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더닝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데이비드 더닝 (David Dunning, 本名: 데이비드 앨런 더닝 , David Alan Dunning, 1960年 出生)은 美國의 社會 心理學者이자 미시간 大學의 心理學 敎授이다. [1] 그는 隱退한 코넬 大學校 心理學科 敎授이다. [2]

敎育 [ 編輯 ]

1982年 미시간 州立 大學校 에서 心理學 學事 學位를, 1986年 스탠포드 大學校에서 心理學 博士 學位를 받았다. [3]

硏究 [ 編輯 ]

더닝은 同僚 審査를 거친 論文, 書籍, 論評을 80個 以上 出版했다. 그는 1995年 그레이터 피츠버그 銀行 强盜 事件을 읽은 後 大學院生인 저스틴 크루거(Justin Kruger)와 함께 1999年 硏究를 [4] 共同 執筆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加害者들은 마스크 代身 레몬 주스를 썼는데, 그렇게 하면 保安 카메라에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5] [6] 이 硏究는 유머, 文法, 論理 判斷과 같은 特定 作業에서 가장 낮은 成果를 낸 사람들이 自身이 이러한 作業을 얼마나 잘하는지 相當히 過大評價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7] 이 硏究는 사람들이 自身의 認知 能力을 實際보다 더 높게 잘못 評價하는 認知 偏向 더닝-크루거 效果 로 알려진 現象을 일으켰다. 이 硏究는 또한 주어진 弄談이 얼마나 재미있는지 識別하는 데 平均보다 若干 높은 成果를 낸 사람들이 割當된 作業을 얼마나 잘 遂行했는지 評價하는 데 가장 正確한 傾向이 있으며, 가장 좋은 成果를 낸 사람들은 自身의 成果가 若干만 뛰어나다고 생각하는 傾向이 있음을 發見했다. 2012年에 더닝은 아르스 테크니카 에 "그 論文은 決코 出版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며 "이 아이디어가 얼마나 오랫동안 많은 分野에서 입所聞을 탔는가에 놀랐다"고 말했다.

各州 [ 編輯 ]

  1. “David Dunning” . 《University of Michigan》 . 2016年 6月 6日에 確認함 .  
  2. “David Dunning” . 《Cornell University Institute for the Social Sciences》. 2019年 5月 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6年 5月 25日에 確認함 .  
  3. Dunning, David Alan (1986). 《Situational construal and sources of social judgment》 (學位論文) (英語). Stanford University.  
  4. Kruger, J; Dunning, D (December 1999). “Unskilled and unaware of it: how difficulties in recognizing one's own incompetence lead to inflated self-assessm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7 (6): 1121?34. CiteSeerX   10.1.1.64.2655 . doi : 10.1037/0022-3514.77.6.1121 . PMID   10626367 .  
  5. Abrahams, Marc (December 2005). “Those Who Can't, Don't Know It” . 《Harvard Business Review》 . 2016年 5月 25日에 確認함 .  
  6. Morris, Errol (2010年 6月 20日). “The Anosognosic's Dilemma: Something's Wrong but You'll Never Know What It Is (Part 1)” . 《 The New York Times 》. 2022年 8月 27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22年 10月 16日에 確認함 .  
  7. Lee, Chris (2012年 5月 25日). “Revisiting why incompetents think they're awesome” . 《Ars Technica》 . 2016年 5月 25日에 確認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