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락國王 崇嶺角

가락國王 崇嶺角
대한민국 牙山市 鄕土文化遺産
種目 鄕土文化遺産 第16號
( 2006年 3月 7日 指定)
面積 建物1棟
時代 現代
所有 가락宗親會
位置
아산 동암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아산 동암리
牙山 동암리
牙山 동암리(大韓民國)
住所 忠淸南道 牙山市 음봉면 동암리 524-2
座標 北緯 36° 50′ 54″ 東京 127° 03′ 16″  /  北緯 36.84833° 東經 127.05444°  / 36.84833; 127.05444

가락國王 崇嶺角 忠淸南道 牙山市 음봉면 동암리에 있는 建築物이다. 2006年 3月 7日 아산시의 鄕土文化遺産 第16號로 指定되었다. [1]

槪要 [ 編輯 ]

숭령각은 1960年 3月 6日 동암리를 中心으로 하는 牙山, 天安地域의 金海金氏 宗親會에서 每年 3月 12日 金海에서 지내는 金首露王에 對한 大帝를 지내기 위해 參席하였으나 遠距離로 인한 大帝 參席의 어려움으로 인해 宗中 位土人 只今의 자리에 崇嶺角을 세우고 金海에 있는 金首露王 夫婦의 影幀과 똑같이 製作하여 奉安하고 每年 陰曆 3月 15日 午前 11時에 大帝를 奉行하고 있다. 崇嶺角을 지을 當時 동암리를 中心으로 하는 牙山, 天安에 居住하는 金海金氏 宗親會에서 建立과 더불어 大帝를 지냈으나 30餘年 前부터 天安 金海金氏 宗親會에서는 參席을 거의 하지 않고 管理와 運營도 帶同에서 하던 것을 牙山 金海金氏 宗親會로 移管되어 管理하고 있다. 現在 大帝에 參席하는 種員들은 大略 30~70餘名 程度이고 參與地域은 牙山, 洪城, 豫算, 唐津 等에서 하고 있다. 崇嶺角의 規模는 正面 3칸 側面 2칸의 겹처마 八作지붕을 하고 있다. 東西南北을 두르고 있는 담牆 一郭과 3칸의 솟을大門으로 出入을 한다. 內部엔 金首露王과 許黃玉 夫婦의 影幀寫眞이 걸려있으며, 돗자리와 提起 等의 物品들이 한 옆에 놓여져 있다.

各州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