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功臣의 原則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功臣의 原則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功臣의 原則 (公信― 原則)이란 公示方法을 信賴하고 去來한 境遇 公示方法이 眞正한 權利關係와 一致하지 않더라도 公示된 대로의 權利關係가 存在하는 것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原則이다. 동산에 適用되고 不動産에는 適用되지 않는다.

弔問 [ 編輯 ]

民法 第249條 (善意取得) 平穩, 公演하게 동산을 讓受한 者가 善意이며 過失없이 그 동산을 占有한 境遇에는 讓渡人이 正當한 所有者가 아닌 때에도 卽時 그 動産의 所有權을 取得한다.

民法 第470條 (債券의 準占有者에 對한 辨濟) 債券의 準占有者에 對한 辨濟는 辨濟者가 善意이며 過失없는 때에 한하여 效力이 있다.

民法 第471條 (領收證所持者에 對한 辨濟) 領收證을 所持한 者에 對한 辨濟는 그 所持者가 辨濟를 받을 權限 없는 境遇에도 效力이 있다. 그러나 辨濟者가 그 權限없음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境遇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歷史 [ 編輯 ]

로마법에서는 "어느 누구도 自己가 가지는 以上의 權利를 他人에게 줄 수 없다"는 原則이 認定되어 있어 功臣의 原則이 認定될 수 없었고 功臣의 原則은 게르만법에서 由來하는 것이다.

立法例 [ 編輯 ]

獨逸民法은 動産, 不動産에 關하여 모두 이 原則을 認定하고 있지만, 프랑스民法은 不動産에 關하여는 認定하지 아니하고 動産에 關하여서만 認定한다. 韓國 民法은 不動産 物權에는 功臣의 原則을 認定하지 않고 動産物權의 境遇에만 認定한다.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