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몽골祕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몽골祕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몽골祕事 ( 몽골 文字 : ?????????
??????
????????
Mongγol-un niγuca tob?iyan ) [1] [2] 는 흔히 中國의 원臺에 몽골語本이 完成되고 名臺에 韓語로 飜譯되었다고 推定하는 몽골의 歷史書로 [3] , 元朝祕史 (元朝秘史)라고도 불린다.

漢文本 《元朝祕史(元朝秘史)》의 1908年 모습. 各 줄의 오른쪽에 몽골語가 倂記되어 있다.

몽골의 現存하는 가장 오래된 書籍 中 하나로, 1227年 稱기스 칸 死亡 以後 얼마 안 되어 記錄되고, 14世紀 末 名臺에 元朝祕史 (元朝秘史)라는 이름의 漢文本으로 飜譯되었다.

內容 [ 編輯 ]

몽골祕事의 內容은 稱기스 칸의 22代 祖上 부르테 치노와 코아이마랄로부터 稱기스 칸의 셋째 아들인 외게데이 를 記錄한 것이지만, 稱기스 칸에 關한 記錄이 大部分을 차지하고 있다. 基本的으로 編年體 形式을 따르고 있으나, 口語體로의 散文과 韻文이 자유롭게 섞여 있는 文學作品이기도 하다. [4] 몽골祕事는 總 12卷으로 (精집 10卷과 續集 2卷)으로 總 282節로 構成되어 있다. 282節의 構成은 다음과 같다. [5]

  1. 001-058節: 稱기스 칸의 祖上들
  2. 059-093節: 稱기스 칸의 少年期
  3. 094-103節: 稱기스 칸의 結婚과 메르키트族 의 侵入
  4. 104-119節: 토그릴 완 칸 , 滋茂카 와의 聯合結成과 자무카와의 分列
  5. 120-140節: 몽골富의 칸위繼承과 주르킨族 의 崩壞
  6. 141-149節: 쿠이텐 戰鬪과 타이치구트族 의 崩壞
  7. 150-188節: 稱기스 칸과 완 칸의 對立 및 케레이트族 의 滅亡
  8. 189-201節: 나이滿足 正服과 者무카의 處刑
  9. 202-223節: 稱기스 칸의 칸 卽位와 95千號의 任命 및 上司
  10. 224-234節: 護衛軍의 擴大改編
  11. 235-246節: 우이구르의 鬼斧 및 森林部族의 征伐
  12. 247-264節: 金(金), 西夏(西夏), 호라즘 征伐
  13. 265-268節: 書下의 滅亡과 稱기스 칸의 죽음
  14. 269-280節: 외게데이 카안 의 卽位와 周邊國家들의 征伐
  15. 281-282節: 외게데이 카안의 公的 및 《몽골祕事》의 完成

書誌 情報 [ 編輯 ]

  • 유원수 옮김, 《몽골祕事》, 四季節, 1994年 12月 15日(初版)/2004年 1月 22日(改訂版)
  • 최기호·수미야바아타르 엮어 지음, 《몽골祕事: 最初 몽골 位올振子로 戰死한》, 韓國文化史, 2005年 2月 25日
  • 박원길·金起善·최형원 함께 지음, 《몽골祕事의 綜合的 硏究》, 민속원, 2006年 4月 28日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現存 版本의 첫 페이지 題目 아래에 "忙 兀侖紐察 脫察安’(Moŋγol-un ni'u?ato[b]?a'an, 몽골의 祕密의 歷史)"라는 글字가 있음. 최형원, 〈몽골祕事〉(秘史)에 登場하는 王名(王名)과 官職名(官職) 古刹(考察), 2010年, 第29號, 239-264面 中 250面 參考
  2. 이것이 冊의 原題인 것으로 推定되고 있음. 박영록, 《元朝祕史》(元朝秘史) 言語特徵 硏究, 2004年, 中國言語硏究, 第19輯, 273-310面 中 278面 參考
  3. 박영록, 《元朝祕史(元朝秘史)》 言語特徵 硏究, 2004年, 中國言語硏究, 第19輯, 273-310面 中 273面
  4. 박영록, 《元朝祕史(元朝秘史)》 言語特徵 硏究, 2004年, 中國言語硏究, 第19輯, 273-310面 中 275面
  5. 최형원, <몽골祕事(秘史)>에 登場하는 王名(王名)과 官職名(官職) 古刹(考察), 2010年, 第29號, 239-264面 中 250-251面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