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麒麟자리 알파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麒麟자리 알파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麒麟자리 알파
셀레스티아로 구현한 기린자리 알파.
셀레스티아 로 具現한 麒麟자리 알파.
名稱
다른 이름 麒麟자리 α, 麒麟자리 알파, 麒麟자리 9 , BD +66 358, FK5 178, GC 5924, HD  30614, HIP  22783, HR 1542, IRAS 04490+6615, PPM 15047, SAO 13298, WDS J04541+6621 [1]
觀測 情報
(逆起點 J2000 )
별자리 麒麟자리
敵境 (α) 04 h  54 m  03.01040 s [2]
赤緯 (δ) +66° 20′ 33.6365″ [2]
겉보기等級 (m) 4.301 [1]
絶對等級 (M) ?7.1 [3]
位置天文學
年周視差 0.52 ± 0.19 밀리秒角 [2]
거리 約 6,000 光年(藥 1,900 파섹)
性質
광도 680,000 L [3]
나이 ~200萬 年 [4]
分光型 O9.5Iae [1]
追加 事項
質量 43.2 M ? [3]
表面溫度 27,700 K [3]
表面 重力 (log g) 3.00 [3]
自轉 速度 80 [3]
恒星 目錄

겉보기等級順   · 絶對等級順
거리順   · 質量順   · 半지름順

麒麟자리 알파 麒麟자리 方向에 있는 靑色 超巨星 이다. 이 별까지의 距離는 約 6,000 光年으로 맨눈으로 보이는 밤하늘 별자리 構成員 中에서는 地球와 아주 멀리 떨어져 있다. 初期 硏究에서 알파 本體는 分光雙星 으로 豫測되었으나 後續硏究에서 太陽 과 같은 單獨性임이 밝혀졌다. 알파는 鑛區 의 밝기가 不規則하게 變하는 變光星 이며, 宇宙空間을 超音速 으로 움직이는 도주성 으로 周邊에 보우 쇼크 構造를 形成하고 있다.

特徵 [ 編輯 ]

겉보기 等級은 4.301이다. [1] 바이어 命名法 알파 이름과는 달리 麒麟자리에서 麒麟자리 베타 , 麒麟자리 CS 에 이어 세 番째로 밝다. [5] 밤하늘 별자리를 構成하는 어느 程度 밝은 별들 中 麒麟자리 알파는 地球로부터 매우 멀리 떨어져 있는데 그 거리는 大略 6,000 光年이다.

分光型은 O9.5Iae로 'Ia'는 超巨星 , O9.5는 매우 뜨겁고 밝은 O型 恒星, 'e'는 스펙트럼에 방출선 이 나타남을 뜻한다. 質量은 太陽의 43倍나 되며 半지름은 太陽의 37倍 程度이다. 별의 表面溫度는 27,700 켈빈으로 太陽의 5,778 켈빈보다 다섯 倍假量 더 뜨거워 맨눈으로 볼 때 푸른 빛을 뿜는 것처럼 보인다. [6] 光度는 太陽의 68萬 倍 程度이며 [3] 엑스線을 弱하게 放出한다. [7]

밝기變化 週期 여러 個가 이 별에서 나타나는데, 誹謗社 脈動變光星으로 보인다. 이는 별의 鑛區에서 放出되는 빛의 스펙트럼에 變化를 일으킨다. 可視光線 스펙트럼上 吸收線에 視線速度 變化가 나타나는데 그 週期는 不確實하여 0.36 ~ 2.93 일로 多樣하다. 별에서 나오는 항성風은 激烈하고 持續的이다. [8] 이 별은 빠르게 항성風 形態로 質量을 잃고 있는데 그 速度는 1年에 太陽質量의 約 6.3 × 10 ?6 倍이다. [3] 다르게 表現하면 麒麟자리 알파는 16萬 年에 太陽 하나만큼의 質量을 宇宙로 내보내고 있는 셈이다.

1968年 觀測에서는 分光雙星으로 分類되었으며 系를 이루는 두 별은 質量 中心을 3.68日 週期로 1回 公轉하고 있으며 公轉軌道 離心率은 0.45라고 豫想했다. 後續硏究에서는 公轉 週期를 3.24日로 고쳤다. 그러나 2006年 觀測에서 스펙트럼上 變化는 항성風 또는 恒星 大氣의 變化로 생긴 結果로 보았다. 따라서 알파는 雙性이 아니라 홑別일 可能性이 높다. [9] 할레아칼라 天文臺 3.67 미터 高級電子光學體制望遠鏡으로 스페클 干涉計 觀測을 했으나 짝별을 分離해 내는 데 失敗했다. [10]

1961年 麒麟자리 알파의 固有運動으로부터 宇宙速度가 秒當 30 킬로미터를 넘는다는 假定이 세워졌는데 [11] 알파는 NGC 1502 星團으로부터 내쳐져 나온 도주성 으로 보인다. 100萬 年동안 알파는 밤하늘에서 1.4度밖에 移動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4] 性協 麒麟자리 OB1을 이 별의 故鄕으로 보는 視角이 있었으나 後續觀測 結果 可能性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왔다. [5]

알파별은 宇宙空間을 1秒에 680 ~ 4,200 킬로미터 速度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12] 이처럼 星間物質 사이를 超音速으로 움직이는 天體는 램 壓力 때문에 自身이 내뿜는 항성風을 활 模樣의 衝擊波 構造로 만든다. 이 衝擊波는 赤外線 望遠鏡으로 觀測하면 볼 수 있다. 最近 NASA 廣角赤外線 서베이 익스플로러(WISE)가 알파 周圍의 衝擊波 構造를 寫眞으로 찍은바 있다. [13]

東아시아圈 名稱 [ 編輯 ]

東아시아에서 이 별은 龍자리 알파 , 龍자리 카파 , 龍자리 람다 , 큰곰자리 24 , 麒麟자리 43 , 麒麟자리 BK 와 함께 자미迂遠(紫微右垣)의 構成員이다. [14] 따라서 별자리 내 알파의 固有名稱은 자미迂遠陸 (紫微右垣六, 자미迂遠의 여섯 番째 별)이며 [15] 所謂(少衛, 皇帝의 序列 2位 近衛兵)를 象徵한다. [16] [17]

各州 [ 編輯 ]

  1. “alf Cam -- Emission-line Star” , 《SIMBAD》 (Centre de Donne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 2011年 12月 24日에 確認함  
  2. van Leeuwen, F. (November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 : 0708.1752 . Bibcode : 2007A&A...474..653V . doi : 10.1051/0004-6361:20078357 .  
  3. Markova, N. (April 2002), “Spectral variability of luminous early type stars . II. Supergiant alpha Camelopardali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85 : 479?487, Bibcode : 2002A&A...385..479M , doi : 10.1051/0004-6361:20020153   See Table 1.
  4. Blaauw, A. (May 1961), “On the origin of the O- and B-type stars with high velocities (the "run-away" stars), and some related problems”, 《Bulletin of the Astronomical Institutes of the Netherlands》 15 : 265, Bibcode : 1961BAN....15..265B  
  5. Kaler, James B., “Alpha Cam” , 《Stars》 (University of Illinois) , 2009年 10月 19日에 確認함  
  6. “The Colour of Stars” , 《Australia Telescope, Outreach and Education》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2004年 12月 21日, 2012年 3月 1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2年 1月 16日에 確認함  
  7. Aveni, A. F.; Hunter, H. J., Jr. (October 1967), “Observational studies relating to star formation. I.”, 《Astronomical Journal》 72 : 1019?1027, Bibcode : 1967AJ.....72.1019A , doi : 10.1086/110378  
  8. Prinja, R. K.; 外. (October 2006), “The superimposed photospheric and stellar wind variability of the O-type supergiant α Camelopardalis”, 《Astronomy and Astrophysics》 457 (3): 987?994, arXiv : astro-ph/0606720 , Bibcode : 2006A&A...457..987P , doi : 10.1051/0004-6361:20065114  
  9. McSwain, M. Virginia; 外. (January 2007), “A Spectroscopic Study of Field and Runaway OB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655 (1): 473?483, arXiv : astro-ph/0608270 , Bibcode : 2007ApJ...655..473M , doi : 10.1086/509914  
  10. Turner, Nils H.; 外. (August 2008), “Adaptive Optics Photometry and Astrometry of Binary Stars. III. a Faint Companion Search of O-Star Systems”, 《The Astronomical Journal》 136 (2): 554?565, arXiv : 0805.3162 , Bibcode : 2008AJ....136..554T , doi : 10.1088/0004-6256/136/2/554  
  11. Gies, D. R. (July 1987), “The kinematical and binary properties of association and field O stars”,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64 : 545?563, Bibcode : 1987ApJS...64..545G , doi : 10.1086/191208  
  12. Clavin, Whitney (2011年 3月 11日), “Speed demon creates a shock” , 《physorg》 , 2011年 12月 24日에 確認함  
  13. Noriega-Crespo, Alberto; van Buren, Dave; Dgani, Ruth (February 1997), “Bow Shocks Around Runaway Stars.III.The High Resolution Maps”, 《Astronomical Journal》 113 : 780?786, Bibcode : 1997AJ....113..780N , doi : 10.1086/118298  
  14. 中國星座神話 , written by 陳久金. Published by 台灣書房出版有限公司, 2005, ISBN   978-986-7332-25-7 .
  15.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育資訊網 2006 年 6 月 11 日” . 2011年 5月 2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5年 5月 1日에 確認함 .  
  16. English-Chinese Glossary of Chinese Star Regions, Asterisms and Star Name Archived 2008年 9月 24日 - 웨이백 머신 , Hong Kong Space Museum. Accessed on line November 23, 2010
  17. Allen, Richard Hinckley (1899),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 G. E. Stechert, 106쪽 , 2011年 12月 24日에 確認함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