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주크 王朝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셀주크 王朝
國家 셀주크 帝國 , 룸 셀주크
王國名 룸 셀주크
시리아 셀주크
이라크 셀주크
키르만 셀주크
作爲 셀주크 帝國의 臺술탄
이라크 셀주크의 술탄
룸 셀주크의 술탄
다마스쿠스의 王
알레포의 王
키르만의 王
設立者 투으룰 1歲
最後 統治者 다마스쿠스의 王: 투투쉬 2歲 (1104年)

알레포의 王: 술탄 샤 (1114年 ~ 1123年)
셀주크 帝國의 臺술탄: 산자르 (1118年 ~ 1157年)
키르만의 王: 무함마드 샤 (1183年 ~ 1187年)
이라크 셀주크의 술탄: 투그룰 3歲 (1176年 ~ 1194年)
룸 셀주크의 술탄: 메수드 2歲 (1302年 ~ 1308年)

設立日 1040年
沒落日 1307年
民族 誤구즈 투르크

셀주크 王朝 ( 튀르키예어 : Selcuklular 셀秋클룰라르 [ * ] , 페르시아語 : ?? ????? 알레 살주크 [1] )는 11世紀 부터 14世紀 까지 이슬람 世界에 存在했던 튀르크系 王朝이다. 全盛期인 11世紀 12世紀 에 셀주크人들은 東쪽으로는 트란스옥시아나, 페르가나, 歲미레馳詣, 火레즘부터 西쪽으로 시리아, 아나톨리아, 히자즈까지 西아시아의 相當部分을 支配했다. 王朝의 本家는 페르시아를, 以外의 分派들은 各各 이라크, 키르만, 시리아, 아나톨리아를 다스렸다. [2] [3] 셀주크( 튀르키예어 : Selcuk/Seljuk )의 語源은 튀르크어 ‘攻擊하다( 튀르키예어 : salmak )’로, ‘突擊’을 意味한다. [4]

起源 [ 編輯 ]

셀주크 王朝의 起源은 不明確하다. 11世紀 後半 셀주크 王室에 떠돌던 傳說에 따르면, 셀주크 하자르 帝國 의 手下에 있던 部族 守令의 아들이었다. 하자르 國家가 10世紀 末에 崩壞하자, 셀주크는 自身을 追從하는 무리를 이끌고 하자르 帝國을 떠나 只今의 카자흐스탄에 있는 盞드로 移住했다. 이 地域에서 셀주크와 그의 追從者들은 이슬람을 처음 接하게 되었고, 當時 中央아시아를 支配하던 四曼 王朝 의 傭兵으로 活動하게 되었다. 셀주크와 그의 遊牧民들이 軍事的으로 成功을 거두자 隣近의 튀르크人들이 그에게 合流했다. [5] [6]

셀주크의 威信은 높아졌지만 反對로 四曼 王朝는 滅亡을 目前에 두고 있었다. 四曼 王朝의 튀르크系 奴隸 兵士들은 只今의 아프가니스탄에 獨立하여 가즈나 王朝 를 세우고 옛 主人을 威脅했다. 東쪽에서는 튀르크系 카라한 王朝 가 發興하였고, 結局 999年 에는 四曼 王朝를 멸망시켜버렸다. 이와 같은 混亂期에 셀주크의 後孫들은 카라한 王朝와 가즈나 王朝 사이를 오가며 傭兵 役割을 遂行했다. 그러나 同時에 두 나라는 漸漸 强해지는 셀주크 集團에 威脅을 느끼기 始作했다. [7] [6]

이에 카라한 王朝는 부하라 隣近에서 遊牧하던 셀주크人들을 追放하였고, 이때 셀주크 家門을 이끌던 셀주크의 孫子, 투으룰과 車으르 兄弟는 南쪽으로 逃避, 카라쿰 沙漠을 지나 後라산으로 進入하였다. 後라산은 가즈나 王國의 核心地로, 當時 이슬람 世界에서 文化的·經濟的으로 가장 發展한 地域에 屬했다. 투으룰과 車으르 兄弟는 가볍게 武裝하여 뛰어난 機動性을 가진 騎馬 遊牧民 集團의 長點을 限껏 살려 沙漠을 오가며 가즈나 軍隊를 敗退시켰다. [8] [9] 또한 가즈나 政府의 失政에 지친 後라산 地域의 엘리트 階層은 셀주크人들을 歡迎했다. [8] [10] 1040年 , 後라산 地域을 奪還하려는 가즈나 王國 最後의 遠征軍은 段다나칸에서 車義理가 이끄는 셀주크 軍隊에게 敗北하며( 段多羅칸 戰鬪 ), 後라산 地域 全體가 셀주크 家門의 領土가 되었다. [8] [9]

作爲 [ 編輯 ]

셀주크 帝國 [ 編輯 ]

1058年 1月 24日 , 칼리프 알 카임 1歲 는 셀주크 帝國 最初의 술탄 투으룰 1歲 에게 東西의 王(malik al-mashriq wa'l-maghrib)라는 稱號를 내렸다. 이 稱號가 적혀있는 碑文은 적으나, 투으룰은 이 稱號를 公式 文書에서 使用하였다. 알프 아르瑟란 亦是 1064年 頃 發行한 銅錢에 이 稱號를 揷入했다. 말리크샤 1歲 의 境遇 이 稱號를 使用하지는 않았으나, 그의 아들인 아흐마드 산자르 는 이 稱號의 이란語型인 padish-i sharq u gharb 를 使用하였다. [11]

니샤푸르에 있는 碑文에는 말리크샤 1歲 가 使用한 모든 稱號들이 적혀있다: "偉大한 술탄, 아우구스트, 샤한샤, 아랍人과 페르시아人의 술탄, 國家들의 主人, 世界와 宗敎의 榮光, 이슬람과 무슬림의 기둥, 世界와 宗敎를 强化시키시는 분, 아불 파스 말리크샤 이븐 무함마드 이븐 다우드, 信徒들의 指導者의 오른팔이신 분" [12]

룸 셀주크 [ 編輯 ]

12世紀 中盤 以前에 룸 셀주크 王朝가 어떤 稱號를 使用했는지는 傳해지지 않는다. 비잔티움 帝國 이나 시리아 地方의 年代記 作家들은 쉴레이만 이븐 쿠탈므쉬 술탄 의 稱號를 使用했다고 傳하나, 實質的인 根據는 없다. 最初로 룸 술탄의 稱號 全部가 나오는 것은 클르츠 아르瑟란 2歲 의 것이다: "偉大한 술탄, 아우구스트, 샤한샤, 아랍人과 페르시아人의 술탄, 國家들의 主人, 世界와 宗敎의 榮光, 이슬람과 무슬림의 기둥, 王들과 술탄들의 榮光, 法의 守護者, 無神論者들과 異敎徒들의 破壞者, 信仰의 戰士들의 後援者, 알라의 나라들의 守護者, 알라의 種들을 保護하시는 분, 룸, 아르메니아, 프랑크, 시리아의 술탄, 아불 파스 클르츠 아르瑟란 이븐 마수드 이븐 클르츠 아르瑟란, 信者들의 指導者를 屠牛시는 분" 이 稱號는, 分明히 니샤푸르의 碑文에서 말리크샤 1歲 를 가리키는 稱號의 採用이다. [12]

外部人들이 남긴 記錄에서는 룸 셀주크를 룸 술탄國으로 부른다. 그러나 룸 셀주크인들 自身은 오스만 王朝 와 달리 룸 술탄 이라는 稱號를 使用하지 않았다. 代身 그들은 셀주크 帝國 그 自體임을 闡明하였다. [13]

셀주크 帝國 [ 編輯 ]

셀주크 帝國 페르시아 이라크 , 시리아 를 支配했다.

이라크 셀주크 王朝 [ 編輯 ]

시리아 셀주크 王朝 [ 編輯 ]

다마스쿠스 [ 編輯 ]

알레포 [ 編輯 ]

케르만 셀주크 王朝 [ 編輯 ]

룸 셀주크 王朝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Sumer, Faruk (2009). “Selcuklular” . 《TDV ?slam Ansiklopedisi》. Turkiye Diyanet Vakfı . 2019年 1月 22日에 確認함 .  
  2. Bosworth, Clifford Edmund; 外. (1995). “Sald?j???ids”.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vol. 08》 (Brill): 936.  
  3. Kucur, Sadi S. (2009). “Seljuks”.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Infobase Publishing): 515.  
  4. Bosworth, Clifford Edmund (1995). “Sald?j???id Ⅱ. Origin and early history”.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vol. 08》 (Brill): 938.  
  5. Peacock, A. C. S. (2016).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Court and Cosmos: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Metropolitan Museum of Art): 4.  
  6. Ozaydın, Abdulkerim (1991). “Arslan b. Selcuk” . 《TDV ?slam Ansiklopedisi》. Turkiye Diyanet Vakfı. 2019年 1月 2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9年 1月 22日에 確認함 .  
  7. Peacock, A. C. S. (2016).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Court and Cosmos: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Metropolitan Museum of Art): 5.  
  8. Peacock, A. C. S. (2016).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Court and Cosmos: The Great Age of the Seljuqs》 (Metropolitan Museum of Art): 5~6.  
  9. Bosworth, C. Edmund (1990). “?a?r? Beg D?w?d” . 《Encyclopædia Iranica》 . 2019年 1月 22日에 確認함 .  
  10. Bosworth, C. E. (2011). “Ab? Man??r Far?marz” . 《Encyclopædia Iranica》 . 2019年 1月 22日에 確認함 .  
  11. Dimitri Korobeinikov, "The King of the East and West: The seljuk Dynastic Concept and Titles in the Muslam and Christian Sources," The Seljuks of Anatolia , I. B. Tauris, 2013, pp. 70 - 71.
  12. Dimitri Korobeinikov, "The King of the East and West: The Seljuk Dynastic Concept and Titles in the Muslam and Christian Sources," The Seljuks of Anatolia , I. B. Tauris, 2013, p. 73.
  13. Dimitri Korobeinikov, "The King of the East and West: The seljuk Dynastic Concept and Titles in the Muslam and Christian Sources," The Seljuks of Anatolia , I. B. Tauris, 2013, pp. 79 - 81.
  14. C. E. Bosworth, The New Islamic Dynasties ,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6, p. 185.

外部 링크 [ 編輯 ]

  • 위키미디어 公用에 셀주크 王朝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