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弓手자리 오미크론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弓手자리 오미크론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弓手자리 오미크론
궁수자리 오미크론의 위치(화살표). 셀레스티아로 작성.
弓手자리 오미크론의 位置(화살標). 셀레스티아 로 作成.
名稱
바이어 命名法 弓手자리 오미크론 (ο Sgr)
플램스티드 命名法 弓手자리 39 (39 Sgr)
밝은 별 目錄 HR 7217
헨리 드레이퍼 目錄 HD 177241
스미소니언 天文臺 恒星目錄 SAO 187643
小천성표 BD ?21°5237
히파르코스 目錄 HIP 93683
다른 이름 CCDM J19047-2144A, GC 26224, IDS 18587-2153, PPM 269274, ADS 11996, WDS J19047-2144A [1]
觀測 情報
(逆起點 J2000.0)
별자리 弓手자리
敵境 (α) 19 h  04 m  40.98177 s [2]
赤緯 (δ) ?21° 44′ 29.3845″ [2]
겉보기等級 (m) +3.771 [3]
絶對等級 (M) 0.625 [3]
位置天文學
視線速度 +26.1 ± 0.6 km/s [4]
敵境 固有運動 +76.35 ± 0.31 mas/yr [2]
赤緯 固有運動 ?58.12 ± 0.18 mas/yr [2]
年周視差 22.96 ± 0.24 mas [2]
性質
광도 66.7 ± 1.1 L [5]
나이 23億 9千萬 年 [6]
分光型 G9IIIb [7]
B-V 色指數 +1.012 ± 0.008 [4]
追加 事項
質量 1.80 M ? [6]
半지름 12.09 +0.29
?0.17
R [5]
重元素 含量 ( Fe / H ) ?0.04 [3]
表面 重力 (log g) 2.66 cgs [3]
恒星 目錄

겉보기等級順   · 絶對等級順
거리順   · 質量順   · 半지름順

弓手자리 오미크론 (ο Sgr)은 弓手자리 方向에 있는 單獨性이다. [8] 겉보기 等級 은 +3.77로 맨눈으로 볼 수 있으며 노란色 빛을 낸다. [3] 이 별까지의 距離는 時差 에 따르면 約 142 光年이다. [2] 오미크론은 秒當 +26 킬로미터의 視線 速度 로 地球로부터 멀어지고 있으며 只今으로부터 約 100萬 年 前에 地球에 86 光年까지 接近했었다. [4]

오미크론은 黃道 로부터 0.86 도 北쪽에 자리잡고 있어 달이나 行星이 이 별을 가릴 때가 있다. 다만 只今까지 이 별을 가장 자주 가려 온 天體는 太陽이다.(지금까지의 掩蔽 時期는 1月 5日이었다.) [9] 따라서 이 별을 밤새 내내 볼 수 있는 時期는 이른 7月이다.

이 별의 分光型은 G9IIIb로 主系列 을 脫出한 巨星이다. [7] 具體的으로 레드클럼프 거성으로 分類되는데 이는 이 별이 中心核에서 헬륨 融合을 하는 水平가지 段階에 있음을 뜻한다. [10] 별의 나이는 23億 9千萬 年이며 [6]  質量은 太陽의 1.8 倍이다. [6] 半지름은 太陽의 12 倍까지 膨脹한 狀態이며 鑛區 에서의 有效 溫度 는 4744 켈빈으로 全體 光度는 太陽의 67 倍이다. [5]

오미크론은 2010年 基準으로 方位角 252度 位置에 主星으로부터 38.4 初刻 떨어진 곳에 겉보기 等級 13.8의 稀微한 反省 하나를 거느리고 있다. [11]

이름과 어원 [ 編輯 ]

中華圈에서 이 별은 두수 의 건(建)을 構成하는 一員이다. 乾은 弓手자리 오미크론 以外에 弓手자리 크시2, 파이, 43, 로1, 웁실론으로 構成된다. 이들 中 오미크론 하나만을 일컫는 名稱은 건2(建二)이다. [12]

各州 [ 編輯 ]

  1. “omi Sgr” . 《 SIMBAD 》. Centre de donne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 2019年 10月 9日에 確認함 .  
  2. van Leeuwen, F. (2007),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474 (2): 653?664, arXiv : 0708.1752 , Bibcode : 2007A&A...474..653V , doi : 10.1051/0004-6361:20078357 .  
  3. Liu, Y. J.; 外. (2007), “The abundances of nearby red clump giant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2 (2): 553?66, Bibcode : 2007MNRAS.382..553L , doi : 10.1111/j.1365-2966.2007.11852.x .  
  4. Anderson, E.; Francis, Ch. (2012),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Astronomy Letters》 38 (5): 331, arXiv : 1108.4971 , Bibcode : 2012AstL...38..331A , doi : 10.1134/S1063773712050015 .  
  5. Brown, A. G. A. (2018年 8月). “Gaia Data Release 2. Summary of the contents and survey properties” . 《Astronomy & Astrophysics》 616 (A1): 22. doi : 10.1051/0004-6361/201833051 . 2020年 1月 27日에 確認함 .  
  6. Luck, R. Earle (2015), “Abundances in the Local Region. I. G and K Giants”, 《The Astronomical Journal》 150 (3): 88, arXiv : 1507.01466 , Bibcode : 2015AJ....150...88L , doi : 10.1088/0004-6256/150/3/88 .  
  7. Keenan, Philip C.; McNeil, Raymond C. (1989), “The Perkins Catalog of Revised MK Types for the Cooler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71 : 245, Bibcode : 1989ApJS...71..245K , doi : 10.1086/191373 .  
  8. Eggleton, P. P.; Tokovinin, A. A. (September 2008),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69?879, arXiv : 0806.2878 , Bibcode : 2008MNRAS.389..869E , doi : 10.1111/j.1365-2966.2008.13596.x .  
  9. In the Sky Earth astronomy reference utility showing the ecliptic and relevant date as at J2000 - present
  10. Alves, David R. (August 2000), “K-Band Calibration of the Red Clump Luminosity”, 《The Astrophysical Journal》 539 (2): 732?741, arXiv : astro-ph/0003329 , Bibcode : 2000ApJ...539..732A , doi : 10.1086/309278 .  
  11. Mason, Brian D.; 外. (2001),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The Astronomical Journal》 122 (6): 3466, Bibcode : 2001AJ....122.3466M , doi : 10.1086/323920 .  
  12. (中國語)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育資訊網 2006 年 5 月 11 日 Archived 2011年 5月 22日 - 웨이백 머신

座標 : 하늘 지도 19 h 04 m 40.98177 s , ?21° 44′ 29.3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