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敎會 旋法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敎會 旋法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敎會 旋法.

敎會 旋法 그레고리오 聖歌 를 表現하는 데 쓰이는 旋法이다.

正義 [ 編輯 ]

敎會旋法은 西洋의 中世 및 르네상스時代의 音樂을 支配한 陰組織이다. 中世의 宗敎音樂은 모두 4가지의 定格旋法(政格旋法), 卽 도리아(Doria), 프리지아(Phrygia), 리디아(Lydia), 믹솔리디아(Mixo-lydia)와 4가지의 變格旋法(變格旋法), 卽 하이포道理아(Hypo-doria), 하이포프리지아, 하이포리디아, 하이포믹솔리디아 等 모두 8가지의 旋法으로 되어 있었으나, 그 뒤 16世紀에 이르러 여기에 2가지의 定格旋法 에올리아(Aeolia), 이오니아(Ionia)와 2가지의 變格旋法 히포에올리아(Hypoaeol-ia), 히포이오니아가 더하여져서 모두 12가지가 되었다. 이와 같은 旋法 가운데서 이오니아와 에올리아 두 旋法이 17世紀頃부터 發展하여 오늘날의 腸·短 두 音階가 생겼다. 各 旋法은 腸·短 두 音階에 으뜸音·딸림音에 對應하는 마침音·支配音을 가지고 있다. [1]

槪要 [ 編輯 ]

그레고리오 聖歌 에서 8가지의 旋法이 認定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음은 모두 같은 온音階 系列을 바탕으로 하며, 그 各各이 옥타브에 걸친 獨自的인 音넓이(안비투스)와 獨自的인 마침音(피날리스)에 依해서 性格化되고 있다. 그레고리오 聖歌에서는 D, E, F, G의 4個 피날리스에 두 가지 旋法이 마련되고, 피날리스에서 피날리스까지의 옥타브의 音넓이를 지니는 定格旋法(政格旋法)과 도리아, 프리지아, 리디아, 믹솔리디아의 各 선法 및 피날리스의 아래 4度에서 위 5度까지 옥타브의 變格旋法(變格旋法), 卽 히포도리아, 히포프리지아, 히폴리디아, 히포믹솔리디아의 各 旋法이 있다. 名稱은 그리스 旋法에서 由來되었으나 兩者間에는 內的 關係가 全혀 없다. 16世紀에 스위스의 音樂家 그라레아누스가 그의 著書 <度네카코르돈>(1547)에서 情·辯(正·變) 4個의 旋法을 導入하여 12旋法을 確立하였다. 이 敎會旋法은 17, 18世紀에 이르러 近代의 長短調(長短調) 陰組織으로 轉換하기까지 中世 르네상스의 音階로 이어져 내려왔다. [2]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글로벌 稅契對百科 , 〈敎會旋法〉
  2. 글로벌 稅契對百科 , 〈西洋 中世音樂-敎會旋法〉

外部 링크 [ 編輯 ]

  • 위키미디어 公用에 敎會 旋法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