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바인나웅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바인나웅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바인나웅

바인나웅 或은 브人나웅 ( 버마語 : ???????????, 브잉넝 ; 1516年 - 1581年 , 在位 1550年 - 1581年 )은 따웅禹 王朝 의 第5代 國王으로, 活潑한 征服 事業을 펼친 君主이며, 强力한 一元的 統合 政策을 펼친 法治의 君主이고, 係關詩人 을 둔 文化 君主이기도 했다. 前 王인 떠빈슈웨티 의 義兄이며, 떠빈슈웨티의 女同生과 結婚하여 '王의 兄'이라는 뜻인 '버人나웅'으로 불리게 되었다. 1581年 66歲의 나이로 97名의 子女를 두고 死亡하였다. 이 王의 執權期에 따웅禹 王朝 버마는 버고 로 遷都하였다.

떠빈슈웨티의 죽음과 混亂期 [ 編輯 ]

버마를 統一했던 떠빈슈웨티 의 治世 末期에는 스밈 土 라는 버고 王室의 後裔가 버고 王孫들을 糾合하여 叛亂을 일으켰는데, 바인나웅이 이 叛亂을 鎭壓하기 위해 다곤 에 있던 次에 떠빈슈웨티가 死亡하였다. 그러자 混亂한 政局 속에서 버고, 는 叛亂을 일으켰다. 바인나웅은 一旦 곧바로 麾下 軍士를 이끌고 都城인 따웅禹 城으로 向해 이를 接受하고 따웅禹 王朝의 새로운 王位에 올랐다.

政局 安定 [ 編輯 ]

바인나웅은 卽位 後 于先 따웅우에서 가까운 叛亂勢力인 삐를 攻擊했는데, 삐의 王은 바인나웅의 進擊 消息을 듣자 逃走했으나 붙잡혀 處刑되었다. 다음으로 그 사이 버고의 王位에 오른 스밈 토를 攻擊하였다. 스밈 토는 처음에 바인나웅을 업신여겨 日記토를 提議했으나, 곧 이를 受諾한 바인나웅의 氣勢에 질려 逃走하다 붙잡혀 죽었다. 이로써 다시 삐와 버고는 따웅禹 王朝의 支配 아래로 編入되었다.

征服 君主 [ 編輯 ]

바인나웅은 國內의 叛亂을 鎭壓하고 王國을 안정시킨 데 머무르지 않고 더욱 廣範圍한 征服 事業을 펼쳤다. 그는 먼저 잉와 를 服屬시키고 샨족 을 버마의 支配 下에 두었다. 1558年에는 타이 北部 치앙마이 란나 王國 을 占領하여 이 地域도 統治하게 되었다. 란나의 王은 바인나웅의 征服 後 따웅友誼 一介 榮州로 降等되었다. 란나 王國은 元來 타이系 國家로 버마族과는 異質的이었는데, 바인나웅은 이 地域을 征服한 後 佛經의 寫本과 僧侶들을 보내고 佛敎 建築物들을 세워 高級 佛敎 文化를 活潑히 傳播했다. 치앙마이에서 多數의 丈人과 技術者들을 버마로 데리고 와 버고에 定着해 살도록 하기도 했다.

따웅禹 王朝가 란나 王國을 管轄 下에 두었다는 情報가 周邊으로 퍼지자 버마-中國 接境地帶의 샨족들은 自發的으로 바인나웅에게 降伏해 왔고, 윈난 의 一部 族長들度 버마의 影響力을 認定하고 同盟을 맺었다. 또한 接境한 印度系 地域인 마니푸르 의 君主들度 따웅禹 王朝에 朝貢을 보내게 되었다.

바인나웅은 氣勢를 몰아 끊임없는 膨脹 政策을 펼쳐, 1559年에 이르자 現在의 미얀마 領土 大部分과 引渡의 마니푸르, 現 라오스 地域인 란雙 王國 의 數도 비엔티안 까지 占領하게 되었다. 또 1563年부터는 南部 타이의 아유타야 王朝 에 對한 本格的인 攻擊에 들어가 타이족 地域인 깜팽펫 수코타이 를 占領하고 1564年에는 마침내 首都 아유타야 를 占領하여 結局 아유타야 王國 全域을 버마의 屬領으로 만들었다. 바인나웅의 軍隊는 아유타야 王 및 代身들의 家率들을 包含한 3千餘 名의 捕虜를 데리고 아유타야의 所有였던 30餘 個의 大型 靑銅 부처像 및 多量의 金銀寶貨 等의 戰利品을 얻어 버마 本土로 改善하였다.

南北 타이의 征服에도 滿足하지 못한 바인나웅은 以後에도 繼續해서 끊임없이 周邊을 攻擊했다. 甚至於 1581年 66歲의 나이로 숨을 거두는 瞬間까지도 라카인 의 征服을 위해 軍隊의 移動을 命令했을 程度였다.

法治의 君主 [ 編輯 ]

바인나웅은 活潑한 征服 事業으로 巨大해진 國土 內의 모든 種族에게 하나의 統一된 法, 文字( 버마 文字 ), 度量衡을 使用하게 하여 따웅友誼 臣民으로서의 一體感을 갖도록 하였다. 이를 爲해서는 법전 이 必要해 法典의 執筆을 命하였고, 命을 받은 12人 僧侶 委員會에서는 마침내 버마 法典 妖說 을 만들었다. 이 外에도 多數의 法律家들이 活動하여 버마 및 被征服 地域의 慣習法 을 한데 묶어 整理하기도 했다. 또 여러 部門에서 强力한 法的 統制를 行하였는데, 代表的으로 山 짐승들을 無斷으로 屠殺하는 行爲에 對해 勅令을 내려 嚴格히 統制한 일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强力한 統制조차도 그가 占領한 過度하게 많은 領土를 統合하기에는 力不足이었다. 바인나웅의 鐵拳에 依해 그나마 維持되던 征服地의 治安은 그의 死後 急激히 나빠져 大大的인 叛亂이 發生하였다. 뒤를 이은 난다버인 은 나름대로 統合 政策을 驅使하며 叛亂地를 再征服하려 하였으나 能力 不足으로 失敗하고 下部 버마와 란雙 王國의 支配權을 잃었으며, 속領이었던 아유타야의 나레수안 大王 에게도 大敗하여 南北 타이의 支配權을 잃었다.

百姓들의 怨聲 [ 編輯 ]

바인나웅은 잦은 征服 事業으로 인해 버마에 相當한 人命 被害를 불러 일으켰다. 따웅友誼 百姓들은 하루가 멀다 하고 벌어지는 征服 戰爭 때문에 언제 徵集되어 戰線에 나갈 일이 생길지 몰라 不安에 떨어야 했으며, 農事를 지을 壯丁들의 數도 크게 줄어 農土가 放置되어 荒蕪地로 變하는 일도 잦았다. 이와 더불어 法治와 强力한 中央의 一元的 統制를 强調하는 嚴한 面貌로 百姓들의 心的 支持도 얻지 못하였다. 이에 바인나웅의 時代에는 百姓들의 怨聲이 藉藉하였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 金成願, 《미얀마 王朝史》, 부산외국어대학교 出版部, 2001, 166~17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