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블고양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마블고양이 [1]
마블고양이
마블고양이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척삭動物門
江: 哺乳岡
목: 食肉目
과: 고양이과
亞科: 고양이亞科
속: 마블고양이속
( Pardofelis )
Severtzov, 1858
種: 마블고양이
( P. marmorata )
學名
Pardofelis marmorata
(Martin, 1836)
亞種
  • P. m. charltoni
  • P. m. marmorata
마블고양이 [1] 의 分布

마블고양이의 分布 地域
保全狀態


脆弱(VU): 絶滅可能性 높음
評價機關: IUCN 赤色 目錄 3.1 [2]

마블고양이 (marbled cat, Pardofelis marmorata )는 南아시아 東南아시아 에서 發見되는 작은 고양이과 動物의 一種이다. 낮은 個體 密度를 보이며, 全體 有效 個體群 크기가 10000마리 以下의 聖體 個體數로 把握되고 1000마리 以上의 單一 個體群이 없기 때문에, 2002年 以後 國際 自然 保全 聯盟 (IUCN)에서 脆弱種(VU, vulnerable species)으로 指定, 分類하고 있다. [2]

마블고양이는 한때 "大型 고양이類" 系統인 豹범亞科 에 屬하는 種으로 看做되었다. [3] 遺傳學的 系統 分析 結果 아시아黃金고양이 보르네오黃金고양이 와 더 密接한 關係가 있고 約 940萬年 前에 分岐된 것으로 밝혀졌다. [4]

特徵 [ 編輯 ]

보르네오섬 多눔 溪谷 保護 區域의 마블고양이

마블고양이는 집고양이 와 크기가 비슷하고, 꼬리 털이 좀더 두껍고 부드러우며(몸보다 더 긴 것으로 推定된다.), 꼬리는 나무 위에서 生活하기 쉽도록 適應한 結果로 몸의 均衡을 잡는 데 利用된다.

마블고양이의 몸길이 範圍는 45~62cm 사이에 있으며, 꼬리 길이는 35~55cm 程度이다. 몸무게는 2~5kg 사이에서 다양하게 記錄되고 있다. 毛皮는 두껍고 부드러우며, 津한 灰色빛 褐色부터 누르스름한 灰色과 赤褐色까지 多樣한 背景色을 띤다. 이마와 머리 윗部分의 半點은 목의 좁고 길이 方向으로 이어지는 줄무늬와 等의 不規則한 줄무늬로 이어진다. 등과 옆구리는 어둡고 不規則하고 가장자리가 津한 얼룩 斑點이 나 있다. 다리와 下體에 검은 點이 박혀 있으며, 꼬리는 검은 斑點과 함께 줄무늬 고리가 나 있다. 또한 긴 꼬리 外에 큰 발은 마블고양이와 다른 고양이과 動物을 區別하는 特徵이다. 또한 非正常的으로 큰 송곳니를 갖고 있으며, 이는 大型 고양이類의 特徵으로 平行 鎭火 의 結果로 推定된다. [5] 마블고양이는 멈춰 있거나 쉴 때, 등을 활처럼 휘는 獨特한 姿勢를 取한다.

分布 및 棲息地 [ 編輯 ]

마블고양이는 熱帶 印度말라야 生物 地理區 西쪽의 히말라야산맥 丘陵 地帶를 따라 西쪽으로 네팔 그리고 東쪽으로 中國 南西部 그리고 수마트라섬 보르네오섬 의 여러 섬들에서 發見된다. 主로 濕潤 棲息地와 脫落性 숲과 상록수 숲이 섞인 熱帶 숲에서 棲息한다. [2]

亞種 [ 編輯 ]

2種의 亞種이 알려져 있다. [6]

系統 分類 [ 編輯 ]

다음은 고양이과의 系統 分類이다. [8]

고양이과

마카이로두스亞科

豹범亞科
구름豹범속

보르네오구름豹범

구름豹범

豹범속

눈豹범

虎狼이

재규어

豹범

獅子

고양이亞科
마블고양이속

마블고양이

黃金고양이속

보르네오黃金고양이

아시아黃金고양이

徐伐속

徐伐

카라칼속

카라칼

아프리카黃金고양이

虎狼고양이속

誤셀롯

마게이

콜로콜로

안데스山고양이

虎狼고양이

코드코드

조프루아고양이

스라소니속

붉은스라소니

캐나다스라소니

스라소니

이베리아스라소니

치타속

치타

퓨마속

퓨마

재규어런디속

재규어런디

마눌속

魔訥

삵속

붉은점박이삵

납작머리삵

고기잡이삵

고양이속

정글고양이

검은발고양이

모래고양이

들고양이 ( 집고양이 包含)

各州 [ 編輯 ]

  1. Grubb, P. (2005). Wilson, D.E.; Reeder, D.M., 編輯.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英語) 3板. 존스 홉킨스 大學校 出版社. ISBN   978-0-8018-8221-0 . OCLC   62265494 .  
  2. Hearn, A., Sanderson, J., Ross, J., Wilting, A., Sunarto, S., Ahmed Khan, J., Mukherjee, S., Grassman, L. (2008). “Pardofelis marmorata” . 《 滅種 危機 種의 IUCN 赤色 目錄 . 2014.3板》 (英語). 國際自然保全聯盟(IUCN) .  
  3. Hemmer, H. (1978). “The evolutionary systematics of living Felidae: Present status and current problems”. 《Carnivore》 1 : 71?79.  
  4. Johnson, W. E., Eizirik, E., Pecon-Slattery, J., Murphy, W. J., Antunes, A., Teeling, E., O'Brien, S. J. (2006). The late miocene radiation of modern felidae: A genetic assessment . Science 311: 73?77.
  5. Sunquist, M.; Sunquist, F. (2002). 《Wild cats of the World》 .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73?376쪽. ISBN   0-226-77999-8 .  
  6. Pocock, R.I. (1939).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 Mammalia. ? Volume 1. Taylor and Francis, London.
  7. Martin, W. C. (1836). November 8, 1836. ( Felis marmorata ) .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Part IV, No. XLVII: 107?108.
  8. Stephen J. O’Brien and Warren E. Johnson (2010). “The Evolution of CATS” (PDF) . 《SCIENTIFIC AMERICAN, INC.》.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