮質의 이麻葉, 頭頂葉, 側頭葉, 뒤통수葉의 神經細胞가 大腦부챗살 (corona radiata)과 속纖維膜 (internal capsule)을 지나서 校核, 다리腦核(pontine nuclei)에 到着한다.

올리브小腦로(crebro-olivocerebellar pathway)

皮質올리브 纖維(cortico-olivary fiber)는 大腦 皮質의 이麻葉, 頭頂葉, 側頭葉, 뒤통수葉의 神經細胞가 房士官 (corona radiata)과 內包 (internal capsule)를 通過하고 小腦 兩 쪽에 存在하는 올리브核에 到着한다.

그물小腦로(cerebroreticulocerebellar pathway)

大腦 皮質 中 感覺 領域에 存在하는 神經細胞, corticoreticular 纖維가 硏修의 情中곁그물核(paramedian reticular nucleus)과 가쪽그물核(lateral reticular nucleus)으로부터 小腦의 兩쪽에 存在하는 아래小腦다리 核 (inferior olivary nuclei)로 들어온다. [7]

遠心性 回로 [ 編輯 ]

小腦 皮質에서 나가는 모든 遠心性 回路는 푸르키네細胞의 軸索을 통해서 나간다. 小腦 皮質에서 나가는 遠心性 纖維는 赤色 核(red nucleus), 施賞(thalamus), 剪定 複合體(vestibular complex), 網樣體(reticular formation)와 連結되어 있다.

둥근쐐기적색로 (Globose-Emboliform-rubal pathway)

構成核(둥근핵)과 전상핵(쐐기核 or 마개核)에서 나오는 逐朔은 위小腦다리(superior cerebellar peduncle)를 지난다. 그 後 赤色核에서 連接 結合을 한다.

齒牙視床路 (Dentothalamic pathway)

齒狀核에서 나오는 遠心性纖維는 賞小腦脚을 통해 小腦를 지나 赤核의 바로 옆을 上行해서 시상에서 延接하고 一部는 赤核에 連接 結合한다. 上行纖維는 大部分에서 下行星 測地가 棄市해 腦幹 피개部를 下行에서 피個部의 網狀體, 特히 情中방망詳覈과 連接 結合한다. 上行섬유군의 大部分은 施賞 外側 또는 全鰒側核과 連接 結合하고 大腦皮質 第 4, 6領域으로 透射된다.

? 中位核→反對側 赤核 大勢抱負→交叉性 赤核 硏修로, 赤核脊髓癆 ? 外側核→反對側 赤核→比較次星 赤核下올리브核

꼭지안뜰로 (Fastigial Vestibular pathway)

실정핵(꼭지核)의 低部에서 나오는 섬유군은 正中線을 交叉한 後 위小腦다리 周圍를 돌아 下行星 纖維는 反對側의 前程神經核이나 腦幹網狀體(그物體)에 連接 結合을 한다.

꼭지그물로 (Fastigial Reticular pathway)

실정핵의(꼭지핵) 低部에서 나오는 섬유군은 正中線을 交叉한 後 上小腦 各 周圍를 돌아 上行 纖維는 시상에 到達하여 延接 結合을 한다.

機能 [ 編輯 ]

小腦의 機能은 行動障礙를 檢査하는 過程에서 밝혀졌다. 小腦가 損傷될 境遇 微細한 움직임 調節에 問題가 發生한다. 小腦의 損傷 與否를 알아보는 檢事 中에는 팔을 兩 옆으로 뻗은 後 兩쪽 손가락이 만나는데 걸리는 時間을 測定하는 方法이 있는데, 小腦가 損傷된 사람의 境遇 손가락이 만나는 時間이 오래 걸리지만 小腦가 健康한 사람의 境遇 빠르게 손가락 끝이 닿는다. 1990年까지 小腦의 機能이 運動調節으로만 알려졌지만 以後 言語, 注意力 等의 새로운 機能이 밝혀졌다. 腦 部位間의 關係硏究에서 大腦皮質의 非運動部位와 小腦가 相互作用을 發見했으며, 運動能力과 關聯이 없는 患者들에서 小腦의 損傷이 確認되었다. Kenji Doya는 "小腦가 많은 數의 獨立的인 構造들로 構成되어있고 그 構造들은 幾何學的이고 規則的으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同一한 演算作用을 遂行한다. 그래서 小腦는 感情, 行動과 같은 서로 다른 特性을 調節할 수 있다"라 主張했다.

運動調節 [ 編輯 ]

小腦의 作用은 骨格筋의 活動 調節을 하는 것이다. 어떤 運動을 할지, 그러기 위해서는 몇 가지 筋肉을 어떻게 使用해야 하는지에 對한 計劃은 大腦 皮質의 前頭葉(6靈役)에서 세워지는데, 實際로 運動이 始作되고 나서 그 計劃대로 여러 活動이 實現되도록 피드백 機構로 關與하는 것은 小腦이다. 그래서 小腦는 '椎體 外로'라는 運動 命令 傳達 經路에 關係하고 있다.

이 調節 樣式은 두 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1. 첫째는 州로 內耳 의 坪型 感覺 器官 에서 오는 情報를 받아들여 몸의 重力과의 關係나 運動에 依한 加速度 變化 等에 對處하여 適切한 反射 運動을 하도록 調節하는 것이다. 平衡 感覺 機關에서 나온 剪定 神經은 一部는 直接的으로, 一部는 다리腦 등쪽에서 다른 神經과 結合한 뒤 小腦 皮質의 忠部(vermis)에 到達한다. 이 部分이 傷處를 입으면 眩氣症이 나거나 몸의 平衡이 깨진다. 또 이 部分에서의 命令은 敎義 등쪽이나 硏修의 神經核 또는 網樣體 에 보내진 뒤 곧바로 脊髓로 下行하기 때문에 大腦 皮質 等이 關與할 餘地는 거의 없으며, 調節은 完全히 無意識的으로 行해진다.
  2. 둘째는 骨格筋에 依한 數의 運動이 實行될 때 筋肉의 收縮 程度나 各種 筋肉의 協力을 위한 調節을 하는 것이다. 이것은 다시 둘로 나뉜다. 하나는 筋紡錘(筋紡錘)·건(腱)방추 또는 筋肉 自體에서 그 活動 狀態 情報를 받기 때문에 脊髓나 硏修 等을 거쳐 小腦 半球(新小腦)의 前半部에 到達한다. 또 하나는 大腦 皮質· 施賞 (間腦) 等에서 運動의 目的이나 計劃 等의 情報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校核을 통해 小腦 半球 後半部에 到達한다. 이 部分들이 損傷을 입으면 걸을 때 비틀거리거나 손을 目的物에 곧바로 뻗을 수 없거나 한다. 이것을 '小腦性 運動 失調'라고 한다.

小腦 皮質에서 내보내는 命令은 小腦核을 통해 主로 間腦나 中腦로 보내져 거기에서 椎體 외로에 連絡한다. 따라서 第1經路보다 複雜하며, 그만큼 다른 方面에서 情報가 介入할 餘地를 남기고 있다. 또 小腦核에서는 大腦 皮質에도 間接的이나마 連絡이 있으며, 調節 機構의 一部는 의식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學習 [ 編輯 ]

小腦는 運動學習에 重要한 役割을 하며, 行動을 開始하기 前 學習된 微細 움직임을 調節하는 役割을 한다. 하지만 微細調節을 하기 위한 運動學習을 小腦가 直接 關與를 하는 것인지, 團地 腦의 다른 部位에 運動學習에 對한 信號를 傳達하는 것인지에 關한 與否는 正確히 밝혀지지 않았다.

病理學 [ 編輯 ]

  • 小腦忠部症候群 : 小腦 忠部(vermis)의 水質芽細胞種을 原因으로 한 症狀이다. 便葉小節葉이 侵犯됨으로써 前庭階와 關聯된 症狀과 徵候들이 나타난다. 小腦忠部는 하나뿐으로 中央線上의 構造物들에 影響을 주기 때문에 四肢를 除外한 머리나 體幹에서 筋肉障礙가 나타난다. 앞이나 뒤로 쓰러지는 傾向이 있으며 머리를 支撐하거나 똑바로 서있기가 힘들다. 또한 몸통을 똑바로 세우는 것도 힘들다.
  • 言語障礙 : 小腦의 疾患으로 喉頭筋肉의 運動失調로 인해 構音障礙 가 發生할 수 있다. 말을 끊는 것이 痙攣的이며 音節들은 大槪 서로 分離되어 말하게 된다. 말이 暴發하듯 터지는 傾向이 있으며 音節들이 重複되는 수도 있다. 重要한 것은 小腦疾患에서는 痲痹나 感覺變化가 없다는 點이다.
  • 眼球運動障礙 : 眼球震盪은 眼球筋肉의 運動失調로서 眼球가 週期的으로 振動하는 現象이다. 眼球가 水平方向으로 便위되었을 때 더 쉽게 나타난다.
  • 前葉症候群 : 體位反射障礙와 除腦硬直이 나타나고 이들의 境遇 사람에서는 前葉症候群은 나타나지 않고 같은 部位의 障礙가 甚한 慢性알콜中毒에 依한 小腦變性예나 滿發설 小腦皮質萎縮症에서 다리에 甚한 失調症狀이 나타난다. 어느것이든 小腦症狀의 國宰는 반드시 明確하지 않다.
  • 新小腦症候群 : 新小腦의 障礙에 依해 같은 쪽의 筋肉緊張低下, 共同運動不能 및 變換運動障礙 들이 나타난다. 齒狀核까지 障礙되면 意圖進展이 더해진다.

歷史 [ 編輯 ]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가 1543年에 描寫한 腦의 下部

小腦는 겉模樣에 獨特한 特徵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最初의 解剖學者들度 이에 對한 記錄을 따로 남겼다. 아리스토텔레스 갈레노스 에 依해 引用된 헤로필로스 는 小腦를 腦( 古代 그리스어 : ?γκ?φαλο? )와 反對된다는 뜻으로 派렌케팔리스( 古代 그리스어 : παρεγκεφαλ?? )라 불렀다. 갈레노스는 小腦를 運動神經의 中樞로 보았다. [8]

以後 特別히 探究되지 않다가 르네상스 時代에 다시 注目된다.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 가 小腦에 對해 가벼운 論文 을 남긴 뒤 1664年 토마스 윌리스 에 依해 徹底하게 敍述되었다. 解剖學的 觀察을 넘어 機能的 發見이 始作된 것은 19世紀 初의 일이다. 1809年 루이지 롤란도 는 小腦가 損傷되면 運動障礙가 發生한다는 事實을 發見했다. 마찬가지로 19世紀 初盤 張피에르 플로랑은 動物 硏究를 통해 小腦가 損傷되어도 움직일 수는 있지만 運動에 對한 調停能力을 喪失한다는 것을 發見했고, 病變이 크지 않다면 機能을 一部 回復하는 것도 可能함을 밝혀냈다. [9] 20世紀가 되면서 小腦의 主機能이 運動調節과 關聯 있다는 것이 一般化되었고 20世紀 電氣에 들어 人間의 小腦疾患과 關聯된 몇몇 臨床的 症狀들도 仔細히 紹介되기 始作했다. [10]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Hodos, William (2009), 〈Evolution of Cerebellum〉, 《Encyclopedia of Neuroscience》, Springer, 1240?1243쪽, doi : 10.1007/978-3-540-29678-2_3124 , ISBN   978-3-540-23735-8  
  2. Wolf U, Rapoport MJ, Schweizer TA (2009). “Evaluating the affective component of the cerebellar cognitive affective syndrome”. 《Journal of Neuro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21 (3): 245?53. doi : 10.1176/jnp.2009.21.3.245 . PMID   19776302 .  
  3. Schmahmann JD, Caplan D (February 2006). “Cognition, emotion and the cerebellum”. 《Brain》 129 (Pt 2): 290?2. doi : 10.1093/brain/awh729 . PMID   16434422 .  
  4. Fine EJ, Ionita CC, Lohr L (December 2002).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he cerebellar examination”. 《Seminars in Neurology》 22 (4): 375?84. doi : 10.1055/s-2002-36759 . PMID   12539058 .  
  5. Purves D, Augustine GJ, Fitzpatrick D, Hall WC, LaMantia AS, White LE (2011). 《Neuroscience》 5板. Sunderland, Mass.: Sinauer. 417?423쪽. ISBN   978-0-87893-695-3 .  
  6. 臨床 神經解剖學, 신문균, 김계엽, 김본원, 김진상, 김현주, 이한기, 이혜자 (1999) 현문사
  7. 統合講義를 위한 臨床神經解剖學 5板 천명훈 外 18名
  8. Clarke E, O'Malley CD (1996). 〈Ch. 11: Cerebellum〉. 《The Human Brain and Spinal Cord》 2板. Norman Publishing. 629쪽. ISBN   978-0-930405-25-0 .  
  9. Ito M (December 2002). “Historical review of the significance of the cerebellum and the role of Purkinje cells in motor learning”.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978 (1): 273?88. Bibcode : 2002NYASA.978..273I . doi : 10.1111/j.1749-6632.2002.tb07574.x . PMID   12582060 . S2CID   22860609 .  
  10. Fine EJ, Ionita CC, Lohr L (December 2002).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he cerebellar examination”. 《Seminars in Neurology》 22 (4): 375?84. doi : 10.1055/s-2002-36759 . PMID   12539058 .  

參考 文獻 [ 編輯 ]

  • Clarke E, O'Malley CD (1996). "Ch. 11: Cerebellum". The Human Brain and Spinal Cord (2nd ed.). Norman Publishing. p. 629. ISBN   0-930405-25-0 .
  • Ito M (2002). "Historical review of the significance of the cerebellum and the role of Purkinje cells in motor learning". Ann. N. Y. Acad. Sci. 978: 273?288. Bibcode:2002NYASA.978..273I. doi:10.1111/j.1749-6632.2002.tb07574.x. PMID 12582060 .
  • Fine EJ, Ionita CC, Lohr L (2002).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the cerebellar examination". Semin. Neurol. 22 (4): 375?84. doi:10.1055/s-2002-36759. PMID 12539058 .
  • 神經解剖學 第 5板, 金性洙, 박승택, 徐煐錫, 안의태, 원무호, 이인환, 梨花洞, 허영범, 한후재, 황세진, 정문각(1996)
  • 神經解剖學 第 27板, 허영범 外 共譯, 梵文에듀케이션(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