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벨라트릭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벨라트릭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벨라트릭스
Bellatrix
오리온자리를 나타낸 성도로, 벨라트릭스가 γ로 표시되어 있다.
오리온자리를 나타낸 聖徒 로, 벨라트릭스가 γ로 標示되어 있다.
名稱
바이어 命名法 오리온자리 감마, 오리온자리 γ, γ Ori
플램스티드 命名法 오리온자리 24 [1]
밝은 별 目錄 HR 1790 [1]
헨리 드레이퍼 目錄 HD 35468 [1]
스미소니언 天文臺 恒星目錄 SAO 112740 [1]
小천성표 BD +06°919 [1]
히파르코스 目錄 HIP 25336 [1]
다른 이름 아마존 별 [2] , '女戰士', 알 나지드 [2] , FK5 201 [1]
觀測 情報
(逆起點 J2000 )
별자리 오리온자리
敵境 (α) 05 h  25 m  07.86325 s [3]
赤緯 (δ) +06° 20′ 58.9318″ [3]
겉보기等級 (m) 1.64 [4]
絶對等級 (M) ?2.78 [5]
位置天文學
敵境 固有運動 ?8.11 mas / yr [3]
赤緯 固有運動 ?12.88 mas / yr [3]
年周視差 12.92 ± 0.52 mas [3]
性質
광도 ~6,400 L [6]
나이 1900萬 年(±300萬) [7]
分光型 B2Ⅴ
U-B 色指數 ?0.86 [4]
B-V 色指數 ?0.21 [4] [8]
追加 事項
質量 8.4(+0.3,-0.1) M ? [7]
半지름 6 R [9]
表面溫度 22,000 켈빈 [10]
重元素 含量 ( Fe / H ) ?0.25 [11]
表面 重力 (log g) 3.60 [10]
自轉 速度 46 ± 8 km/s [10]
恒星 目錄

겉보기等級順   · 絶對等級順
거리順   · 質量順   · 半지름順

벨라트릭스 (Bellatrix)는 오리온자리 方向에 있는 恒星 이다. 바이어 命名法으로는 오리온자리 감마 (Gamma Orionis)로 表記하며 이는 오리온자리 內에서 세 番째로 밝다는 뜻이다. 벨라트릭스의 겉보기 等級은 1.64로 밤하늘 에서 스물 일곱 番째로 밝은 별이다.

觀測 歷史 [ 編輯 ]

1963年까지 벨라트릭스는 다른 별의 광도 變化와 比較하기 위해 基準으로 삼은 별 中 하나였는데 이는 이 별의 밝기가 1.64에서 固定되어 變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以後 1988年 全天(全天)을 測光 分析한 結果 벨라트릭스의 겉보기 等級 이 1.59에서 1.64까지 變하는 噴出 變光星 임이 밝혀졌다. [12]

特徵 [ 編輯 ]

左路부터 벨라트릭스, 太陽 , 알골 B .

벨라트릭스의 質量은 太陽의 8.4倍이다. 나이는 約 2千萬 年 程度로 推測되며 [7] 우리 太陽의 46億 年에 비하면 매우 짧으나 質量이 큰만큼 이미 中心核에 있던 水素 를 모두 태우고 主系列星 段階를 벗어나 超巨星 段階에 접어들었다. [6] 최외곽 大氣의 有效 溫度 는 22,000 켈빈으로 우리 太陽의 5778 켈빈에 비해 세 倍 넘게 뜨겁다. [10] 이처럼 뜨겁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벨라트릭스가 靑白色 빛을 뿜는 것으로 보인다. [13] 벨라트릭스의 角지름 主演感狂 效果를 考慮했을 때 0.72 ± 0.04 밀리秒角이다. [14] 이 별까지의 距離는 約 250光年인데 [3] 距離를 利用하여 求한 별의 半지름은 大略 太陽의 여섯 倍이다. [9] [6]

벨라트릭스는 오리온의 허리띠 를 構成하는 세 별( 알니타크 , 알닐람 , 民打카 )처럼 한때는 오리온자리 OB1 性協 의 構成員이었던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벨라트릭스가 앞의 세 별보다 地球에 훨씬 가까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뒤 앞의 假說은 信憑性을 잃었다. [6] 벨라트릭스는 同伴 天體가 없는 홑별로 보인다. [15] 2011年 硏究結果 벨라트릭스와 固有 運動 을 共有하는 隣接 天體는 發見되지 않았다. 다만 별 뒷背景의 恒星 세 個가 同伴天體일 可能性은 남아 있다. [7]

文化 [ 編輯 ]

‘벨라트릭스’는 라틴語 로 ‘女戰士’라는 뜻이며 아부 마샤르 알-발키와 ‘세비야의 존’의 作品에서 처음으로 登場했다. 이 이름은 元來 카펠라 를 指稱했으나 15世紀 비엔나 學校의 天文學者들이 오리온자리 감마로 指稱 對象을 바꿨으며 同時代 알폰소 星表에 收錄되었다. [16] 벨라트릭스는 ‘아마존의 별’로도 불리는데 리차드 힌클리 엘런은 이 이름이 아랍語 ‘알 나지드’(征服者)에서 由來한 用語라고 主張했다. [2] 1275年 아랍圈에서 製作된 天球儀에 이 별은 ?????? 로 收錄되어 있으며 그 뜻은 ‘ 獅子 ’이다. [17] 벨라트릭스는 오리온자리의 네 航海別(天體 찾기에 利用되는 恒星) 中 하나이기도 하다. [18] 東아시아 文化圈에서 이 별은 삼수誤 (?宿五)인데 이는 三修 中 다섯 番째 별이라는 뜻이다.

17世紀 알 樂士詩 알 無我킷의 星表에는 ‘멘키브 알 者愚者 알 아이스르’로 表記되어 있는데 이는 라틴語 Humerus Sinister Gigantis 로 飜譯되었다. [19]

오스트레일리아 北部 와다만 族은 벨라트릭스를 ‘半盞’으로 부르는데, 이는 ‘붉은 캥거루’ 리겔 이 오리온자리가 하늘 第一 꼭대기에 있을 때 여는 儀式에서 使用하는, 반짝거리는 色素라는 뜻이다. 오리온자리의 나머지 별들은 리겔의 意識 執行에 쓰는 道具거나 或은 그를 돕는 隨行員이라고 한다. 여기서 베텔게우스 는 ‘야-준긴’으로 意識을 지켜보는 ‘깜박거리는 부엉이의 두 눈’이다. [20]

이누이트 族은 2月 末 ~ 3月 初 벨라트릭스와 베텔게우스가 해가 진 後 南쪽 하늘 높이 나타날 때를 봄이 始作되고 해가 길어지는 때로 認識해 왔다.

캐나다 배핀 섬과 멜빌 半島 原住民들은 두 별을 ‘아쿠뚜주크’(멀리 떨어져 位置한 두 별)로 불러왔다. [21]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BELLATRIX -- Variable Star” , 《SIMBAD》 (Centre de Donne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 Allen, Richard H. (1963).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reprint版. New York City, NY: Dover Publications Inc. 237쪽. ISBN   0-486-21079-0 .  
  3. van Leeuwen, F. (2007年 11月).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 : 0708.1752 . Bibcode : 2007A&A...474..653V . doi : 10.1051/0004-6361:20078357 .  
  4. Crawford, D. L.; Barnes, J. V.; Golson, J. C. (1971年 12月), “Four-color, Hbeta, and UBV photometry for bright B-type stars in the northern hemisphere”, 《Astronomical Journal》 76 : 1058?1071, Bibcode : 1971AJ.....76.1058C , doi : 10.1086/111220  
  5. Lamers, H. J. G. L. M.; Harzevoort, J. M. A. G.; Schrijver, H.; Hoogerwerf, R.; Kudritzki, R. P. (1997). “The effect of rotation on the absolute visual magnitudes of OB stars measured with Hipparco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25 : L25. Bibcode : 1997A&A...325L..25L .  
  6. Kaler, James B., “BELLATRIX (Gamma Orionis)” ,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 2012年 12月 27日에 確認함  
  7. Janson, Markus; 外. (2011年 8月), “High-contrast Imaging Search for Planets and Brown Dwarfs around the Most Massive Stars in the Solar Neighborhood”, 《The Astrophysical Journal》 736 (2): 89, arXiv : 1105.2577 , Bibcode : 2011ApJ...736...89J , doi : 10.1088/0004-637X/736/2/89  
  8. Wilson, R. E.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Carnegie Institute of Washington, D.C., Bibcode : 1953GCRV..C......0W  
  9. Lang, Kenneth R. (2006), 《Astrophysical formulae》 , Astronomy and astrophysics library 1 3板, Birkhauser, ISBN   3-540-29692-1   . 恒星의 半지름(R * )은 다음과 같다.
  10. Lefever, K.; 外. (2010年 6月), “Spectroscopic determination of the fundamental parameters of 66 B-type stars in the field-of-view of the CoRoT satellite”, 《Astronomy and Astrophysics》 515 : A74, arXiv : 0910.2851 , Bibcode : 2010A&A...515A..74L , doi : 10.1051/0004-6361/200911956  
  11. Massarotti, Alessandro; 外. (2008年 1月), “Rotational and Radial Velocities for a Sample of 761 HIPPARCOS Giants and the Role of Binarity”, 《The Astronomical Journal》 135 (1): 209?231, Bibcode : 2008AJ....135..209M , doi : 10.1088/0004-6256/135/1/209  
  12. Krisciunas, K. (1994年 5月), “Further Photometry of alpha Ori and gamma Ori”, 《Information Bulletin on Variable Stars》 4028 : 1, Bibcode : 1994IBVS.4028....1K  
  13. “The Colour of Stars” ,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12-21, 2004, 2012年 3月 1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1月 16日에 確認함  
  14. Richichi, A.; Percheron, I.; Khristoforova, M. (2005年 2月), “CHARM2: An updated Catalog of High Angular Resolution Measuremen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1 : 773?777, Bibcode : 2005A&A...431..773R , doi : 10.1051/0004-6361:20042039  
  15. Eggleton, P. P.; Tokovinin, A. A. (2008年 9月),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 : 0806.2878 , Bibcode : 2008MNRAS.389..869E , doi : 10.1111/j.1365-2966.2008.13596.x  
  16. Kunitzsch, Paul (1986). “The Star Catalogue Commonly Appended to the Alfonsine Tables” . 《Journal for the History of Astronomy》 17 (49): 89?98. Bibcode : 1986JHA....17...89K .  
  17. Dorn, B. (1829). “Description of the Celestial Globe Belonging to Major-General Sir John Malcolm, G.C.B., K.L.S., &c. &c., Deposited in the Museum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Transactions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2 (1): 371?392. doi : 10.1017/S0950473700000513 .  
  18. Bennett, George G. (2011), 《Complete On-Board Celestial Navigation 2011-2015》 , DoctorZed Publishing, 172쪽, ISBN   0-9870924-0-5  
  19. Knobel, E. B. (1895年 6月).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 429. Bibcode : 1895MNRAS..55..429K .  
  20. Harney, Bill Yidumduma; Cairns, Hugh C. (2004) [2003]. 《Dark Sparklers》 Revis版. Merimbula, New South Wales: Hugh C. Cairns. 139?40쪽. ISBN   0-9750908-0-1 .  
  21. MacDonald, John (1998). 《The Arctic sky: Inuit astronomy, star lore, and legend》. Toronto, Ontario/Iqaluit, NWT: Royal Ontario Museum/Nunavut Research Institute. 52?54, 119쪽. ISBN   9780888544278 .  

座標 : 하늘 지도 05 h 25 m 07.9 s , +06° 20′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