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관식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변관식
身上情報
出生 黃海南道 甕津郡
國籍 大韓民國
分野 東洋畫
主要 作品
影響

변관식 (卞寬植, 1899年 3月 19日 ~ 1976年 2月 17日 )은 日帝强占期 大韓民國 畫家 이다. 또한 卞寬植의 號는 小井(小亭)이다.

生涯 [ 編輯 ]

黃海南道 甕津郡 出身으로, 外할아버지가 有名한 書畫家인 조석진 이다. 朝鮮總督府 가 官立으로 設立한 工業傳習所의 到記科를 거쳐, 조석진이 講師로 活動하던 朝鮮書畫美術回 講習所에서 東洋畫를 工夫했다. 書畫美術會에서 함께 受學한 畫家로는 김은호 , 노수현 , 이상범 等이 있다.

1921年에 書畫協會 會員으로 協會戰에 出品하였고, 다음해 新舊化度의 硏究를 目的으로 ‘동연사(同硯社)’라는 同人 그룹을 組織했다. [1] 1925年 에는 日本의 도쿄 美術學校 에서 聽講生으로 工夫하기도 했다.

1922年에서 1929年까지 先制 第1,2,3,4,6,7,8回에 繼續 出品하여 入選하였다. 1946年에 朝鮮美術協會 會員이 되었으며, 1949年에서 1957年까지 國展 第1,2,5回의 審査委員을 歷任하였다. 1954年에 個人展을 가졌다. [1]

評價 [ 編輯 ]

그는 傳統的인 南宗畫 系統의 畫家로 評價되기도 한다. [1]

그의 山水畫는 全般的으로 힘차고 굳센 이미지를 주기 때문에, 부드럽고 溫和하여 女性的인 雰圍氣를 내는 李象範의 畫風과는 對照를 이룬다. '金剛山의 畫家'라는 別稱이 있을 程度로 金剛山 을 자주 그렸는데, 金剛山의 氣槪를 寂默과 파묵 技法을 利用하여 迫眞感 있게 表現하였다.

全國을 直接 踏査하면서 現場 寫生을 基礎로 山水畫를 그려 觀念性이 排除되고 現場感이 넘치는 것도 特徵이다. 多角的인 方向에서 時點을 綜合하여 壓縮的인 構成을 선보이는 點은 立體派 畫風과 類似한 面이 있다. 雄渾하고 强靭한 느낌과 함께 이런 特徵으로 獨特한 畫風을 構築했다.

大韓民國美術展覽會 에도 初期에 暫時 參與한 것 外에는 加擔하지 않으면서 平生 制度圈 美術界 바깥에서 野人으로 活動하였다. 이 때문에 '反骨 作家'라고도 불린다.

作品 [ 編輯 ]

有名한 作品으로 金剛山을 描寫한 山水畫人 《外金剛 삼선암》, 《內金剛 진주담》, 《옥류청풍》 等이 있고, 잉어 等 물고기도 그렸다.

各州 [ 編輯 ]

  1. 韓國美術/韓國美術의 흐름/韓國 近代美術/韓國 近代 東洋畫/변관식, 《글로벌 世界 大百科》

參考 資料 [ 編輯 ]

  • 拍車지현 (2005年 1月 10日). 《靑少年을 위한 韓國美術史》. 서울: 두리미디어. 317~319쪽쪽. ISBN   8977151430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