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까마귀자리 베타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까마귀자리 베타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까마귀자리 베타
名稱
다른 이름 크라즈, 까마귀자리 베타, 까마귀자리 9, BD ?22 3401, CD?22 3401, CD?22 9505, CPD?22 5388, FK5 471, GC 17133, HD  109379, HIP  61359, HR 4786, PPM 260512, SAO 180915. [1] [2]
觀測 情報
(逆起點 J2000.0 )
별자리 까마귀자리
敵境 (α) 12 h  34 m  23.23484 s [3]
赤緯 (δ) ?23° 23′ 48.3374″ [3]
겉보기等級 (m) 2.647 [4]
絶對等級 (M) ?0.61 [5]
位置天文學
年周視差 22.39 ± 0.18 밀리秒角 [3]
性質
광도 164 L [6]
나이 2.06 × 10 8 [7]
分光型 G5 II [7]
追加 事項
質量 3.7 ± 0.1 M ? [7]
表面溫度 5,100 ± 80 K [7]
表面 重力 (log g) 2.52 ± 0.03 [7]
自轉 速度 8 [8]
恒星 目錄

겉보기等級順   · 絶對等級順
거리順   · 質量順   · 半지름順

까마귀자리 베타 ( Beta Crv , β Corvi , β Crv )는 南半球 하늘 까마귀자리 에서 두 番째로 밝은 恒星 이다. 예전부터 불려 오던 이름으로 크라즈 가 있으나 語源과 그 意味는 不明確하다. [9] [10]

이름 [ 編輯 ]

固有名稱 크라즈( Kraz )는 체코 天文學者 Antonin Be?va?의 著書 Atlas Coeli  에서 나온다. 폴 쿠니치 敎授는 이 名稱의 語源을 찾을 수 없다고 말했다. [11]

東아시아의 天文學 에서 이 별은 진수(軫宿<)를 이루는 별(까마귀자리 베타, 감마, 에타, 델타) 中 하나이다. [12]  베타별 하나만을 일컫는 이름은 진수사( 軫宿四 , 진수 별자리에서 네 番째)이다. [13]

物理的 特徵 [ 編輯 ]

까마귀자리 베타는 太陽보다 무겁고 밝은 별이다. 質量은 太陽의 3.7倍에 나이는 約 2億 600萬 年이다. [7]  太陽의 46億 年에 비하면 짧지만 質量이 크기 때문에 恒星進化 段階에서 이 별은 主系列 段階를 떠났다. 分光型 은 G5 II로 [7]  여기에서 光度分類 'II'는 베타가 밝은 巨星 임을 뜻한다. 大氣 바깥쪽의 有效 溫度 는 藥 5100 켈빈 으로 [7]  G型 恒星이 보여주는 노란色 빛을 뿜는다. [14]

觀測氣球로 잰 베타의 角지름은 3.30 ± 0.17 밀리秒角 이다. [15]  地球로부터 이 별까지의 距離가 約 146 光年(45 파섹)이므로 [3]  이로부터 베타의 實際 半지름은 太陽의 約 16倍임을 알 수 있다. [9] [16]  質量과 半지름으로부터 별의 밝기는 太陽의 約 164倍가 나온다. [6]   水素 헬륨 보다 무거운 元素의 대기 內 包含比率(天文學에서는 普通 重元素 라고 부른다.)은 太陽 과 비슷하다. [5]

이 별은 變光星 으로 겉보기 等級 은 最小 2.66에서 最大 2.60까지 變한다. [17]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HR 4786 , database entry, The Bright Star Catalogue, 5th Revised Ed. (Preliminary Version), D. Hoffleit and W. H. Warren, Jr., CDS ID V/50 . Accessed on line September 9, 2008.
  2. * bet Crv -- Variable Star , database entry, SIMBAD . Accessed on line September 9, 2008.
  3.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 : 0708.1752 . Bibcode : 2007A&A...474..653V . doi : 10.1051/0004-6361:20078357 .  
  4. Gutierrez-Moreno, Adelina; 外. (1966). “A System of photometric standards” 1 . Publicaciones Universidad de Chile, Department de Astronomy: 1?17. Bibcode : 1966PDAUC...1....1G .  
  5. Takeda, Yoichi; Sato, Bun'ei; Murata, Daisuke (August 2008), “Stellar Parameters and Elemental Abundances of Late-G Giants”,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Japan》 60 (4): 781?802, arXiv : 0805.2434 , Bibcode : 2008PASJ...60..781T , doi : 10.1093/pasj/60.4.781  
  6. Mallik, Sushma V. (December 1999), “Lithium abundance and mas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52 : 495?507, Bibcode : 1999A&A...352..495M  
  7. Lyubimkov, Leonid S.; 外. (February 2010). “Accurate fundamental parameters for A-, F- and G-type Supergiants in the solar neighbourhood”. 《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02 (2): 1369?1379. arXiv : 0911.1335 . Bibcode : 2010MNRAS.402.1369L . doi : 10.1111/j.1365-2966.2009.15979.x .  
  8. Bernacca, P. L.; Perinotto, M. (1970). “A catalogue of stellar rotational velocities”. 《Contributi Osservatorio Astronomico di Padova in Asiago》 239 (1). Bibcode : 1970CoAsi.239....1B .  
  9. Kaler, James B., “KRAZ (Beta Corvi)” ,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 2012年 12月 28日에 確認함  
  10. Falkner, David E. (2011), 《The Mythology of the Night Sky: An Amateur Astronomer's Guide to the Ancient Greek and Roman Legends》 , Patrick Moore's Practical Astronomy, Springer, 81쪽, ISBN   1-4614-0136-4  
  11. Kunitzch, Paul; Smart, Tim (2006) [1986].
  12. (Chinese) 中國星座神話 , written by 陳久金.
  13. (Chinese) 香港太空館 - ?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Archived 2011年 1月 29日 - 웨이백 머신 , Hong Kong Space Museum.
  14. “The Colour of Stars” ,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年 12月 21日, 2012年 3月 1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1月 16日에 確認함  
  15. Richichi, A.; Percheron, I.; Khristoforova, M. (February 2005), “CHARM2: An updated Catalog of High Angular Resolution Measurement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1 : 773?777, Bibcode : 2005A&A...431..773R , doi : 10.1051/0004-6361:20042039  
  16. Lang, Kenneth R. (2006), 《Astrophysical formulae》 , Astronomy and astrophysics library 1 3板, Birkhauser, ISBN   3-540-29692-1   . 여기에서 半지름 (R * )은 다음과 같이 求할 수 있다.
  17. Kukarkin, B. V.; 外. (1981), 《Nachrichtenblatt der Vereinigung der Sternfreunde e.V. (Catalogue of suspected variable stars)》, Moscow: Academy of Sciences USSR Shternberg, Bibcode : 1981NVS...C......0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