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보니파티우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보니파티우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보니파키우스 에서 넘어옴)

보니파티우스 ( 라틴語 : Bonifatius , ? ~ 432年 )는 로마의 將軍이자 아프리카 敎區의 總督이었다. 그는 屬州 갈리아의 서고트족(비시고트)과 屬州 北아프리카의 반달족을 相對로 軍事 行動을 벌였고, 갈라 플라키디아(발렌티니아누스 3歲의 地域)의 同盟으로써 427年 부터 429年 까지 將軍 플라비우스 펠릭스(Flavius Felix), 432年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 (Flavius Aetius)를 代身해 로마 內戰에 參戰했다. 리미니 戰鬪에서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의 君을 물리쳤으나 致命的인 傷處를 입었고, 사위 세바스티누스(Sebastianus)가 뒤를 이어 서로마 帝國의 파트리키우스(patricius)가 되었다.

生涯 [ 編輯 ]

初期 經歷 [ 編輯 ]

보니파티우스는 413年 皇帝 콘스탄티우스 3歲 의 將軍으로 처음 登場하여 마실리아에서 아타울프의 서고트족(비시고트)을 擊退하였다. 이때 武器를 던져 고트족의 王에게 傷處를 입혔다고 한다. [1] 그로부터 10年 後 보니파티우스는 北아프리카의 고트族 連帶(抛에데라티)를 指揮하는 트리部누스(tribunus)로서 마우리아族에 對抗해 軍事 行動을 벌였다고 알려졌으며, 聖 아우구스티노 와도 親交가 있어 그와 함께 神學的 問題를 議論하기도 했다고 한다. 422年 그는 라벤나 의 西方 法廷으로 召喚된 것으로 보이는데, 그곳에서 그는 고트族 出身의 將軍 베레무두스(Beremudus)의 딸 펠라飢餓(Pelagia)와 結婚하고 그가 거느리고 있던 部켈라리이(bucellarii)를 물려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2]

보니파티우스는 그 뒤 카스티누스(Castinus)와 함께 屬州 히스파니아에서 반달족과 알란族을 相對로 軍事 行動을 벌일 準備를 하였으나, 보니파티우스의 軍士는 到着하지 않았는데 이는 創設 以來로 이어져 온 두 指揮官의 軋轢 때문이었다. 갈라 플라키디아도 카스티누스가 보니파티禹스보다 먼저 옛 스틸리코 의 地位를 얻는 것을 막으려 했고, 그 結果 카스티누스는 보니파티우스를 權力에서 몰아내려 했다. [3] 보니파티우스는 屬州 北아프리카로 물러났다. 이곳은 某種의 釋然치 않은 理由로 그가 總督(코메스)의 地位를 얻은 곳이었다. 이곳에서 보니파티우스는 마우리族에 對한 軍事 行動을 이어나갔다. [4] 서로마 皇帝 호노리우스 事後 프리미케리우스 노타리誤룸(primicerius notariorum) 要안네스(Joannes)가 424年 보니파티우스와 對立하던 카스티누스에 依해 卽位하였고, 이에 보니파티우스는 西로마로 供給되는 屬州 北아프리카의 穀物 運送을 끊음으로써 갈라 플라키디아와 테오도시우스 2世에 對한 支持를 表明하였다. [5] [6]

프로스퍼는 要안네스 勢力이 北아프리카의 보니파티우스에게 對抗하는 軍事 行動을 벌였기 때문에 弱化되기는 했지만 길도(Gildo) 및 다른 北아프리카의 侵略者들에 對한 軍事 行動처럼 그를 退位시킬 수 없었다고 말한다. [7] 屬州 갈리아에서의 叛亂이나 테오도시우스 2世가 보낸 東方 將軍 아르다부르(Ardabur)와 아스파르(Aspar) 麾下의 軍事作戰 以後 要안네스는 逐出되고 호노리우스의 조카인 발렌티니아누스 3歲 가 마기스테르 오피키誤룸(magister officiorum) 헬리온(Helion)에 依해 西方 皇帝가 되었다. [8] 보니파티우스는 그를 支持하며 로마로 穀物 輸送을 再開하였고 그에 對한 報答으로 코메스 도메스티코룸(comes domesticorum)이라는 地位를 받았다. [9]

펠릭스와의 內戰 [ 編輯 ]

427年 , 보니파티우스는 갈라 플라키디아에 依해 라벤나로 召還되었으나, 그는 召喚을 拒否했다. 보니파티우스는 플라비우스 콘스탄티우스 펠릭스(Flavius Constantius Felix)의 告發로 로마 屬州 北아프리카에서 自身의 나라를 세우려 했다는 嫌疑를 받았는데, 플라비우스 콘스탄티우스 펠릭스 亦是 플라비우스 亦是 갈라 플라키디아의 確固한 支持者였고 테오도시우스 2世에 依해 西部의 마기스테르 有트리우스퀴에 밀리테르(magister utriusque militiae)로 任命되었다. [10] 갈라 플라키디아는 펠릭스에게 이에 맞서 重要한 地方을 收復하기 위한 軍士를 보내라고 命令했다. [11] 펠릭스의 將軍이었던 마요리티우스 갈리오가 로마軍을 거느리고 보니파티우스에게 맞서, 훈族 出身의 로마軍 將軍 社노에케스(Sanoeces)가 거느린 훈族 抛에데라티의 도움을 받아 카르타고를 包圍하였다. 그러나 包圍에 參加한 指揮官들의 不和로

펠릭스 將軍 마보르티우스와 갈리오가 로마軍을 이끌고 보니파티우스에게 對抗하여 社노에케스 麾下의 勳 抛에데라티의 도움을 받아 카르타고에 包圍하였다. 그러나 社노에케스와 그의 훈族 軍人들이 包圍에 參加한 같은 로마軍에게 包圍되어 自決하는 等 카르타고를 包圍하는데 參戰한 武將들의 不和로 카르타고 包圍網은 무너졌다. 라벤나에 이러한 消息이 傳해지자 펠릭스는 고트族 出身의 將軍 코메스 時期스불투스(Sigisvultus)를 보내 보니파티우스와 맞서게 하였다. 그는 屬州 아프리카에서 2年 동안 自身의 고트族 軍團(部켈라리이)을 指揮해 軍事 行動을 벌인 經歷이 있었다. [12] 時期스불투스는 카르타고를 占領하는데 成功했지만, 보니파티우스나 그의 고트族 軍團(部켈라리이)들은 누미디아에서 繼續해 軍事 行動을 벌이며 그 地域을 掠奪하였다. 또한 보니파티우스는 自身의 딸을 아리우스파 司祭에게 洗禮를 받게 하였는데, 이로 因해 아우구스티노와의 사이가 틀어지게 되었다. [9] 그러나 갈라 플라키디아는 429年 보니파티우스에게 使節을 보냈는데, 앞서 보니파티우스가 召喚될 境遇 라벤나로는 돌아올 수 없다는 內容의 便紙는 事實 僞造되었다는 事實을 알게 되었다는 것이었다. 다리우스라는 사람이 보니파티우스와 時期스불투스 사이의 休戰 協商을 위해 派遣되었고, 그 結果 보니파티우스는 플라시디아의 好意로 回復되었고, 반달族 威脅에 맞설 수 있는 時期에 맞춰 內戰은 끝났다. [13] [14]

반달족에 맞선 軍事 行動 [ 編輯 ]

一部 記錄들은 보니파티우스가 반달족을 屬州 北아프리카로 끌어들였다고 記錄하고 있지만, 最近 몇 年 동안 이러한 記錄에 對한 疑問이 提起되어 왔다. 반달족은 北아프리카의 로마 都市 팅機(Tingi) 近處를 가로질렀고, 429年 알타바에 새겨진 碑文에는 故人이 北아프리카를 가로지르는 반달족의 進擊 渦中에 '野蠻人'(barbarian)에 依해 負傷을 입었다는 內容이 적혀 있다. 그들의 軍事 行動은 暫時 休戰 協商을 위해 온 다리우스에 依해 暫時 中斷되었지만, 가이세릭은 서둘러 돌아갔다. [15] 보니파티우스와 아프리카群, 고트죽 抛에데라티를 支援하는 部隊가 이들과 對峙하였으나 430年 칼라마 附近에서 가이세릭에게 敗北하였고, 그 後 보니파티우스는 히포 레機우스로 後退하였다. [16]

430年 5月(또는 6月), 가이세릭은 히포 레機우스를 包圍하였고, 431年 7月(또는 8月) 包圍는 풀렸다(성 아우구스티노는 히포 레機우스 包圍 攻擊 渦中에 都市에서 死亡하였다). 히포 레機우스를 내버려둔 채 보니파티우스는 보니파티우스는 테오도시우스 2歲가 屬州 北아프리카를 支援하기 위해 派遣한 東로마 將軍 아스파르와 힘을 합치기 위해 都市를 빠져나왔고, 432年 初 보니파티우스와 아스파르는 가이세릭과 다시 한 番 戰鬪를 벌였으나 다시 敗北하였다. 傳하는 바에 依하면, 後날 東로마 皇帝로 卽位하게 되는 마르키亞누스가 이 戰鬪에서 가이세릭에게 捕虜로 붙잡혔지만, 그가 後날 皇帝가 될 것임을 알아본 가이세릭이 그를 풀어주었다고 한다. [17]

아에티우스와의 內戰과 죽음 [ 編輯 ]

432年 , 보니파티우스와 對立했던 플라비우스 펠릭스와 그의 아내 파두시아(Padusia), 그리고 執事가 로마軍에 依해 絞首刑에 處해졌다(이는 파두시아가 對立하며 맞서려 했던 플라비우스 아에티우스의 煽動이 있었다고 한다). 갈라 플라키디아는 보니파티우스의 아프리카에서의 成功的이지 못한 功績에도 不拘하고 그를 마기스테르 우트리스퀘 밀리티아에(magister utriusque militiae)와 서로마의 파트리키우스로 임명했다. 보니파티우스는 432年 리미니 戰鬪에서 아에티우스와 갈릭君을 相對로 軍隊를 이끌고 맞섰다. 보니파티우스와 그의 사위 세바스티누스는 이 戰鬪에서 勝利하였는데, 아에티우스와의 1對 1 對決 中에 보니파티우스가 杖瘡에 依해 致命傷을 입었다. 아에티우스는 自身의 私有地로 隱退하는 것이 許諾되었다. 戰鬪가 끝나고 며칠 뒤, 3個月 만에 보니파티우스는 死亡했다. [18]

보니파티우스의 자리를 이어받은 세바스티누스는 아에티우스를 暗殺하려고 試圖했는데, 아에티우스가 훈族의 宮廷으로 도망쳐 그들의 支持를 받으며 돌아올 것을 憂慮해서였다. 傳하는 바에 依하면 세바스티누스는 서고트족(비시고트)을 끌어들여 아에티우스와 싸울 準備를 하고 있었지만, 그는 丈人 보니파티우스와 달리 로마軍 內에서 人氣가 없었고 그들이 海賊行爲를 하도록 許容했으며, 宮廷에서도 支持를 잃었다. 結局 세바스티누스는 流配되었고, 그 結果 아에티우스는 서로마 帝國의 唯一한 權力者가 되었으며, 그의 要請으로 보니파티우스의 未亡人 펠라飢餓와 結婚했다고 한다. [19] [20]

參考 文獻 [ 編輯 ]

  • Doyle, Chris. "Honorius: The Fight for the Roman West AD395-423."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ress, 2018.
  • Oost, Stewart Irvin. Galla Placidia Augusta. Chicago:Chicago University Press, 1968.
  • O'Flynn, John Michael. Generalissimos of the Western Roman Empire. Alberta: The University of Alberta Press, 1983.
  • McEvoy, Meghan. Child Emperor Rule in the Later Roman West, AD 367-455.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 Wijnendaele, Jeroen W. P. The Last of the Romans: Bonifatius - Warlord and Comes Africae. New York: Bloomsbury Academic, 2016.

各州 [ 編輯 ]

  1. Oost, Stewart Irvin (1968). 《Galla Placidia Augusta》.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24쪽.  
  2. Wijnendaele, Jeroen P. (2016). “Warlordism and the Disintegration of the Western Roman Army” . 《Circum Mare: Themes in Ancient Warfare》: 196?197.  
  3. Oost, Stewart Irwin (1968). 《Galla Placidia Augusta》.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9?171쪽.  
  4. Wijnendaele, Jeroen P. (2016). “Warlordism and the Disintegration of the Western Roman Army” . 《Circum Mare: Themes in Ancient Warfare》: 197?198.  
  5. Oost, Stewart Irvin (1968). 《Galla Placidia Augusta》. Chicago: Chicago University Press. 181쪽.  
  6. Doyle, Chris (2018). 《Honorius: The Fight for the Roman West》.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Press. 188?189쪽. ISBN   9781138190887 .  
  7. Wijnendaele, Jeroen P. (2016). “Warlordism and the Disintegration of the Western Roman Army” . 《Circum Mare: Themes in Ancient Warfare》: 198?199.  
  8. McEvoy, Meghan (2013). 《Child Emperor Rule in the Later Roman West: AD 367-455》.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30?231쪽.  
  9. Wijnendaele, Jeroen P. (2016). “Warlordism and the Disintegration of the Western Roman Army” . 《Circum Mare: Themes in Ancient Warfare》: 199.  
  10. Hughes, Ian (2012). 《Aetius: Attila's Nemesis》. Barnsley: Pen and Sword Books. 66?67쪽.  
  11. Adrian Goldsworthy , The Fall of the West: The Slow Death of the Roman Superpower , Orion Books Ltd, London. Paperback Edition, 2010, p.328.
  12. Hughes, Ian (2012). 《Aetius: Attila's Nemesis》. Barnsley: Pen and Sword Books. 67쪽.  
  13. Hughes, Ian (2012). 《Aetius: Attila's Nemesis》. Barnsley: Pen and Sword Books. 75쪽.  
  14. Wijnendaele, Jeroen P. (2016). 《Last of the Romans: Bonifatius - Warlord and Comes Africae》. New York: Bloomsbury Academic. 69?86쪽.  
  15. Hughes, Ian (2012). 《Aetius: Attila's Nemesis》. Barnsley: Pen and Sword Books. 79?80쪽.  
  16. Petrides, Sophrone. "Calama."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3.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08. 15 Jul. 2014
  17. Hughes, Ian (2012). 《Aetius: Attila's Nemesis》. Barnsley: Pen and Sword Books. 83?84쪽.  
  18. Wijnendaele, Jeroen P. (2016). 《Last of the Romans: Bonifatius - Warlord and Comes Africae》. New York: Bloomsbury Academic. 89?106쪽.  
  19. Hughes, Ian (2012). 《Aetius: Attila's Nemesis》. Barnsley: Pen and Sword Books. 84?87쪽.  
  20. MacGeorge, Penny (2003). 《Late Roman Warlord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83쪽. ISBN   01992524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