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 ( Micro Four Thirds System )은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 디자인 開發 을 위해 2008年 8月 5日 [1] 파나소닉 올림푸스 에서 만든 標準이다.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은 여러 製造社들의 렌즈와 컴팩트 카메라 를 相互 交換해서 使用할 수 있도록 互換性을 提供한다.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은 디지털 SLR 카메라를 위해 디자인 된 布緖즈 시스템 의 이미지 센서 크기와 規格을 共有한다.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은 布緖즈 시스템과는 달리 美러와 펜타프리즘이 除去되었으며 布緖즈 시스템 의 렌즈와 互換되지 않는 더 작아진 렌즈 마운트를 提供한다. 이로 因해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의 카메라는 布緖즈 시스템의 카메라보다 더욱 작아진 크기로 設計할 수 있다. 布緖즈 시스템 專用으로 設計된 렌즈를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 카메라에 어댑터를 통해 使用할 수 있다. 하지만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 專用으로 設計된 렌즈는 布緖즈 시스템 카메라에서 使用할 수 없다.

2008年 後半期에 파나소닉은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用 카메라와 렌즈들을 發表했으며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의 첫 番째 카메라는 파나소닉 Lumix DMC-G1 [2] 이다. 올림푸스度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을 基盤으로 한 카메라의 開發을 發表했으며 2009年 7月, 올림푸스 PEN 시리즈 60周年 記念으로서 마이크로 布緖즈 基盤의 컴펙트型 DSLR인 E-P1 모델이 出市되었다.

파나소닉과 올림푸스는 이 標準이 다른 企業에도 公開되어 있다고 言及하였으나 仔細한 規格 및 로고의 使用 權限은 布緖즈 協會에 委任되어 있다.

센서 크기와 縱橫比 [ 編輯 ]

一般的으로 많이 쓰이는 카메라의 센서 크기 比較表 (基準:35mm 필름)

布緖즈 시스템과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의 이미지 센서는 一般的으로 4/3 인치, 또는 4/3 타입 센서로 불린다. 센서의 크기는 總 面積 18.0x13.5mm (22.5mm 對角線) 에 17.3x13.0mm (21.64mm 對角線) [3] 의 有效 面積을 가지고 있다. 이 센서의 面積은 他 除朝辭들의 DSLR에서 쓰이는 APS-C 規格의 센서와 比較하여 30~40% 적은 面積을 가지고 있지만 一般的인 컴팩트 카메라의 1/2.5 인치 센서보다 9倍 以上 큰 面積이다.

布緖즈 시스템은 一般的인 컴팩트 카메라와 같은 4:3 縱橫比를 使用하지만 다른 APS-C DSLR 및 35mm 풀프레임 DSLR 은 傳統的인 35mm 필름 포맷에서 쓰이는 3:2 縱橫比를 使用한다. 2006年에 出市된 布緖즈 시스템 카메라 파나소닉 Lumix DMC-L1 은 寫眞의 위 아래를 잘라내어 16:9, 3:2 縱橫比를 提供한다. 2008年에 出市된 布緖즈 시스템 카메라 올림푸스 E-30 은 16:9, 3:2를 包含하여 3:4, 5:4, 6:5, 6:6, 7:6 의 보다 다양한 縱橫比를 支援하지만 DMC-L1 과 同一하게 센서의 크기는 移轉 布緖즈 時로로로 擴張된 領域을 包含하여 센서 全體를 使用하는 縱橫比의 撮影 機能은 提供하지 않는다.

렌즈 마운트 [ 編輯 ]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의 렌즈 마운트는 바요넷(bayonet) 타입에 大略 20mm 의 플랜지백 距離를 가지고 있다. 이는 포서즈의 플랜지백 거리의 折半보다 若干 큰 거리이다.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 標準에 맞춰 設計된 카메라는 미러가 없다. 따라서 카메라는 라이브뷰 電子 디스플레이 (LCD 스크린 또는 電子 뷰파인더) 또는 獨立된 光學 뷰파인더를 使用한다. 마운트 直徑은 布緖즈 시스템用 마운트보다 6mm 작다.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의 렌즈 마운트는 布緖즈 시스템의 렌즈 마운트의 信號 接點 9 個 보다 2個 많아진 11 個의 接點을 가지고 있다. 布緖즈 시스템用 렌즈는 別途의 어댑터를 使用하여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 카메라에 裝着할 수 있다.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의 짧은 플랜지백 거리를 活用하여 他 會社들의 다양한 마운트의 렌즈들을 使用할 수 있다. 2009年 3月 現在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用 카메라는 모든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 專用 렌즈와 一部 布緖즈 시스템 專用 렌즈에 컨트라스트 檢出 AF 機能을 提供한다.

長點과 短點 및 其他 要素 [ 編輯 ]

現存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렌즈 交換이 不可能하고 마이크로 포서즈의 센서보다 더 작은 크기의 센서를 裝着한 카메라) 들과 比較하여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은 작은 크기에 렌즈 交換 機能 및 布緖즈 시스템에서 쓰이는 보다 큰 面積의 센서를 提供한다.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의 카메라는 布緖즈 시스템의 카메라보다 작은 크기에 가벼운 무게를 가지고 있지만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보다 크고 무겁다. 심도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보다 얕으며 布緖즈 시스템 카메라와 同一하고 35mm 풀프레임 카메라보다는 깊다. 위의 特徵들은 狀況에 따라 다른 카메라에 比較해서 長點 및 短點이 될 수 있다. (一般的으로 포트레이트 撮影에선 얕은 深度가 選好되고 파노라마 風景 撮影에선 깊은 深度가 選好된다.)

布緖즈 시스템 및 餘他 DSLR 카메라와 比較했을 때 [ 編輯 ]

長點 [ 編輯 ]

  • 더 작고 가벼운 렌즈가 可能하다. 포서즈가 수職入社 를 必須的으로 要求하는 것과는 달리 마이크로 포서즈용 렌즈는 設計時 수職入社 의 制約이 없다. 이 特徵과 함께, 더욱 짧아진 플랜지백 距離 및 미러의 除去로 인해 레트로포커스 (retro-focus)式 디자인의 렌즈를 꼭 設計할 必要가 없어졌으며, 이는 훨씬 작아지고 低廉한 標準 火角 및 廣角 렌즈들을 設計 可能하게 만든다.
  • 直接 센서를 통해 들어오는 信號를 라이브뷰를 支援하는 電子式 뷰파인더를 통해 볼 수 있기 때문에 光學式 뷰파인더 보다 撮影瞬間의 正確한 露出, 컨트라스트, 構圖를 알 수 있다.
  • 컨트라스트 檢出 AF 시스템을 使用하기 때문에 位相差 檢出 AF 시스템의 正確性 問題를 避할 수 있다. [4] 이는 실은 檢出 方式과는 無關하며 센서 面에서 焦點을 맞추기 때문에 正確한 것이다. 올림푸스 E-M1은 컨트라스트 檢出 AF 뿐만 아니라 位相差 檢出 AF 시스템도 同時에 使用하는데, 모두 센서 面에서 焦點을 잡으므로 別途의 光學系로 인한 誤差가 發生할 憂慮가 없다.
  • 짧은 플랜지백 거리로 인해, 렌즈 마운트 어댑터 使用時 補正렌즈 等이 必要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種類의 求刑 手動 造作 렌즈를 使用할 수 있다.

短點 [ 編輯 ]

  • 電子式 뷰파인더에서 低照度 環境일 境遇 노이즈가 보인다.
  • 135 포맷 APS-C 포맷 을 使用한 餘他 DSLR 카메라보다 센서 크기가 相對的으로 작기 때문에,
    同一한 性能水準의 135 포맷 또는 APS-C 포맷의 카메라와 比較할 境遇 信號隊雜音比(SNR) , 다이나믹 레인지,및 얕은 深度의 表現에서 不利하다.
  • 電子式 뷰파인더에서 눈치채기 힘들 程度로 若干의 이 存在한다.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와 比較했을 때 [ 編輯 ]

長點 [ 編輯 ]

  • DSLR 과 같이 렌즈 交換이 可能하다. 交換 렌즈에 따라서 超廣角부터 長網원까지 廣範圍한 火角을 演出할 수 있다
  • 컴팩트에 비하여 高性能 高畫質의 렌즈를 使用할 수 있다. 勿論 一部 컴팩트 카메라 (하이엔드)의 境遇 줌 20倍 等의 性能을 가진 高性能의 製品도 있으나 寫眞의 畫質面에서 렌즈交換食餌 優位를 보인다.
  • 5~9倍 以上 큰 이미지 센서 크기 德分에 低照度 環境과 高感度 性能이나 다이나믹 레인지 性能에서 有利하다.

短點 [ 編輯 ]

  • DSLR 과 같이 렌즈 交換時 센서에 異物質이 들어갈 수 있다. 그러나 現在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 카메라는 效果的인 먼지 除去 裝置를 內藏한다.
  •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인 올림푸스 SP-590UZ 의 26倍 같은 超苦杯率 줌렌즈가 存在하지 않기 때문에 렌즈를 交換해야 한다.
  • 모든 미러리스 製品의 境遇처럼 마이크로 布緖즈 카메라도 輕量化에는 限界가 存在하며, 따라서 컴팩트 카메라에 비하여 크고 무거운 短點이 있다.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 카메라를 製造하는 會社 [ 編輯 ]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 카메라 [ 編輯 ]

파나소닉 Lumix DMC-G1 은 2008年 11月에 發賣된 마이크로 布緖즈 시스템 最初의 카메라이다. 스位블 液晶과 35mm 필름 카메라의 뷰파인더 크기와 同一한 大型 電子 뷰파인더를 搭載하고 外觀은 動詞에서 出市되었던 Lumix DMC-L10 과 비슷하다. 파나소닉 Lumix DMC-GH1 [5] 은 DMC-G1 과 同一한 外樣에 1080p 의 動映像 錄畫 機能을 搭載한 카메라이다. 올림푸스에서는 2009年 7月, PEN E-P1이라는 모델名으로 마이크로 布緖즈 規格 DSLR [6] 을 出市하였다.

마이크로 布緖즈 렌즈 [ 編輯 ]

마이크로 포서즈에서 어댑터 DMW-MA1/MMF-1,2,3 을 통해 布緖즈 렌즈를 使用할 수 있다. 하지만 一部의 렌즈만 마이크로 布緖즈 카메라에서 AF 機能을 쓸 수 있으며 未支援 렌즈들은 MF 로만 쓸 수 있다. AF 支援 目錄에 있는 布緖즈 렌즈들도 펌웨어가 支援하지 않을 境遇 펌웨어 업데이트 가 必要할 수 있다.

  • Olympus BCL-0980 9mm 1:8.0
  • Olympus M.Zuiko Digital ED 9-18mm 1:4.0-5.6
  • Olympus M.Zuiko Digital ED 12mm 1:2.0
  • Olympus M.Zuiko Digital ED 12-40mm 1:2.8 Pro
  • Olympus M.Zuiko Digital ED 12-50mm 1:3.5-6.3 EZ
  • Olympus M.Zuiko Digital 14-42mm 1:3.5-5.6
  • Olympus M.Zuiko Digital 14-42mm 1:3.5-5.6 II
  • Olympus M.Zuiko Digital 14-42mm 1:3.5-5.6 II R
  • Olympus M.Zuiko Digital 14-42mm 1:3.5-5.6 EZ
  • Olympus M.Zuiko Digital 14-150mm 1:4.0-5.6
  • Olympus M.Zuiko Digital 14-150mm 1:4.0-5.6 II
  • Olympus BCL-1580 15mm 1:8.0
  • Olympus M.Zuiko Digital 17mm 1:2.8
  • Olympus M.Zuiko Digital 17mm 1:1.8
  • Olympus M.Zuiko Digital 25mm 1:1.8
  • Olympus M.Zuiko Digital ED 40-150mm 1:4.0-5.6
  • Olympus M.Zuiko Digital ED 40-150mm 1:4.0-5.6 R
  • Olympus M.Zuiko Digital ED 40-150mm 1:2.8 Pro
  • Olympus M.Zuiko Digital 45mm 1:1.8
  • Olympus M.Zuiko Digital ED 60mm 1:2.8 Macro
  • Olympus M.Zuiko Digital ED 75mm 1:1.8
  • Olympus M.Zuiko Digital ED 75-300mm 1:4.8-6.7
  • Olympus M.Zuiko Digital ED 75-300mm 1:4.8-6.7 II
  • Panasonic Lumix G Vario 7-14mm 1:4.0 ASPH.
  • Panasonic Lumix G Fisheye 8mm 1:3.5
  • Panasonic Lumix G Vario 12-32mm 1:3.5-5.6 ASPH. Mega O.I.S.
  • Panasonic Lumix G X 12-35mm 1:2.8 ASPH. Power O.I.S
  • Panasonic Lumix G 12.5mm 1:12
  • Panasonic Lumix G 14mm 1:2.5 ASPH.
  • Panasonic Lumix G 14mm 1:2.5 II ASPH.
  • Panasonic Lumix G Vario 14-42mm 1:3.5-5.6 ASPH. Mega O.I.S.
  • Panasonic Lumix G X Vario PZ 14-42mm 1:3.5?5.6 ASPH. Power O.I.S
  • Panasonic Lumix G Vario 14-42mm 1:3.5-5.6 II ASPH. Mega O.I.S.
  • Panasonic Lumix G Vario 14-45mm 1:3.5-5.6 ASPH. Mega O.I.S.
  • Panasonic Lumix G Vario HD 14-140mm 1:4.0-5.8 ASPH. Mega O.I.S.
  • Panasonic Lumix G Vario 14-140mm 1:3.5-5.6 ASPH. Power O.I.S.
  • Panasonic Leica DG Summilux 15mm 1:1.7 ASPH.
  • Panasonic Lumix G Vario 20mm 1:1.7 ASPH.
  • Panasonic Lumix G Vario 20mm 1:1.7 II ASPH.
  • Panasonic Leica DG Summilux 25mm 1:1.4 ASPH.
  • Panasonic Lumix G Macro 30mm 1:2.8 ASPH. Mega O.I.S.
  • Panasonic Lumix G X Vario 35-100mm 1:2.8 Power O.I.S.
  • Panasonic Lumix G Vario 35-100mm ASPH. 1:4.0-5.6 Mega O.I.S.
  • Panasonic Leica DG Nocticron 42.5mm 1:1.2 ASPH. Power O.I.S.
  • Panasonic Lumix G 42.5mm 1:1.7 ASPH. Power O.I.S.
  • Panasonic Leica DG Macro-Elmarit 45mm 1:2.8 ASPH. Mega O.I.S.
  • Panasonic Lumix G Vario 45-150mm 1:4.0-5.6 ASPH. Mega O.I.S.
  • Panasonic Lumix G X Vario PZ 45-175mm 1:4.0-5.6 ASPH. Power O.I.S.
  • Panasonic Lumix G Vario 45-200mm 1:4.0-5.6 ASPH. Mega O.I.S.
  • Panasonic Lumix G Vario 100-300mm 1:4.0-5.6 Mega O.I.S.


마이크로 布緖즈 카메라에서 컨트라스트 AF 機能을 正式으로 支援하는 布緖즈 시스템 렌즈 (2010年 6月 現在) [ 編輯 ]

  • LEICA D VARIO-ELMAR 14-50mm f3.8-5.6 ASPH. MEGA O.I.S.
  • LEICA D VARIO-ELMAR 14-150mm f3.5-5.6 ASPH. MEGA O.I.S.
  • LEICA D SUMMILUX 25mm f1.4 ASPH.
  • OLYMPUS Zuiko Digital ED 9-18mm f4.0-5.6
  • OLYMPUS Zuiko Digital ED 14-42mm f3.5-5.6
  • OLYMPUS Zuiko Digital 14-54mm f2.8-3.5 II
  • OLYMPUS Zuiko Digital 25mm f2.8
  • OLYMPUS Zuiko Digital ED 40-150mm f4.0-5.6
  • OLYMPUS Zuiko Digital ED 70-300mm f4.0-5.6


파나소닉 G1, GH1, GF1 以外의 마이크로 布緖즈 바디들은 이 렌즈 外에도 모든 布緖즈 렌즈에서 AF 使用이 可能함

마이크로 布緖즈 카메라에서 컨트라스트 AF를 正式으로 支援하지 않는 布緖즈 시스템 렌즈 (2010年 6月 修正) [ 編輯 ]

  • OLYMPUS Zuiko Digital ED 7-14mm f4.0
  • OLYMPUS Zuiko Digital ED 8mm f3.5 Fisheye
  • OLYMPUS Zuiko Digital ED 11-22mm f2.8-3.5
  • OLYMPUS Zuiko Digital ED 12-60mm f2.8-4.0 SWD
  • OLYMPUS Zuiko Digital ED 14-35mm f2.0 SWD
  • OLYMPUS Zuiko Digital 14-45mm f3.5-5.6
  • OLYMPUS Zuiko Digital 14-54mm f2.8-3.5
  • OLYMPUS Zuiko Digital 17.5-45mm f3.5-5.6
  • OLYMPUS Zuiko Digital ED 18-180mm f3.5-6.3
  • OLYMPUS Zuiko Digital 35mm f3.5 Macro
  • OLYMPUS Zuiko Digital ED 35-100mm f2.0
  • OLYMPUS Zuiko Digital ED 50mm f2.0 Macro
  • OLYMPUS Zuiko Digital 40-150mm f3.5-4.5
  • OLYMPUS Zuiko Digital ED 50-200mm f2.8-3.5
  • OLYMPUS Zuiko Digital ED 50-200mm f2.8-3.5 II SWD
  • OLYMPUS Zuiko Digital ED 90-250mm f2.8
  • OLYMPUS Zuiko Digital ED 150mm f2.0
  • OLYMPUS Zuiko Digital ED 300mm f2.8
  • SIGMA 10-20mm f4-5.6 EX DC HSM
  • SIGMA 18-50mm f2.8 EX DC MACRO
  • SIGMA 18-50mm f3.5-5.6 DC
  • SIGMA 18-125mm f3.5-5.6 DC
  • SIGMA 24mm f1.8 EX DG ASPHERICAL MACRO
  • SIGMA 30mm f1.4 EX DC HSM
  • SIGMA 50mm f1.4 EX DG HSM
  • SIGMA 50-500mm f4-6.3 APO EX DG HSM
  • SIGMA 55-200mm f4-5.6 DC
  • SIGMA 70-200mm f2.8 Ⅱ APO EX DG MACRO HSM
  • SIGMA 105mm f2.8 EX DG MACRO
  • SIGMA 135-400mm f4.5-5.6 APO DG
  • SIGMA 150mm f2.8 APO EX DG HSM MACRO
  • SIGMA 300-800mm f5.6 APO EX DG HSM
  • LEICA D VARIO-ELMARIT 14-50mm f2.8-3.5 ASPH. MEGA O.I.S.


마이크로布緖즈 마운트에 어덥터 없이 裝着하는 서드 파트의 렌즈 目錄 [ 編輯 ]

  • Sigma 19mm 1:2.8 EX DN
  • Sigma ART 19mm 1:2.8 EX DN
  • Sigma 30mm 1:2.8 EX DN
  • Sigma ART 30mm 1:2.8 EX DN
  • Sigma ART 60mm 1:2.8 DN
  • Voigtlander NOKTON 17.5mm 1:0.95
  • Voigtlander NOKTON 17.5mm 1:0.95
  • Voigtlander NOKTON 25mm 1:0.95
  • Voigtlander NOKTON 42.5mm 1:0.95
  • Tokina Reflex 300mm 1:6.3 MF Macro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Olympus and Panasonic announce Micro Four Thirds” . Digital Photography Review.  
  2. “World First: Panasonic Announces μ4/3 camera, Lumix G1” . Digital Vesus. 2009年 4月 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3月 31日에 確認함 .  
  3. “No more compromises: The Four Thirds Standard” . Olympus Europe. 2011年 7月 1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8月 2日에 確認함 .  
  4. Etchells, Dave. “Micro Four Thirds system” . The Imaging Resource.  
  5. “Panasonic premieres DMC-GH1 with HD video recording” . Digital Photography Review. 2009年 3月 3日.  
  6. 미러리스임에도 不拘하고 올림푸스는 OM-D 시리즈를 除外하고는 DSLR이라고 잘못 稱하고 있다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