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김정해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김정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김정해 (金晶海, 1888年 ~ ?)는 日帝强占期 僧侶 이다. 號는 죽헌(竹軒)이며 다른 이름으로 김철우(金喆宇)가 있다.

生涯 [ 編輯 ]

水原 龍珠寺 에 在籍하던 中 當時 住持 강대련 의 配慮로 1913年 日本 에 留學을 갈 수 있는 機會를 얻게 되었다. 이지광 , 이혼성 과 함께 小토슈 大學 에서 受學하고 1918年 歸國했다. 韓日 合倂 條約 締結 以後 日本 留學을 無事히 마치고 歸國한 것은 이들이 거의 처음이라 佛敎界의 至大한 關心을 받았다.

김정해는 暫時 龍珠寺 法務를 거쳐 이혼성 後任으로 《 朝鮮佛敎總報 》 主筆이 되었고, 佛敎哲學에 對한 여러 篇의 글을 發表하며 活動했다. 1919年 에는 佛敎中央學林 學監, 1920年 楊州郡 보광사 住持를 지냈고, 1922年 에는 30代 中盤의 나이로 大本山 傳燈寺 住持가 되었다.

김정해는 持株職 就任 後 寺刹의 묵은 負債를 山林을 賣却해 淸算하는 等 能力을 보였으나, 佛敎界의 保守 勢力인 朝鮮佛敎中央敎務員 과 革新 勢力인 朝鮮佛敎中央總務院의 葛藤이 심해지면서 中央敎務院 側에 섰다가 1923年 相對便 僧侶들에게 集團 暴行을 當하는 일을 겪었다. 이 事件 以後 本山 住持 中心의 中央敎務員에서는 信任을 얻게 되어 1926年 補缺理事로 選出되는 等 繼續 重責을 맡았다.

그 사이 傳燈寺 住持로서도 세 番째 連任했으나, 私有財産 浪費 嫌疑를 받아 1930年代 初에 突然 住持職에서 解任되었다. 이때 함께 解任된 傳燈寺 職員이 김정해에게 怨恨을 품고 그의 집에 放火를 했다가 刑事處罰을 받는 일도 있었다. 다솔사 住持였던 최범술 의 回顧에 따르면, 日本 留學派인 김정해는 當時 "親日 중놈"으로 알려져 있었다.

以後로도 中央敎務院 庶務理事 兼 佛敎界가 運營하던 寶城高等普通學校 代表理事를 지냈으며, 1930年代 中盤에 皇民化 運動의 前 段階로 日本 精神 鼓吹를 위해 進行된 心田開發 運動에 積極的으로 參與했다. 김정해가 1936年 2月 《 佛敎時報 》에 寄稿한 〈心田開發의 3大 原則을 取하야〉라는 글은, 日本 皇室의 神聖한 法統을 이어나가야 한다거나 歷代 日本 天皇의 仙靈을 믿고 崇尙하자는 等 日本 精神에 至極히 充實한 內容을 담고 있다.

1936年 3月 中央敎務院 理事職 辭任 以後 行跡은 알 수 없으며, 2008年 民族問題硏究所 친일인명사전 收錄豫定者 名單 中 宗敎 部門에 選定해 發表했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資料 [ 編輯 ]

  • 임혜봉 (2005年 3月 1日). 〈김정해 : 日本에 留學한 親日 性向의 本山 住持〉. 《親日 僧侶 108人》. 서울: 청년사. 110~119쪽쪽. ISBN   97889727838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