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뮌헨-오버바이에른 對官區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뮌헨-오버바이에른 對官區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뮌헨-오버바이에른 對官區
나치 獨逸 對官區
1933年?1945年
Flag of 뮌헨-오버바이에른 대관구
Flag
Coat of arms of 뮌헨-오버바이에른 대관구
Coat of arms

1944年의 나치 獨逸 行政區域 地圖. 下段 中央 草綠色 領域이 뮌헨-오버바이에른 臺管區이다.
主導 뮌헨
人口  
? 1939年 5月 17日 [1]
1999048
政府
對官舊指揮者  
? 1933?1944
아돌프 바그너
? 1944?1945
파울 基瑟러
歷史  
? 樹立
1月 30日 1933年
? 解體
5月 8日 1945年
Preceded by
Succeeded by
바이에른 州
바이에른 州

뮌헨-오버바이에른 對官區 ( 獨逸語 : Gau Munchen?Oberbayern )는 1933年부터 1945年까지 오버바이에른 現 地域에 있던 나치 獨逸 對官區 이다. 1926年부터 1933年까지는 나치당 내 地域 組織 區分 中 하나였다.

歷史 [ 編輯 ]

나치당 內 對官區 樹立 [ 編輯 ]

元來 나치의 對官區(Gau) 組織은 1926年 5月 22日 나치당 會議에서 地域黨 組織 構造 改善을 目的으로 創立한 區域이었다. [2] 初期의 對官區 시스템에서는 內部 權力鬪爭으로 對官區 國境과 指導者가 자주 바뀌었다. [3] 뮌헨-오버바이에른 對官구는 거의 모든 領域이 오버바이에른 과 비슷했으며, 州都는 뮌헨 이었다.

1926-1933年의 對官區 [ 編輯 ]

뮌헨-오버바이에른 對官구는 바이에른에 '對官區' 시스템이 本格的으로 公式化된 1929年 11月 1日부터 아돌프 바그너 가 統治하였다. [4] 그는 1944年 死亡할 때까지 統治하고 있었다. 이 對官구는 뮌헨 對官區, 오버바이에른 對官區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行政 區域이었다. 1920年代 나치 運動의 心臟部였던 바이에른 地域은 1930年까지는 히틀러 個人의 뿌리깊은 領域으로, 當時만 해도 對官區(Gau) 代身 小管區(Untergaue)라는 말을 써서 黨 首腦部 傘下에 있음을 强調하였다. 히틀러의 野望이 國家 全體로 바뀌고 나서야 바이에른에 對한 關心이 줄어들었다. [3] 內部 權力 鬪爭이 잦아든 後, 바이에른에는 다음과 같은 6個의 對官區가 樹立되었다. [5]

뮌헨-오버바이에른 對官구는 다른 對官구들과는 다른, 더 높은 位置의 權力을 가지기를 願했다. 이러한 것을 願했던 理由 中 한가지는 뮌헨이 "運動"( 獨逸語 : Hauptstadt der Bewegung )의 發祥地였기 때문이었다. 以後 이 對官구는 더 높은 位置에 있다는 意味로 "Traditionsgau Munchen-Oberbayern"라고 스스로 불렀다. [6]

1933-1945年의 對官區 [ 編輯 ]

1933年 1月 30日, 나치 獨逸이 權力을 掌握하는 所謂 마흐터그라이風 事件 以後 나치 獨逸은 Lander라는, 州 單位의 行政府를 完全히 없애버렸다. 以後 나치당 內에서는 舊 行政構造는 나치당 內에 있던 對官區 시스템으로 바뀔 것이라고 推測했다. 하지만, 히틀러는 現地 黨指導者들을 화나게 해 黨 內部에 權力鬪爭이 深化될 것이라는 憂慮로 이에 對해 躊躇했다. [7]

漸次的으로 對官舊指揮者 가 領域을 넓혀가며 名目上으로는 獨逸 週 內에서 가장 높은 權力을 가진 朱總理 를 밀어냈다. 이와 같이, 對官區 시스템은 갑작스럽게 바뀌진 않았으나 1934年까지 漸進的으로 黨區域에서 實際 行政的, 事務的 區域으로 바뀌어갔다. [2] 1934年 1月 30日 "독일국의 再建에 關한 法律" 財政으로부터 始作된 모든 政治的 反對派를 肅淸하는 글라이히샬퉁 (Gleichschaltung)라는 過程으로 株 權力이 最終的으로 對官九老 完全히 넘어갔다.

바이에른의 對官區 中 가장 人口가 많은 對官求人 뮌헨-오버바이에른 對官구는 히틀러의 個人的 親舊인 아돌프 바그너가 對官舊指揮者를 맡았으며, 그는 權力 增大를 위해 이웃恨 슈바벤 對官具를 合倂하고자 했다. [7]

對官舊指揮者는 히틀러가 直接 임명하였으며, 對官舊指揮者는 히틀러의 統制만 받았다. 實際로, 히틀러는 各 地方 指導者들의 業務를 거의 干涉하지 않았으며 對官舊指揮者의 權力은 거의 絶對的이였다. [2]

바이에른 地域의 5個 곳 對官舊指揮者와는 別途로 바이에른의 朱總理는 名目上 如前히 存在했는데, 나치 政治人 루트비히 詩베르트 가 朱總理였으며 1942年 死亡한 後에는 파울 基瑟러 가 이어받았다. 또한, 國家에 如前히 存在했던 第3의 機關인 [8] 프란츠 폰 에프 記事 國家支社 를 맡았으나, 名目上이였을 뿐 實際 權力은 없었다. [9]

이 對官구는 나치 獨逸 最初의 强制收容所人 多하우 强制 收容所 가 세워졌다. 이 收容所는 나치가 權力을 잡은 直後 세워졌다.

第2次 世界 大戰 이 勃發하면서 對官舊指揮者 및 對官區의 權力은 州 政府와 比較하여 漸漸 肥大해졌다. 對官舊指揮者 大多數는 各 軍管區 (Wehrkreis) 內에서 戰爭支援을 擔當했다. [10]

對官舊指揮者 바그너가 病이 들어 아파가자 그의 副官이었던 파울 基슬러가 對官區 權限代行으로 活動하기 始作했다. 1944年 4月 바그너가 死亡하고 난 以後 基슬러가 正式으로 對官舊指揮者를 이어받았다.

戰爭이 繼續되고 나치 獨逸이 切迫한 狀態로 내려가자 1942年 11月부터 對官舊指揮者가 對官區 내 戰爭支援 役割을 完全히 委任받았다. [11]

1944年 9月부터 始作된 獨逸의 모든 男性을 動員하는 國民突擊隊 의 募集을 對官舊指揮者가 맡게 되었다. 對官舊指揮者는 國家防衛辦務官(Reichsverteidigungskommissar)의 地位를 차지했으며, 獨逸 國防軍 과는 競爭相對였다. 파울 基瑟러는 스와非我와 過去의 오스트리아 對官區였던 3個 管區의 國民突擊隊를 맡았다. [11]

戰爭이 끝나고 나치 獨逸이 崩壞되었으나 如前히 基瑟러는 나치 便이였으며, 1945年 4月 28日 바이에른의 首都에서 일어난 蜂起를 SS 를 動員하여 鎭壓했다. 봉기 指導者이자 獨逸 國防軍 의 將校였던 壘프레트 게르그로스 (Rupprecht Gerngroß)는 살아남았으나, 그의 支持者 大部分이 기슬러의 命令에 따라 처형당했다. [12]

前後 [ 編輯 ]

前後 오버바이에른 地域 全部가 다른 바이에른 地域처럼 美國 占領 下衣 軍政期 에 들어갔다. 바이에른 地域 中에서는 팔츠 地域만 따로 分離되어 프랑스 占領 地域으로 들어갔다. 占領地의 政治權力은 바이에른 新政府 下로 들어가게 되었다. 公式的으로는 解散을 宣布하지 않은 Regierungsbezirk Swabia이 이 地域의 行政府를 掌握하였다. 이 當時 가장 큰 問題는 破壞된 都市의 再建과 難民 問題였다.

뮌헨-오버바이에른 對官區의 마지막 對官舊指揮者인 파울 基瑟러는 聯合軍에게 逮捕될 것이 두려워 아내와 함께 自殺試圖를 했으나 失敗하였고 1945年 5月 8日 베르히테스가덴 近處에서 그의 補佐官에게 銃에 맞아 死亡했다. [12] [13]

地域 내 기타 나치 組織 [ 編輯 ]

나치 組織 傘下의 여러 部署들은 對官區 시스템처럼 簡素化되지 않았으며 各 組織이 熾烈하게 獨立的이였고 서로 競爭하였다. 例를 들어, 바비에른 地域은 6個의 對官區, 4個의 突擊隊 軍管區, 3個 親衛隊 軍管區, 6個 히틀러 靑少年團 管區로 쪼개져 있었다. [14]

뮌헨-오버바이에른 對官구는 제7군관구에 屬해 있었으며, 이 軍管區度 管區 首都를 뮌헨에 두고 있었다. [15]

對官舊指揮者 [ 編輯 ]

對官區 내 가장 높은 指揮者인 對官舊指揮者는 다음과 같다.

對官區 副指揮者 [ 編輯 ]

管區 內에서 두番째로 높은 職位이자 對官舊指揮者가 疾病 等의 事由로 闕位 狀態일 時 權限代行을 맡는 Stellvertretende Gauleiter는 다음과 같았다.

對官區 내 行政區域 [ 編輯 ]

1932年 構造 改編 以後 모든 對官區와 마찬가지로 뮌헨-오버바이에른 對官구는 傘下 行政區域이 나누어졌다. [5]

  • Kreise (26) - '디스트릭트'와 같음
  • Ortsgruppen (249)
  • Zellen (1,291)
  • Blocks (4,258)

各州 [ 編輯 ]

  1. Bayrisches Landesamt fur Statistik , accessed 26 June 2008.
  2. Die NS-Gaue (in German) Deutsches Historisches Museum website, accessed: 25 June 2008
  3. Gau (NSDAP) - Die bayrischen Gaue bis zur Machtergreifung 1933 (in German) Historisches Lexikon Bayerns , accessed: 25 June 2008
  4. Shoa.de - Ubersicht der NSDAP-Gaue, der Gauleiter und der Stellvertretenden Gauleiter 1933 bis 1945 - Schwaben (in German) author: Joachim Lilla, accessed: 25 June 2008
  5. NSDAP - Gaue und Gauleiter (in German) Historisches Lexikon Bayerns , accessed: 25 June 2008
  6. Traditionsgau Munchen-Oberbayern, 1930-45 Archived 2015年 11月 10日 - 웨이백 머신 (in German) historisches Lexikon Bayerns , accessed: 26 June 2008
  7. Gau (NSDAP) - Kontinuitat der Gaugliederung nach 1933 (in German) Historisches Lexikon Bayerns , accessed: 25 June 2008
  8. Bavaria 1933-1945 - List of Ministers accessed: 25 June 2008
  9. Gauleiter - Die bayrischen Gauleiter nach 1933 Archived 2015年 8月 1日 - 웨이백 머신 (in German) Historisches Lexikon Bayerns , accessed: 25 June 2008
  10. Gauleiter - Dezentralisierungsschube 1936 to 1939 Archived 2015年 8月 1日 - 웨이백 머신 (in German) Historisches Lexikon Bayerns , accessed: 25 June 2008
  11. Gauleiter - Die bayrischen Gauleiter nach 1942 Archived 2015年 8月 1日 - 웨이백 머신 (in German) Historisches Lexikon Bayerns , accessed: 25 June 2008
  12. Gauleiter der NSDAP im Ruhrgebiet - Paul Giesler (1895-1945) (in German) Historisches Centrum Hagen, accessed: 26 June 2008
  13. Universitatsbibliothek Regensburg - Bosls bayrische Biographie - Paul Giesler [ 깨진 링크 ] (in German)
  14. Gau (NSDAP) - Regionale Organisation der Gliederungen und angeschlossenen Verbande der NSDAP (in German) Historisches Lexikon Bayerns, accessed: 25 June 2008
  15. Ubersicht uber die Kasernen und Standorte der Wehrmacht (in German) Lexikon der Wehrmacht, accessed: 26 June 2008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