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乞卜흘間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乞卜흘間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乞卜흘間(乞伏紇干, ?~?) 걸腹部 (乞伏部) 招待 可汗 (可汗)으로, 탁탁幕下(託鐸莫何) 라는 稱號로 불린다.

걸腹部 樹齡 乞卜여불 (乞伏如弗)李 死因(斯引), 出련(出連), 質로(叱盧) 세 部(部)를 거느리고 漠北(漠北)에서 南쪽으로 大陰山(大陰山)으로 나가면서, 길가에 巨大한 벌레[巨蟲] 한 마리를 만났는데, 形象이 神鬼(神龜)와 같고 크기는 언덕만하여 말을 잡아 祭祀를 올리고 祝文을 읊으면서, '萬若 좋은 神이면 길을 열고 나쁜 神이면 길을 막고 열어주지 않을 것이다(若善神也, 便開路, 惡神也, 遂塞不通)'라고 하였다. 暫時 後 巨大한 벌레는 사라졌고 그곳에 한 아이가 있었다. 當時 걸腹部에 아들 없는 老人이 한 名 있어 그에게 아들을 키우도록 意見이 모였다. 老人은 아이에게 흘間(紇干)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이는 依支하다(依倚)라는 뜻이다. 흘肝이 10살이 되자 勇猛하여 말타고 활쏘기를 잘하였으며, 활 무게가 500斤이었다. 네 部(部)는 그를 統主(統主)로 薦擧하였고, 乞卜加한탁탁막하(乞伏可汗託鐸莫何)라고 불렀다. 탁탁(託鐸)은 非신비인(非神非人)이라는 뜻의 稱號이다.

參考文獻 [ 編輯 ]

  • 『陳書(晉書)』 卷125 「再起(載記)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