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돛자리 람다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돛자리 람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돛자리 람다 (수하일)
λ Velorum (Suhail)
돛자리. 람다는 λ이다.
돛자리. 람다는 λ이다.
名稱
밝은 별 目錄 HR 3634 [1]
헨리 드레이퍼 目錄 HD 78647 [1]
스미소니언 天文臺 恒星目錄 SAO 220878 [1]
小천성표 CD−42°4990 [1]
히파르코스 目錄 HIP 44816 [1]
다른 이름 알수하일, 알 수하일 알 와즌, 수하일, 알 수칼, FK5 345 [1]
觀測 情報
(逆起點 J2000.0)
별자리 돛자리
敵境 (α) 09 h  07 m  59.75787 s [2]
赤緯 (δ) −43° 25′ 57.3273″ [2]
겉보기等級 (m) 2.21 [3] (2.14 - 2.30 [4]
絶對等級 (M) −3.99 [5]
位置天文學
視線速度 +18.4 km/s [6]
敵境 固有運動 −24.01 mas/yr [2]
赤緯 固有運動 +13.52 mas/yr [2]
年周視差 5.99 ± 0.11 mas [2]
性質
광도 7,900 L [7]
나이 31.6 ± 1.7 (百萬 年) [8]
分光型 K4 Ib [9]
U-B 色指數 +1.80 [3]
B-V 色指數 +1.65 [3]
變光星 分類 LC [4]
追加 事項
質量 7 ± 1 M ? [7]
半지름 210 R [7]
表面溫度 3,800 - 4,000 K [7]
重元素 含量 ( Fe / H ) +0.06 [10]
表面 重力 (log g) 0.6 cgs [7]
自轉 速度 6.7 km/s [5]
恒星 目錄

겉보기等級順   · 絶對等級順
거리順   · 質量順   · 半지름順

돛자리 람다 (λ Velorum, λ Vel) 또는 公式 名稱 수하일 (Suhail) [11] 은 南半球 하늘의 돛자리 方向에 있는 恒星 이다. 平均 겉보기等級 은 2.21로 [3] 별자리 內에서 세 番째로 밝으며 밤하늘 全體에서도 밝은 축에 屬하는 恒星이다. 이 별까지의 距離는 時差 技法을 利用하여 直接 測定할 수 있으며 그 값은 地球로부터 約 545 光年 (167 파섹 )이다. [2]

名稱 [ 編輯 ]

돛자리 람다 λ Velorum 바이어 命名法 에 따른 名稱이다.

傳統的인 아랍語 名稱은 ?????? ????? (수하일 알 와즌)이나 近代 航海별로서 수하일 Suhail 로 縮約되어 불려 왔다. 람다別 以外에도 '수하일'(아랍語圈에서 흔한 男性의 )은 傳統的으로 카노푸스 , 돛자리 감마 (알 수하일 알 물리프), 고물자리 제타 (수하일 下다르) 等 最少 세 별을 가리키는 名稱이었다. 2016年 8月 21日 國際天文聯盟 傘下 WGSN(항성名稱 워킹그룹)은 돛자리 람다별에 수하일 Suhail 을 公式 固有名稱으로 附與했으며 이 名稱은 現在 IAU 항성名稱目錄에 登載되어 있다. [12] (카노푸스는 元來 名稱을 그대로 附與받았으며 고물자리 제타는 나오스 Naos 를 附與받았다.) [11]

中華圈에서 수하일은 天機(天記)를 構成하는 唯一한 恒星으로 單獨 名稱 亦是 同一하다. [13] 賤妓는 西歐式으로 Tseen Ke 로 表記되기도 하나 R. H. 앨런은 Tseen Ke 돛자리 프시 의 名稱이며 그 뜻은 '하늘의 記錄物'이라고 主張했다. [14]

特性 [ 編輯 ]

돛자리 람다의 畏怖層 有效 溫度 는 約 4000 켈빈 으로 이 溫度에서 람다는 K型 恒星의 오렌지色 빛을 뿜는다. [15] 람다의 變光星 分類는 Lc型으로 겉보기 等級이 +2.14와 +2.30 사이에서 變化하는 느린 不規則 變光星 이다. [4]

람다별은 中心核 領域에 있는 水素를 消盡한, 進化가 進陟된 恒星이다. 質量은 大略 太陽의 일곱 倍이다. 람다는 點根據性가지 (AGB)上에 있든지 或은 여기에 接近하는 中인 것 같으나, 赤色巨星가지 (RGB)上에 있는 質量이 좀 더 큰 別일 可能性도 排除할 수 없다. [16] 람다는 點根據性가지 恒星 段階이기에 中心核은 活力이 喪失된 炭素 酸素 로 이루어져 있으며 代身 中心核 바깥에 있는 層 두 個에서 헬륨 水素 를 融合하고 있다. 恒星의 畏怖層은 擴張되어 두껍고, 對流 活動을 하며, 水素를 태우는 層을 만든 狀態이고 이 畏怖層은 磁氣場 을 形成하고 있다. 이 磁氣場의 람다別 表面에서의 힘은 1.72 ± 0.33 G 로 測定되었다. [17] 무거운 恒星들은 가벼운 별들보다 水素 燃料를 빠르게 使用하므로 돛자리 람다의 나이는 大略 3200萬 年에 不過한 것으로 보인다. [8]

돛자리 람다는 中間 程度 質量의 恒星들 中 上限線에 該當되는 별로 最後를 行星狀星雲 白色矮星 의 形態로 맞게 될 것이다. 하지만 II型 超新星 을 일으킬 程度로 무거울 可能性은 있다. [18]

各州 [ 編輯 ]

  1. “Basic data: lam Vel -- Long-period variable star” . 《SIMBAD》 . 2020年 3月 16日에 確認함 .  
  2.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 : 0708.1752 , Bibcode : 2007A&A...474..653V , doi : 10.1051/0004-6361:20078357  
  3. Johnson, H. L.; 外. (1966), “UBVRIJKL photometry of the bright stars”, 《Communications of the Lunar and Planetary Laboratory》 4 (99): 99, Bibcode : 1966CoLPL...4...99J  
  4. Ruban, E. V.; 外. (September 2006), “=Spectrophotometric observations of variable stars”, 《Astronomy Letters》 32 (9): 604?607, Bibcode : 2006AstL...32..604R , doi : 10.1134/S1063773706090052   . See the J/PAZh/32/672 VizieR catalogue entry.
  5. Setiawan, J.; Pasquini, L.; Da Silva, L.; Hatzes, A. P.; von Der Luhe, O.; Girardi, L.; De Medeiros, J. R.; Guenther, E. (2004). “Precise radial velocity measurements of G and K giants. Multiple systems and variability trend along the Red Giant Branch”. 《Astronomy and Astrophysics》 421 : 241. Bibcode : 2004A&A...421..241S . doi : 10.1051/0004-6361:20041042-1 .  
  6. Wilson, R. E.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Carnegie Institute Washington D.C. Publication》 (Carnegie Institute of Washington D.C.). Bibcode : 1953GCRV..C......0W .  
  7. Carpenter, Kenneth G.; Robinson, Richard D.; Harper, Graham M.; Bennett, Philip D.; Brown, Alexander; Mullan, Dermott J. (1999). “GHRS Observations of Cool, Low-Gravity Stars. V. The Outer Atmosphere and Wind of the Nearby K Supergiant λ Velorum”. 《The Astrophysical Journal》 521 (1): 382?406. Bibcode : 1999ApJ...521..382C . doi : 10.1086/307520 .  
  8. Tetzlaff, N.; Neuhauser, R.; Hohle, M. M. (January 2011), “A catalogue of young runaway Hipparcos stars within 3 kpc from the Sun”,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0 (1): 190?200, arXiv : 1007.4883 , Bibcode : 2011MNRAS.410..190T , doi : 10.1111/j.1365-2966.2010.17434.x  
  9. Keenan, Philip C.; McNeil, Raymond C. (1989). “The Perkins catalog of revised MK types for the cooler star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71 : 245. Bibcode : 1989ApJS...71..245K . doi : 10.1086/191373 .  
  10. Luck, R. Earle (2014). “Parameters and Abundances in Luminous Stars”. 《The Astronomical Journal》 147 (6): 137. Bibcode : 2014AJ....147..137L . doi : 10.1088/0004-6256/147/6/137 .  
  11. “IAU Catalog of Star Names” . 2016年 7月 28日에 確認함 .  
  12.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 2016年 5月 22日에 確認함 .  
  13. (中國語)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育資訊網 2006 年 6 月 29 日 Archived 2021年 6月 5日 - 웨이백 머신
  14. Allen, Richard Hinckley, 《Star Names ? Their Lore and Meaning: Argo Navis》  
  15. “The Colour of Stars” ,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年 12月 21日, 2012年 2月 2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1月 16日에 確認함  
  16. Carpenter, Kenneth G. (1998). “The Structure of the Outer Atmosphere and Wind of lambda Vel”. 《Asymptotic Giant Branch Stars》 191 : P206. Bibcode : 1998IAUS..191P.206C .  
  17. Grunhut, J. H.; 外. (November 2010), “Systematic detection of magnetic fields in massive, late-type supergiant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08 (4): 2290?2297, arXiv : 1006.5891 , Bibcode : 2010MNRAS.408.2290G , doi : 10.1111/j.1365-2966.2010.17275.x  
  18. Nomoto, K. (1984). “Evolution of 8-10 solar mass stars toward electron capture supernovae. I - Formation of electron-degenerate O + NE + MG cores”. 《Astrophysical Journal》 277 : 791. Bibcode : 1984ApJ...277..791N . doi : 10.1086/161749 .  

座標 : 하늘 지도 09 h 07 m 59.75787 s , ?43° 25′ 57.3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