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모리스 블랑쇼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모리스 블랑쇼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모리스 블랑쇼
Maurice Blanchot
作家 情報
出生 1907年 9月 22日
프랑스 손에루아르 드브루즈
死亡 2003年 2月 20日
프랑스 이블린 메닐생드니
職業 小說家, 文學批評家

모리스 블랑쇼 (Maurice Blanchot)는 프랑스 小說家 , 文學批評家 , 哲學者 로, 1907年 9月 22日 손에루아르 드브루즈 코뮌의 마을, 캥에서 태어나 2003年 2月 20日 이블린 메닐생드니 에서 死亡했다. “그는 一生 동안 全的으로 文學에 몸을 바쳤고 自身의 特質인 沈默에 專念했다.” [1]

모리스 블랑쇼와 反유대主義 , 極右派 와의 關係는 數次例 論爭의 對象이 되었다. 블랑쇼가 1930年代에 選擇한 政治的 路線은, 戰爭 동안, 特히 프랑스 解放 동안 그가 보여준 態度로 인하여, 그리고 共産主義 極左派 에 參與한 것으로 相殺되었다. 그는 알제리 戰爭 에 反對하여 積極的으로 運動을 벌였으며, 68運動 에 參與하며 드골 政權과 싸웠다.

블랑쇼의 思想과 著述은 1950年代와 1960年代 프랑스 文化 全般에 걸쳐, 프랑스론 (論) French Theory 이라 불리는 學說의 代表 人物들에게 있어 莫大한 影響을 끼쳤다.

生涯 [ 編輯 ]

모리스 블랑쇼는 1907年 9月 22日 드브루즈 ( 손에루아르 )에 位置한 마을, 캥의 裕福한 環境에서 태어났다. 불랑쇼는 1925年 까지 스트라스부르 에서 獨逸語 哲學 을 工夫했다. 그는 악시옹 프랑세즈 에 드나들었고, 끝이 銀으로 된 지팡이를 갖추고 거닐었다. 블랑쇼가 엠마뉘엘 레비나스 를 만난 건 스트라스부르 大學 에서였다. "當代 政治에 있어 나와 意見差가 있던 그는 王政主義者였다." 블랑쇼는 "서로 말을 놓았던 ( 尊稱인 vous가 아닌 親稱인 tu로 稱한다는 뜻 ) 엠마뉘엘 레비나스, 唯一한 親舊? 아, 동떨어진 親舊?; 말을 놓았던 것은 但只 우리가 어려서 그런 것이 아니고, 熟考하여 내린 決定이니, 絶對 깨지 않으리라 希望하는 約束이다."라며 말한다. (<友情을 위하여>). 1928年 , 블랑쇼는 마르틴 하이데거 의 < 存在와 時間 > 讀解를 마친다. "엠마뉘엘 레비나스 德澤에, 그가 없었다면야 나는 1927年 이나 1928年부터 <存在와 時間> 講讀을 始作할 수조차 없었을 것이다. 이 冊은 내게 眞正한 知的 衝擊을 주었다. 最高의 事件이 벌어진 것이다. 只今에서도, 내 記憶속에서도, 이 衝擊을 緩和하는 건 不可能하다."(크리스토프 비당 認容, p. 44). 블랑쇼는 1929年 파리 에서 高等 敎育 資格 ( 1966年 以前의 學位로 碩士 學位에 對應하나 實際로는 學事 學位에 더 가까움 )을 받으며, 以後 1930年 소르본 에서 懷疑論者들의 獨斷論 槪念에 關한 硏究를 통하여 學位를 取得한다. 以後 그는 생트안 病院 에서 神經學 精神醫學 專門으로서 醫學을 修鍊했다.

小說冊 [ 編輯 ]

  • 토마 알 수 없는자 (Thomas l'Obscur) (1941)
  • 아미나多브 (Aminadab) (1942)
  • 죽음의 宣告 (L'Arret de mort) (1948)
  • 至極히 높은 者 (Le Tres-Haut) (1949)
  • 最後의 男子 (Le Dernier homme) (1957)
  • 기다림 忘却(L'Attente l'oubli) (1962)
  • 저 너머로의 발걸음 (Le Pas au-dela) (1973)
  • 대낮의 狂氣 (La Folie du jour) (1973)
  • 나의 죽음의 瞬間 (L'Instant de ma mort) (1994)

事由冊 [ 編輯 ]

  • 불의 몫 (La Part du feu) (1949)
  • 文學의 空間 L'Espace litteraire (1955)
  • 到來할 冊 (Le Livre a venir) (1959)
  • 無限한 對話 (L'Entretien infini) (1969)
  • 友情 (L'Amitie) (1971)
  • 災殃의 글쓰기 (L'Ecriture du desastre) (1980)
  • 카프카에서 카프카로 (De Kafka a Kafka) (1981)
  • 밝힐 수 없는 共同體 (La Communaute inavouable) (1983)
  • 다른 곳에서 온 목소리 (Une voix venue d'ailleurs) (2002)
  • 政治 評論 1953-1993 (2003)

主要 槪念 [ 編輯 ]

匿名的 죽음(追後에 다른 匿名의 著者들이 채워 넣기를 바란다) [ 編輯 ]

카프카의 境遇 [ 編輯 ]

(.....)

말라르메의 境遇 [ 編輯 ]

(.....)

릴케의 境遇 [ 編輯 ]

(.....)

하이데거와의 比較 [ 編輯 ]

(.....)

낮, 밤, 또 다른 밤 [ 編輯 ]

各州 [ 編輯 ]

  1. 갈리마르 에서 出刊된 블랑쇼의 著書에 나오는 그의 삶에 對한 一言半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