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戰爭의 大韓民國 國軍 捕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베트남 戰爭의 大韓民國 國軍 捕虜 베트남 戰爭 의 期間 동안 戰鬪 中 越盟軍 베트콩 에 生捕되거나 降伏한 韓國軍 砲로 를 말한다.

歸還 問題 [ 編輯 ]

베트남 戰爭 의 期間 동안 베트남 人民軍 에 依해 捕虜가 된 大韓民國 國軍을 駐월 國軍捕虜 라 한다. 大韓民國 國防部는 1973年 3月 27日의 發表에서 1965年 4月初부터 撤軍이 完了된 1973年 3月 15日까지의 8年 동안 年兵力 31萬 5千餘 名 中 2名의 將校를 包含한 7名이 失踪되었다고 公式 發表하였는데 [1] 이들은 모두 非戰鬪 中 失踪되었고, 1973年 3月 25日 歸還한 유종철 一兵만이 戰鬪 中 負傷을 입고 捕虜가 되었다고 덧붙였다.(유종철 一兵은 失踪者 7名 名單에 包含 안 됨) [2]

1992年 2月, 베트남 人民軍에 捕虜가 되었다가 1969年 歸還한 박정환 陸軍 少尉의 證言과 美國 베트남 戰爭 參戰 戰友會에 依하면 總 6名의 國軍 捕虜가 1987年까지 生存해 있었다는 主張이 提起되었다.(이들은 모두 1973年 國防部가 發表한 失踪者 名單에 包含되지 않았다.) [3]

이 6名 中에 3名은 박우식 大尉, 박성률 兵長, 김인수 上兵이고 나머지 3名은 身元 未詳이었다. 1992年 5月 後續 技士로 한 名이 더 살아있는데 身元은 北韓에 抑留 中인 안학수 下士라는 主張이 提起되었다. [4]

1993年 서울大 전경수 敎授가 2個月 동안 하노이 現地 踏査에서 發見한 베트남 政府의 戰鬪詳報와 砲로 寫眞을 證據資料로 提示, 國軍 捕虜의 數字가 相當數에 이를 可能性이 있다고 主張하였다. [5]

1994年 5月, 國內에서 提起된 疑問에 對해 大韓民國 政府의 確認 要請에 對해 베트남 政府는 捕虜나 失踪者에 關해 이미 밝혀진 것 以上은 없다는 卽 베트남 內에 韓國軍 捕虜는 없다는 斷乎한 立場을 보였다는 報道가 있었다. [6]

한便 美國 中央情報局(CIA) 文書에는 1966年에 捕虜가 된 10餘名의 韓國軍 捕虜에 對한 記錄이 詳細하게 記錄되어 있었고, 여기에는 韓國軍 兵長 키 155, 韓國軍 軍醫官 키 170’이라는 身體 描寫까지도 包含되어 있었다. 當時 美國의 記錄을 綜合해 보면 적어도 18名의 捕虜가 남베트남 全 地域에서 發生한 것으로 보이며, MBC 이제는 말할 수 있다 베트남戰의 砲로, 失踪者들”篇(2000年 7月 30日 放映)에서 다뤄진 또 다른 美國 中央情報局(CIA) 文書에는 韓國軍 捕虜 23名이 記載되어 있었으며, 다낭(5名), 푸깟(3名), 닌호아(3名), 호이안(以下 1名), 쭐라이, 빈케, 송까우, 뚜이虎牙 等의 戰鬪에서 捕虜가 된 것으로 記錄되어 있었다.

歸還者 [ 編輯 ]

※ 階級은 捕虜가 되었던 當時 階級

現況 [ 編輯 ]

베트남 戰爭 에서 捕虜가 된 後 北韓 으로 强制拉北 된 少數의 捕虜들이 生存해 있는 것으로 推定되고 있다.

各州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