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魔法師 (톨킨)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魔法師 (톨킨)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스타리(Istari, 斷水型 이스타르 Istar) J. R. R. 톨킨 의 小說「 호빗 」, 「 半指의 帝王 」 等에 登場하는 魔法師 組織이다. 퀘냐 로 "賢者들"을 意味한다. 新다린 으로는 이스론(Ithron, 複數型 이스린 Ithryn) 이라고 한다. 老人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强力한 肉體와 精神을 가지고 있다. 第3時代 가운데땅 에 나타나 自由意志를 지닌 存在들 사이에서 지냈다.

我慢에서 온 다섯 名의 사자 [ 編輯 ]

이스타리 는 本來, 사우론 에 맞서 가운데땅 을 求할 수 있도록, 발라 에 依해 我慢으로부터 보내진 마이아 였다. 이스타里의 正確한 數는 不明하지만, 第3時代 1000年 즈음 灰色港口 에 나타난 이들은 다섯 名이다.

발라들은 사우론의 敗亡과 가운데땅 의 運命은 自由意志를 지닌 百姓에 依해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사우론보다 弱한 마이아를 選擇해서 보냈다. 또한 발라는 이스타里의 活動에 制約을 걸어 그들이 가운데땅의 百姓에게 아이누 의 힘을 誇示하고 支配하는 것을 禁止했다. 이 때문에 그들은 主로 助言과 激勵를 통해 가운데땅의 百姓들을 補助하였고, 魔法을 使用하는 일은 좀처럼 없었다. 어쩔 수 없이 힘을 行使할 때는, 我慢의 使者로서의 地位를 나타내는 지팡이를 利用했지만, 지팡이가 없다고 해서 無力해지는 것은 아니었다. [1]

이스타理는 老人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가운데땅에 나타났을 때 이미 나이가 있어 보이는 모습이었다. 가운데땅의 到着한 以後의 老化는 느리게 이루어졌다. 이것은 이스타理가 어디까지나 助言者와 援助者라는 立場에서 가운데땅을 守護하는 것이 要求되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老人의 肉體를 휘감는 을 통해 人間과 같은 苦悶과 괴로움, 죽음에 對한 恐怖를 가지게 되었다.

이때 아만에서의 記憶은 漸次 흐릿해져, 本來 가지고 있던 힘과 智慧는 退色되거나, 굶주림이나 傷處 等의 肉體的인 危險에 露出되어 쉽게 墮落하거나, 죽는 것도 可能해졌다. 따라서 그들이 맡은 任務는 매우 어려운 것이었으며, 다섯 名의 이스타리 中 네 名이 任務를 抛棄한 것으로부터도 任務의 어려움을 알 수 있다. 結果的으로, 사우론 打倒의 任務를 完遂해 歸還한 이는 灰色의 간달프 單 한 名 뿐이었다.

흰色의 사루만 [ 編輯 ]

이스타리 中 가장 뛰어난 이는 흰色의 사루만 이었다. 本名은 크루모 訝鬱레 에 依해서 選擇되었다. 그는 訝鬱레를 따르던 마이아 中에서도 사우론 을 뒤잇는 權能의 所有者였다.

그러나 가운데땅 에 온 그는 漸次 墮落해갔고, 사우론과 같이 强力한 힘을 얻고 싶은 渴望에 사우론에 服從했다. [2] 사루만은 아이센가드 에서 사우론의 部下로서 가운데땅에 恐怖를 흩뿌리게 된다. 그러나 사우론의 滅亡과 함께 그의 野望도 무너졌고, 도망치던 中 살해당한다. 아만으로 돌아가려 했지만 거부당한 뒤 邪惡하지만 無力한 零이 되어 흩어졌다.

灰色의 간달프 [ 編輯 ]

灰色의 간달프 의 本名은 올로린 으로, 萬웨 에 依해서 選擇되었다. 사루만 과 달리 그는 俗世에 精通했다. 荒野를 넘나들며, 强者와 弱者를 區別하지 않고 모든 百姓의 親舊가 되었다. 窮地에 몰린 이를 求하고, 絶望한 이들에게는 助言에 해서 奮發하게 했다. 半指 戰爭 에도 크게 關與하였고, 그에 依해서 사우론은 破滅한다. 第 4時代에 人間들이 가운데땅을 再建하는 것을 지켜본 後, 灰色港口 에서 발리노르 로 돌아갔다.

간달프

褐色의 라다가스트 [ 編輯 ]

褐色의 라다가스트 의 本名은 아이웬디르 로, 그는 夜半나 에 依해서 選擇되었다. 그는 안두인 大河 의 東쪽, 어둠의 숲의 로스高벨에 집을 짓고 살았다. 半指 戰爭 에는 적지만 도움을 주었다. 반지전쟁이 끝난 後 가운데땅의 自然을 사랑한 나머지 社名을 잊었고, 가운데땅에 繼續 머물렀다고 한다.

靑色의 魔法師들 [ 編輯 ]

파랑의 魔法師 에 對해서는 「半指 이야기」에서도 「 실마릴리온 」에서도 이름이 나오지 않고, 무엇을 하고 있었을지도 完全히 不明하다. 간달프도 「두 名의 이름은 잊어 버렸다」라고 말하고 있다.

끝나지 않은 이야기 」에 依하면, 파랑의 이스타리 두 사람은 祕密 命令을 띠어 누메노르의 版圖의 아득한 앞, 東쪽과 南쪽의 地域에 보내진 獅子였던 것이 틀림없다. 敵地에 向하는 傳道師와 같은 것이었다. 그들이 어떤 成果를 올렸는지는 모르지만, 사루灣과 같이 그들도 失敗했지만, 다만 분명하게 그와는 다른 잘못을 犯한 것은 아닌가. 어쩌면 사우론의 沒落의 뒤까지 살아 남은 密敎 나 「 魔法 」의 改造가 되었을 것이라 한다.

「가운데땅의 사람들」에서는 파랑의 이스타理는 東邦에서 이스타里로서 活動해, 사우론의 同盟軍이 書房을 向하는 것을 妨害하는 것으로 自由의 百姓 勝利에 貢獻했다고 여겨진다.

이와 같이 파랑의 魔法師 에 對해서는 不明한 點이 많지만 全혀 모르는 것은 아니고, 2條의 이름이 남아 있다. 第3時代의 아라타르와 펄랜드, 또는 第2時代의 모리네타르와 로메스타모이다.

알라타르와 팔란度 [ 編輯 ]

알라타르(Alatar)와 팔란度(Pallando)는 誤로메 에 依해서 選擇되었다. 가운데땅으로의 그들은, 新다르語로 이스린 壘인(Ithryn Luin, 斷水型 Ithron Luin)(파랑의 魔法師)으로 불렸다. 그들은 사루灣과 함께 가운데땅의 洞房으로 向해, 사루만만이 돌아왔다고 한다. 힘에 빠져 東邦의 사우론의 下人化했는지, 任務를 防弊했는지, 或은 任務에 失敗해 붙잡히거나 살해당하거나 했는지, 누구도 모른다.

모리네타르와 로메스타모 [ 編輯 ]

모리네타르(Morinehtar)와 로메스타모(Romestamo)는 各各, 「어두운 곳의 殺戮子」, 「東方의 救助者」를 의미한다. 그들은 사우론이 하나의 半指를 鍛鍊한 第2時代의 1600年 즈음 가운데땅에 나타나 안個國의 東方에서의 사우론의 勢力의 減少에 勤務하고, 제2시대, 第3時代를 통해서 어느 程度 이것에 成功했다고 여겨진다. 그 後, 글로르핀델 과 함께 가운데땅으로 歸還했을지도 모른다.

各州 [ 編輯 ]

  1. 元來 魔法은 마이아가 가지는 權能과는 別個의 힘으로, 마이아 本來의 權能이 魔法보다 훨씬 더 强力하다.
  2. 사우론을 속이기 위해서 服從한 척 했으나, 實際로 그의 靈魂은 絶對半指 를 얻어 힘을 얻고 싶은 渴望에 墮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