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군밤타령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군밤타령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군밤타령

군밤타령 은 京畿 民謠의 하나로, 舊韓末 에 생긴 자진모리 장단의 臣民요 로 리듬이 다양하게 變하였으며, 兩顎 의 影響을 받아 後斂의 마디 數가 모자라고, 쉬는 데도 없어졌다. [1]

舊韓末 군밤商人이 嚴冬雪寒에 군밤을 팔며 부른 노래가 只今까지 이어져 오늘날 군밤타령으로 불리게 되었다.

樂譜 [ 編輯 ]


\relative c' { \key g \minor \time 12/8  \tempo 4. = 120 \set Staff.midiInstrument = #"violin"
r2 r2 r2 | d'4 c8 ~ c4 g8 bes4 bes8 ~ bes4. |\break
d4 c8 ~ c4 g8 bes4 bes8 ~ bes4. | bes4. d4. c4 (d8) bes4 bes8 |\break
g8 bes8 g8 bes4 bes8 g8 bes8 g8 bes4 bes8 | d,4 f8 g4 f8 ~ f4 d'8 c4 bes8 |\break
f4 bes8 c4 bes8 ~ bes4. bes8 c8 bes8 | g8 g4 f8 g8 f8 bes4 bes8 ~ bes4.
\bar "|."}
\addlyrics {
바 람 이 분 다
바 람 이 불 어 연 평 바 다 에
어 허 어 얼 싸 돈 바 람 분 다 얼 싸 좋 네 아 좋 네
군 밤 이 요 에 헤 라 생 률 밤 이 로 구 나
}

노랫말 [ 編輯 ]

[메기는 소리]

1. 바람이 분다 바람이 불어 연평 바다에 어허어얼싸 돈바람 분다
2. 달도 밝다 달도 밝아 宇宙江山에 어허어얼싸 저 달이 밝아
3. 눈이 온다 눈이 온다 이 山 저 山에 어허어얼싸 흰 눈이 온다
4. 개가 짖네 개가 짖네 눈치 없이도 어허어얼싸 함부로 짖네
5. 봄이 왔네 봄이 왔네 錦繡江山에 어허어얼싸 새봄이 왔네
6. 중아 중아 上佐 중아 네 절 人心이 어허어얼싸 얼마나 좋냐
7. 山도 설고 물도 선데 누굴 바라고 어허어얼싸 나 여기 왔나
8. 나는 總角 너는 處女 處女와 總角이 잘 놀아난다 잘 놀아나요
9. 나는 올빼미 너는 뻐꾸기 올빼미와 뻐꾸기가 잘 놀아난다 잘 놀아나요

[받는 소리]
얼싸 좋네, 아 좋네 군밤이요, 에헤라 生栗 밤이로구나

各州 [ 編輯 ]

  1. “군밤타령” . 《 標準國語大辭典 》. 國立國語院 . 2020年 9月 14日에 確認함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