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진 李氏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壁진이氏 에서 넘어옴)

벽진 李氏
碧珍 李氏
나라 大韓民國
貫鄕 慶尙北道 星州郡 벽진면
時調 이총언 (李悤言)
集姓村 慶尙北道 星州郡 초전면 , 慶尙北道 漆谷郡 동명면 , 慶尙北道 漆谷郡 倭館邑 , 慶尙南道 昌寧郡 , 全羅北道 南原市 덕과면 ,
主要 人物 이맹전 , 이장곤 , 이상길 , 李杭魯 , 이응준 , 李彦周 , 李鶴洙 , 李錫采 , 이윤기 , 이우익 , 이광기 , 이하정 , 지이
人口(2015年) 109,267名

벽진 李氏 (碧珍李氏)는 慶尙北道 星州郡 벽진면 을 本館으로 하는 韓國의 姓氏 이다.

歷史 [ 編輯 ]

時調 이총언 (李悤言)은 新羅末 只今의 星州 태수(太守)로서 壁進軍(碧珍郡)을 守備하며 盜賊을 掃蕩하여 百姓들을 便安하게 하였으며, 高麗 太祖 王建이 삼한 統一에 함께 할 것을 勸하자 아들 이영(李永)을 보내 後百濟 征伐에 參與하여 高麗 太祖 를 도운 功으로 三重大匡個國院訓 壁진백(碧珍伯)에 封해졌고, 벽진大將軍(碧珍大將軍)에 任命되었다. [1] 벽진李氏의 始祖는 이총언(李悤言)[858~938]으로, 그에 對한 私的은 『高麗史(高麗史)』에 실려 있다. 統一新羅 末 中央政府의 統制力이 弱化된 틈을 타 後三國이 正立하면서 軍도(群盜)가 跋扈하는 等 混亂이 極甚했으나, 壁進軍의 有力한 豪族(豪族)이던 이총언은 軍政(軍丁)을 團結시키고 軍糧米를 備蓄하여 이를 平定, 鎭壓하여 百姓을 便安하게 하였다. 壁進軍은 地政學的으로 高麗와 後百濟 사이의 要衝地에 位置하고 있었는데, 高麗 太祖가 大邱 八公山 戰鬪에서 甄萱에게 敗北하여 크게 困境에 處해 壁進軍으로 들어오자, 이총언은 아들 영(永)에게 兵卒을 거느리고 開京까지 從軍하게 하였다. 그 功으로 이총언은 三重大匡個國院訓壁津將軍(三重大匡開國元勳碧診將軍)으로 봉해지고, 銀錢(恩典) 또한 史上 由來가 없을 程度로 많이 받았다. 또한 아들 영(永)은 太祖의 對光(大匡) 사도귀(思道貴)의 딸과 婚姻하였다고 記錄되어 있다. 그런 緣由로 그의 後孫들은 벽진을 本館(本貫)으로 하여 6歲까지 世居하다가 7歲 이방화(李芳華) 臺에 星州 名曲(椧谷)[一名 홈室]으로 里居하였다. 그 後 11歲 酸化先生 異見間(李堅幹)의 玄孫(玄孫) 5兄弟 臺에 큰 水害가 나서 洞네가 廢墟가 되자, 5兄弟인 酸化 5波 中 큰아들과 셋째 아들은 칠곡으로, 둘째 아들은 先山으로, 넷째 아들은 昌寧으로, 다섯째 아들은 密陽으로 各各 옮겨 살게 되었다. 漆谷 若木으로 옮겨 살던 첫째 집은 17歲 折衝將軍(折衝將軍) 이말정(李末丁)[1422~1474]代에 漆谷郡 月오로 里居하였는데, 長子인 大司成 鐵菌의 號를 따 洞네 이름을 月誤(月烏)[一名 달오]라 하였다. 또한 先山으로 移住한 둘째 집은 18歲 예원(禮源) 臺에 同名(東明)으로 입향하여 그 後孫들이 世居하고 있으며, 約목에 살던 셋째 집은 18歲 眞사(進士) 인손(麟孫) 臺에 釋奠으로 입향하여 터를 잡고 여러 代를 살았다. 以後 壁진이氏들은 漆谷郡 倭館邑 月誤, 동명면 금암리, 지천면 웃갓 等地에 集姓村을 이루어 世居하고 있다. [情報提供] ? 이우필 ? 이종주

[出處] 韓國學中央硏究院 - 鄕土文化電磁大展 [出處] 디지털漆谷文化大展

行列字 [ 編輯 ]

31歲 32歲 33歲 34歲 35歲 36歲 37歲 38歲 39歲 40歲 41歲 42歲 43歲 44歲 45歲 46歲 47歲 48歲 49歲 50歲
口일(一)
口後(厚)
口火(和)
원(元)
韻(雲)
禹(愚)
노(魯)
口言(彦)
口두(斗)
口中(中)
口기(基)
헌(憲)
선(善)
種(鍾)
席(錫)
擇(澤)
號(鎬)
口원(源)
口修(洙)
口順(淳)
口下(河)
口오(五)
口오(吾)
種(種)
수(秀)
近(根)
上(相)
病(柄)
上(商)
腸(章)
口下(夏)
口喜(熙)
口圜(煥)
口섭(燮)
口擇(宅)
口歲(世)
규(圭)
年(延)
中(重)
警(坰)
치(致)
益(益)
의(義)
口의(義)
口흠(欽)
口욱(旭)
口修(銖)
口縣(鉉)
한(漢)
태(泰)
영(泳)
號(浩)
口修(秀)
口英(榮)
口票(杓)
口목(穆)
口式(植)
휘(輝)
龍(容)
衝(忠)
狂(光)
口註(周)
口채(埰)
口원(遠)
口菌(均)
陳(鎭)
영(寧)
龍(鏞)
綠(錄)
口擇(澤)
口式(湜)
口樂(洛)
口洪(洪)
病(秉)
桐(東)
情(楨)
樂(樂)
口熱(烈)
口엽(燁)
口勳(熏)
口贊(燦)
치(致)
돈(墩)
倍(培)
江(堈)
口龍(鎔)
口情(鉦)
口일(鎰)
口은(銀)
준(浚)
한(漢)
해(海)
철(澈)

各州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