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까마귀자리 감마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까마귀자리 감마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까마귀자리 감마
Gamma Corvi
까마귀자리. 감마는 γ이다.
까마귀자리. 감마는 γ이다.
名稱
플램스티드 命名法 까마귀자리 4 (4 Corvi)
밝은 별 目錄 HR 4662
헨리 드레이퍼 目錄 HD 106625
스미소니언 天文臺 恒星目錄 SAO 157176
小천성표 BD?16 3424
히파르코스 目錄 HIP 59803
다른 이름 FK5 457 [1]
觀測 情報
(逆起點 J2000)
별자리 까마귀자리
敵境 (α) 12 h  15 m  48.37081 s [2]
赤緯 (δ) ?17° 32′ 30.9496″ [2]
겉보기等級 (m) 2.585 [3]
絶對等級 (M) ?0.79 [4]
位置天文學
視線速度 -4.2 km/s [5]
敵境 固有運動 ?158.61 mas/yr [2]
赤緯 固有運動 +21.86 mas/yr [2]
年周視差 21.23 ± 0.20 mas [2]
性質
광도 A : 331 L [4]
나이 160 +40
?30
(百萬 年) [6]
分光型 B8 III [7]
U-B 色指數 ?0.344 [3]
B-V 色指數 ?0.111 [3]
追加 事項
質量 A : 4.2 +0.4
?0.3
M ? [6]
B : 0.8 M ? [8]
自轉 速度 30 km/s [9]
恒星 目錄

겉보기等級順   · 絶對等級順
거리順   · 質量順   · 半지름順

까마귀자리 감마 (γ Crv)는 天球 南半球의 까마귀자리 方向에 있는 雙星 으로 겉보기等級 은 2.59이다. [10] 이 契는 까마귀자리 감마 A와 B 둘로 構成되어 있다. 이들 中 밝은 쪽인 A 에는 감마 契 全體를 傳統的으로 불러오던 이름인 기에나 Gienah 가 公式的으로 附與되었다. [11] [12] 이 界까지의 距離는 時差 技法을 利用하여 直接 測定되었으며 그 값은 太陽 으로부터 約 154 光年 (47 파섹 )이다. [2]

名稱 [ 編輯 ]

까마귀자리 감마 (γ Corvi)는 契 全體를 바이어 命名法 으로 부르는 名稱이다. 系를 이루는 構成員 둘은 各各 까마귀자리 감마 A, B로 불리는데 이 方式은 워싱턴 多重星 目錄(WMC)李 多重星系의 構成員들을 區別하기 위해 取한 規則으로 國際天文聯盟 (IAU) 亦是 이 方式을 採擇했다. [13]

까마귀자리 감마의 傳統的인 名稱 '기에나' Gienah 는 울루그 베그의 아랍語 文句 '알-者나 알-기라브 알-야만' ?????? ?????? ????? (' 까마귀 의 오른쪽 날개 '. 그러나 近代 星表에서는 왼쪽 날개에 該當된다.)에서 由來한 이름이다. [14] 白鳥자리 엡실론 亦是 이 名稱을 共有하고 있었기 때문에 까마귀자리 감마를 '까마귀자리의 기에나' Gienah Corvi 또는 '기에나 舊라브' Gienah Ghurab 로 부르기도 했다.

2016年 11月 6日 國際天文聯盟 傘下 WGSN(항성名稱 워킹그룹)은 까마귀자리 감마 A 기에나 Gienah 名稱을 公式 附與하였다. WGSN은 多重星界 의 境遇 契 全體가 아니라 構成員 單位로 이름을 附與하기로 規則을 定했기 때문에 까마귀자리 감마 亦是 契 全體가 아니라 가장 밝은 構成員 A에 상기 名稱이 붙었다. [15] [16] 以後 2017年 6月 30日 '기에나'를 共有하던 白鳥자리 엡실론에서 가장 밝은 별 Aa에 '謁者나' Aljanah 가 附與되어 固有名稱을 公式的으로 分離시켰다. 두 名稱 모두 現在 IAU 引證 항성名稱目錄에 登載되어 있다. [12]

《알 樂士詩 알 무아케트 星表》에는 까마귀자리 감마의 이름이 '알-者나 알-기라브 알-야만' Al-jan?ħ al-ghir?b al-yaman 또는 '드制나 알 基라브 알 에이멘' Djenah al Ghyrab al Eymen 으로 실려 있다. 이 名稱은 라틴語 로 '덱스트라 알라 코르非' Dextra ala Corvi 로 飜譯되었다. [17]

東아시아 天文學 에서 까마귀자리 감마는 까마귀자리 엡실론, 까마귀자리 델타, 까마귀자리 베타와 함께 진수 를 構成한다. [18] 이들 中 감마 하나만을 일컫는 名稱은 진수1(軫宿一)이다. [19]

特徵 [ 編輯 ]

까마귀자리 감마 契에서 밝은 주성인 A는 分光型 B8 III의 巨星 이며 [7] [3] 質量은 太陽의 約 4.2 倍이다. [6] A는 靑白色 빛을 뿜는다. [20] 이 별의 스펙트럼 으로부터 恒星에 輸銀 亡家니즈 元素가 一般的인 境遇보다 많이 包含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로부터 A를 輸銀-亡家니즈 별 로 分類한다. [21] 그러나 그 含有量이 特異하게 많거나 或은 적은 元素들 亦是 存在한다. [22] 安定的인 恒星의 大氣에 이런 化學的 特異性 이 存在할 수 있는 理由는 이 元素들이 擴散과 重力的인 沈澱을 통해 分離되었기 때문임이 有力하다. [21] 또한 진수를 構成하면서 化學性 特異性을 包含하게 된다.

反省 B는 質量이 太陽의 80% 水準으로 주성 A로부터 平均 50 天文單位 떨어져서 158年 週期로 1回 共通의 質量 中心 을 空轉하고 있다. [6] 測光學敵으로 B의 分光型은 K5 ~ M5 V로 보인다. [8]

各州 [ 編輯 ]

  1. “gam Crv” . 《 SIMBAD 》. Centre de donne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 2010年 5月 2日에 確認함 .  
  2.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 : 0708.1752 , Bibcode : 2007A&A...474..653V , doi : 10.1051/0004-6361:20078357  
  3. Cousins, A. W. J. (1984), “Standardization of Broadband Photometry of Equatorial Standards”, 《South African Astronomical Observatory Circulars》 8 : 59, Bibcode : 1984SAAOC...8...59C  
  4. Anderson, E.; Francis, Ch. (2012),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Astronomy Letters》 38 (5): 331, arXiv : 1108.4971 , Bibcode : 2012AstL...38..331A , doi : 10.1134/S1063773712050015 .  
  5. Wilson, Ralph Elmer (1953),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Washington》 (Washington: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Bibcode : 1953GCRV..C......0W  
  6. Janson, Markus; 外. (August 2011), “High-contrast Imaging Search for Planets and Brown Dwarfs around the Most Massive Stars in the Solar Neighborhood”, 《The Astrophysical Journal》 736 (2): 89, arXiv : 1105.2577 , Bibcode : 2011ApJ...736...89J , doi : 10.1088/0004-637X/736/2/89  
  7. Houk, Nancy (1978),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Volume 4》 (Ann Arbor: Dept. of Astronomy, University of Michigan) 4 , Bibcode : 1988mcts.book.....H  
  8. Roberts, Lewis C. Jr.; Turner, Nils H.; ten Brummelaar, Theo A. (February 2007), “Adaptive Optics Photometry and Astrometry of Binary Stars. II. A Multiplicity Survey of B Stars”, 《The Astronomical Journal》 133 (2): 545?552, Bibcode : 2007AJ....133..545R , CiteSeerX   10.1.1.549.4623 , doi : 10.1086/510335  
  9. Abt, Helmut A.; Levato, Hugo; Grosso, Monica (July 2002), “Rotational Velocities of B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573 (1): 359?365, Bibcode : 2002ApJ...573..359A , doi : 10.1086/340590  
  10. Kaler, James B. (Jim) (2004), “Gienah Corvi” ,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 2015年 3月 18日에 確認함  
  11. Kunitzsch, Paul; Smart, Tim (2006).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2 rev.판. Cambridge, Massachusetts: Sky Pub. ISBN   978-1-931559-44-7 .  
  12. “Naming Stars” . IAU.org . 2017年 12月 16日에 確認함 .  
  13. Hessman, F. V.; Dhillon, V. S.; Winget, D. E.; Schreiber, M. R.; Horne, K.; Marsh, T. R.; Guenther, E.; Schwope, A.; Heber, U. (2010). “On the naming convention used for multiple star systems and extrasolar planets”. arXiv : 1012.0707 [ astro-ph.SR ].  
  14. Allen, Richard Hinckley (1899),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 《New York》 (G.E. Stechert): 182, Bibcode : 1899sntm.book.....A  
  15.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 2016年 5月 22日에 確認함 .  
  16. “WG Triennial Report (2015-2018) - Star Names” (PDF) . 5쪽 . 2018年 7月 14日에 確認함 .  
  17. Knobel, E. B. (June 1895),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55 (8): 429, Bibcode : 1895MNRAS..55..429K , doi : 10.1093/mnras/55.8.429  
  18. (中國語) 中國星座神話 , written by 陳久金. Published by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ISBN   978-986-7332-25-7 .
  19. (中國語) 香港太空館 ? ?究資源 ? 亮星中英對照表 保管됨 1月 30, 2011 - 웨이백 머신 , Hong Kong Space Museum. Accessed on line November 23, 2010.
  20. “The Colour of Stars” ,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December 21, 2004, 2012年 3月 1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1月 16日에 確認함  
  21. Adelman, S. J.; 外. (February 2006), “Elemental abundance analyses with DAO spectrograms. XXIX. The mercury-manganese stars 53 Tau, β Tau, γ Crv, and υ Her”, 《Astronomy and Astrophysics》 447 (2): 685?690, Bibcode : 2006A&A...447..685A , doi : 10.1051/0004-6361:20053581  
  22. Fremat, Y.; Houziaux, L. (April 1997), “Elemental abundances in the Hg-Mn star γ Corvi”, 《Astronomy and Astrophysics》 320 : 580?585, Bibcode : 1997A&A...320..580F  

座標 : 하늘 지도 12 h 15 m 48.371 s , ?17° 32′ 3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