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第1次 世界 大戰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第1次 世界 大戰

1914年 7月 28日부터 1918年 11月 11日까지 일어난 유럽을 中心으로 한 世界 大戰

第1次 世界 大戰 ( 韓國 漢字 : 第一次世界大戰, 英語 : World War I , WWI )은 1914年 7月 28日 부터 1918年 11月 11日 까지 일어난 유럽 을 中心으로 한 世界 大戰 이다. 1914年 오스트리아-헝가리 세르비아 에게 宣戰布告를 하며 始作되었고, 1918年 獨逸의 降伏으로 끝이 났다. 第2次 世界 大戰 이 發生하기 前까지는 單純히 世界 大戰 ( 韓國 漢字 : 世界大戰, 英語 : World War ) 또는 大戰爭 ( 韓國 漢字 : 大戰爭, 英語 : Great War )이라고 불렸다. [5] [6] [7] 美國에서는 처음에 유럽 戰爭 ( 英語 : European War )이라고 불렸다. [8] 第1次 世界 大戰으로 兵士 900萬名 以上이 死亡했다 . 技術 및 産業의 高度化와 戰術的 膠着 狀態로 인해 死傷者 比率이 惡化되었다. 第1次 世界 大戰은 死亡者가 많았던 戰爭 中 하나이며, 參戰國의 수많은 革命 等을 包含하여 主要한 政治的 變化가 일어났다. [9]

第1次 世界 大戰

위부터 時計 方向으로, 솜 戰鬪 爆擊으로 破壞된 마을. 힌덴부르크 선 을 넘는 마크 V 戰車 . 다르다넬스 海峽 에서 機雷 에 맞아 沈沒한 HMS 일레視스티블 . 솜 戰鬪 途中 防毒面 을 着用한 英國軍 비커스 機關銃 兵士. 者그스타펠 11 戰鬪機인 알바트로스 D.III
날짜 1914年 7月 28日 ~ 1918年 11月 11日 (4年?106日)
獨逸의 休戰
平和 條約
場所
유럽, 아프리카, 中東, 太平洋 諸島, 中國, 南아메리카, 北아메리카 海岸 等 全 世界
結果

聯合國 勝利

交戰國

聯合國
대영 제국의 기 大英 帝國
프랑스 프랑스 植民帝國
러시아 제국 러시아 帝國 (-1917)
일본 제국의 기 日本 帝國
세르비아 왕국의 기 세르비아 王國
몬테네그로 왕국의 기 몬테네그로 王國
벨기에의 기 벨기에
이탈리아 왕국의 기 이탈리아 王國 (1915-)
사우디아라비아 헤자즈 王國 (1916-)
포르투갈의 기 포르투갈 (1916-)
루마니아 왕국의 기 루마니아 王國 (1916-)
그리스 왕국의 기 그리스 王國 (1917-)
중화민국의 기 中華民國 (1917-)
브라질의 기 브라질 (1917-)
미국의 기 美國 (1917-)
태국 詩庵 (1917-)
라이베리아의 기 라이베리아 (1917-)
파나마의 기 파나마 (1917-)

...其他 聯合國

同盟國
독일 제국의 기 獨逸 帝國
오스트리아-헝가리의 기 오스트리아-헝가리
오스만 제국의 기 오스만 帝國
불가리아 왕국의 기 불가리아 王國 (1915-)
...其他 同盟國


共同 交戰國
自發 샴마르 土侯國
다르푸르 다르푸르 (-1916)
데르비시國

트란스발 共和國 (-1915)
指揮官

聯合國 指揮官
대영 제국 조지 5歲
대영 제국 허버트 키치너  
대영 제국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대영 제국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프랑스 조르주 클레망소
프랑스 레몽 푸앵카레
프랑스 필리프 페탱
프랑스 페르디낭 포슈
러시아 제국 니콜라이 2歲
러시아 제국 니콜라이 니콜라이비치
러시아 제국 알렉세이 브루실로프
이탈리아 왕국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歲
이탈리아 왕국 비토리오 오를란도
이탈리아 왕국 루이지 카도르나
이탈리아 왕국 안토니오 사란드라
일본 다이쇼 天皇
일본 오쿠마 시게노部
일본 데라우치 마사打케
중화민국중화제국 위안스카이
중화민국 리위안훙
중화민국 돤치루이
중화민국 펑궈장
그리스 왕국 요르요스 1歲
그리스 왕국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미국 우드로 윌슨
미국 토머스 마셜
미국 존 조지프 퍼싱
루마니아 왕국 페르디난드 1歲
루마니아 왕국 콘스탄틴 프레盞

...其他 指揮官

同盟國 指揮官
독일 제국 빌헬름 2歲
독일 제국 파울 폰 힌덴부르크
독일 제국 에리히 루덴도르프
독일 제국 에리히 폰 팔켄下人
독일 제국 헬무트 폰 몰트케
오스트리아-헝가리 프란츠 요제프 1歲 (1914~1916)
오스트리아-헝가리 카를 1歲 (1916~1918)
오스트리아-헝가리 프란츠 폰 回첸도르프
오스트리아-헝가리 아르츠 폰 스트라우센부르크
오스만 제국 메흐메트 5歲
오스만 제국 엔베르 파샤
오스만 제국 脫라트 파샤
오스만 제국 아흐메드 제말
오스만 제국 무스타파 케말
불가리아 왕국 페르디난드 1歲
불가리아 왕국 니콜라 第코프

...其他 同盟國 指揮官
兵力

러시아 제국 12,000,000名
대영 제국 8,841,541名 [1] [2]
프랑스 8,660,000名 [3]
이탈리아 왕국 5,615,140名
미국 4,743,826名
루마니아 왕국 1,234,000名
일본 제국 800,000名
세르비아 왕국 707,343名
벨기에 380,000名
그리스 왕국 250,000名

總 合: 43,231,850名 [4]

독일 제국 13,250,000名
오스트리아-헝가리 7,800,000名
오스만 제국 2,998,321名
불가리아 왕국 1,200,000名

總 合: 25,248,321名 [4]
被害 規模
兵士 死亡者:
5,525,000名
兵士 負傷者:
12,831,500名
兵士 失踪者:
4,121,000名
總 合:
22,477,500名
...其他 仔細한 目錄
兵士 死亡者:
4,386,000名
兵士 負傷者:
8,388,000名
兵士 失踪者:
3,629,000名
總 合:
16,403,000名
...其他 仔細한 目錄

이 戰爭은 全 世界의 經濟를 두 便으로 나누는 巨大한 强大國 들 同盟끼리의 衝突이다. [10] 한쪽 便은 大英帝國 , 프랑스 , 러시아 帝國 三國 協商 을 基盤으로 한 協商國 미합중국 을 包含한 聯合國 , 다른 한便은 獨逸 帝國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 이 있는 同盟國 이다. 이탈리아 王國 은 獨逸 帝國,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과 함께 三國 同盟 에 加入되어 있었지만 同盟國에 參與하지 않았고 나중에는 協商國으로 參加하며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을 侵攻했다. [11] 이러한 同盟은 再組織되었고 더 많은 國家가 戰爭에 參與하도록 壓力을 加하면서 擴張되었다. 이탈리아 王國, 日本 , 美國이 聯合國에 加入했으며 오스만 帝國 , 불가리아 王國 이 同盟國에 加擔했다. 窮極的으로 유럽人 6千萬 名을 包含한 軍人 7千萬 明이 戰爭에 加擔하면서 歷史的으로 가장 큰 戰爭 中 하나에 動員되었다. [12] [13]

이 戰爭의 根本的인 原因은 新帝國主義 때문이었지만, 直接的인 原因은 1914年 6月 28日 사라예보 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 王位 後繼者인 프란츠 페르디난트 大公 세르비아 國民主義者 가브릴로 프린치프 에게 암살당한 事件 이다. 이 事件으로 인해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이 세르비아 王國 에게 最後 通牒을 내리면서 7月 危機 가 始作되었고, [14] [15] 지난 數十年에 걸쳐 形成된 國際的 同盟끼리 서로 連結되었다. 數週 以內에 强大國끼리 戰爭을 始作했고 이 紛爭은 全 世界로 퍼져나갔다.

7月 28日,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 세르비아를 侵攻 하면서 第1次 世界 大戰이 始作되었다. [16] [17] 러시아가 總動員令을 내리면서 獨逸軍은 中立國인 룩셈부르크 벨기에 를 侵攻하면서 프랑스 로 進擊했고, 이로 因해 英國 獨逸 에게 선전포고했다. 파리 앞에서 獨逸軍이 進擊을 멈춘 以後, 西部 戰線 은 1917年까지 塹壕戰 과 같은 消耗戰 樣相으로 굳어지게 된다. 한便, 東部 戰線 에서는 러시아軍이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 內로 進擊하는데는 成功했지만 동프로이센 侵攻 은 獨逸軍의 反擊으로 失敗하게 된다. 1914年 11月에는 오스만 帝國이 參戰하면서 全域이 코카서스 , 메소포타미아 , 시나이半島 等으로 擴大되게 된다. 이탈리아와 불가리아는 1915年 參戰했고, 루마니아 王國 은 1916年 參戰했으며, 美國은 1917年 參戰했다.

러시아 政府가 1917年 3月 崩壞 된 以後 東部 戰線이 解消되었으며 以後 10月 革命 으로 인해 同盟國이 러시아 領土를 獲得했다. 1918年 11月 4日 ,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은 休戰에 合意했다. 1918年 西部 戰線에서 독일군의 春季 攻勢 以後, 聯合軍은 一連의 攻勢를 防禦하고 以後 進擊하여 獨逸軍 塹壕들을 占領하기 始作했다. 獨逸 11月 革命 以後, 獨逸이 1918年 11月 11日 休戰에 合意하면서 聯合國이 戰爭에서 勝利하게 되었다.

戰爭이 끝나면서, 러시아 帝國, 獨逸 帝國,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 오스만 帝國 等 4個 主要 帝國이 解體되게 되었다. 앞의 2個 帝國은 承繼國家가 誕生했지만 많은 領土를 잃었으며 後者의 2個 帝國은 完全히 解體하게 되었다. 유럽 및 西南아시아 地圖는 새로운 獨立 國家가 생기면서 새롭게 그려지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끔찍한 戰爭이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한 目的으로 國際 聯盟 이 誕生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目標는 유럽의 民族主義 復活과 獨逸에서 파시즘 의 掌握으로 인해 狀況이 惡化되며 失敗하게 되었다. 이러한 狀況으로 인해 第2次 世界 大戰 이 始作되었다.

名稱 編輯

1914年 10月 캐나다 잡지 맥클린스 에서는 "어떤 戰爭은 스스로 이름을 붙인다. 그것이 大戰(Great War)이다"라고 말했다. [18] 1914年 末 뉴욕에서 發行한 戰爭의 起源 및 初期 歷史에 關한 冊의 題目은 "世界 大戰"(World War)라는 이름으로 붙여졌다. [19] 癲癎機 期間 동안, 영미圈에서는 이 戰爭을 世界 大戰(World war) 또는 大田(Great war)라고 불렀다.

"第1次 世界 大戰"이라는 用語는 1914年 9月 獨逸 哲學者 에른스트 헤켈 이 "'유럽 戰爭'의 두려움에 關한 過程이나 性格에는 疑心의 餘地가 없다...(중략) 單語의 全體的 意味에서 이것은 '第1次 世界 大戰'이라고 불릴 것이다"라고 말하면서 始作되었다. [20] 또한, 第1次 世界 大戰이라는 말은 將校이자 저널리스트 찰스 아 코르트 레핑턴 (Charles a Court Repington)이 지은 1920年代 歷史冊 題目이기도 했다. [21] 1939年 第2次 世界 大戰이 始作된 以後, "第1次 世界 大戰"이라는 말이 普遍化되었으며 캐나다와 英國에서는 ‘First World War’이라는 用語를, 美國에서는 ‘World War I’이라는 用語로 使用한다.

背景 編輯

政治 및 軍事的 同盟 編輯

19世紀 유럽 强大國들은 유럽 全域에서 힘의 均衡 을 維持하기 위해 많은 努力을 했다. 그 結果 1900年 에는 複雜한 政治, 軍事的 同盟 네트워크를 形成하게 되었다. [11] 이 同盟은 1815年 프로이센 , 오스트리아, 러시아의 神聖 同盟 으로부터 始作했다. 1873年 10月에는 獨逸 總理 오토 폰 비스마르크 가 獨逸, 오스트리아-헝가리, 러시아 사이 芟除 同盟 (Dreikaiserbund)을 締結했다. 이 同盟은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러시아 間에 발칸반도에 對한 政策에 同意할 수 없었기 때문에 1879年 獨逸과 오스트리아-헝가리는 芟除 同盟 에 脫退하여 瀆汚 同盟 을 따로 만들었다. 한便, 오스만 帝國 의 발칸반도에 對한 影響力이 持續的으로 弱化되면서 발칸반도에 對한 러시아의 影響力은 反對로 增加하게 되었다. [11] 이 瀆汚 同盟은 1882年 이탈리아 王國이 加入하면서 三國 同盟 으로 變化했다. [22]

 
第1次 世界 大戰 當時의 軍事 同盟 地圖. 協商國 은 草綠色으로 나타냈으며, 同盟國 은 褐色으로 나타냈다.

비스마르크는 프랑스와 러시아 두 나라間의 兩面戰線 戰爭을 避하기 위해 獨逸과 러시아間의 同盟을 維持하기 위해 努力했다. 그러나, 빌헬름 2歲 獨逸의 皇帝 地位에 오르면서 비스마르크는 退位를 강요당했고 비스마르크가 세운 同盟 시스템은 漸次 解體되었다. 例를 들어, 빌헬름 2世는 1890年 러시아와의 再保障 條約 更新을 拒否했다. 4年 後인 1894年, 3題 同盟을 막기 위하여 러佛 同盟 이 公式的으로 締結되었다. 1904年 , 英國은 프랑스와 함께 英佛 協商 (Entente Cordiale)을 맺었으며 1907年 에는 英國이 영러 協商 을 締結했다. 이 條約은 公式的으로 英國-프랑스-러시아 同盟으로 이루어지진 않았지만, 프랑스나 러시아가 紛爭을 겪을 境遇 英國이 參加하게 된다는 項目이 있었으며, 이러한 兩者 聯動 協定을 三國 協商 으로 알려졌다. [11]

軍備 競爭 編輯

1871年 보불戰爭 에서 獨逸이 勝利하여 獨逸이 統一 한 以後, 産業 및 經濟力이 急上昇하게 되었다. 1890年代 中盤부터 빌헬름 2世는 重要한 經濟 資源을 알프레트 폰 티르피츠 가 指揮하는 獨逸 帝國海軍 에 投資하여 英國 海軍 과 海軍 軍備 競爭을 하게 되었다. [23] 그 結果, 各 國家들은 主力艦 을 더욱 많이 乾燥하기 위해 努力했다. 1906年 HMS 드레드노트 의 乾燥 以後 大英帝國은 獨逸 帝國과의 競爭에서 重要한 位置를 先占하게 되었다. [23] 英國과 獨逸 사이의 軍備 競爭은 모든 유럽 主要國이 유럽 全域의 紛爭에 必要한 裝備와 武器를 生産하는 데 産業 基盤을 기울이면서 유럽 全域으로 競爭이 擴張되었다. [24] 1908年부터 1913年까지 유럽 國家의 軍費 支出은 50% 上昇했다. [25]

 
1908年 오스트리아의 보스니아 倂合 을 宣布하는 포스터를 읽는 사라예보 市民.

발칸 半島의 紛爭 編輯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은 過去 오스만 帝國의 領土였던 1878年 以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를 占領한 以後 1908年부터 1909年까지 보스니아 危機 가 到來하게 되었다. 이 占領으로 세르비아 王國 및 그 國家의 後援者인 범슬라브주의 東方 正敎會 러시아 帝國 을 화나게 했다. [26] 이 地域에서 러시아의 行步는 이미 " 유럽의 火藥庫 "로 널리 알려진 발칸반도의 均衡을 붕괴시켜 平和 協定을 不安定하게 만들었다. [26] 1912年부터 1913年까지 발칸 同盟 과 오스만 帝國 사이의 戰爭인 第1次 발칸 戰爭 이 勃發했다. 이 戰爭 結果 締結된 런던 條約 에서 알바니아는 獨立했으며, 불가리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그리스는 領土를 擴大하면서 오스만 帝國의 領土가 減少했다. 1913年 6月 16日, 불가리아가 세르비아 및 그리스를 侵攻하면서 勃發한 33日間의 第2次 발칸 戰爭 에서는 불가리아가 敗北하여 세르비아와 그리스에게 마케도니아 大部分을, 루마니아에게 남도브루자 를 빼앗기게 되었으며 발칸반도를 不安定하게 만들었다. [27]

序幕 編輯

 
이 寫眞은 一般的으로 가브릴로 프린치프 가 체포당하는 寫眞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一部는 [28] [29] 事件 當時 傍觀者였던 페르디난드 베흐를 찍은 寫眞이라고 主張한다.

사라예보 事件 編輯

1914年 6月 28日,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페르디난트 大公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의 首都인 사라예보 를 訪問했다. 세르비아의 黑手段 이 支援하는 靑年 보스니아 民族主義 團體의 暗殺團 6名 쳬베코 포포비치 (Cvjetko Popovi?), 가브릴로 프린치프 (Gavrilo Princip), 무함마드 메메드바시치 (Muhamed Mehmedba?i?), 네델코 車브리노비치 (Nedeljko ?abrinovi?), 트리프코 그라베츠 (Trifko Grabe?), 바소 쿠브릴로비치 (Vaso ?ubrilovi?)는 大公의 車輛 行列이 지나가는 거리에 서 있었다. 車브리노비치가 車에 手榴彈 을 던졌지만 車를 놓쳤다. 近處의 群衆 몇몇이 負傷을 입었고, 프란츠 페르디난트의 車는 繼續 움직일 수 있었다. 다른 暗殺團은 車가 빠르게 지나쳐 暗殺할 수 없었다. 約 한時間 後, 페르디난트 大公이 사라예보 病院을 訪問하고 돌아올 때 길을 잘못 들려 偶然히 프린치프가 서는 곳을 지나가게 되었다. 프린치프는 拳銃을 發射해 프란츠 페르디난트와 그의 아내 好엔베르크 餘工作 조피 를 暗殺하는 데 成功한다. 하지만 오스트리아 內에서 사람들의 反應은 차가울 程度로 無關心한 水準이었다. 歷史學者 즈非네크 제만 (Zbyn?k Zeman)은 나중에 "이 事件은 거의 어떠한 印象도 주지 못했다. 日曜日과 月曜日(6月 28日~29日)에 빈의 群衆들은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音樂을 듣고 와인을 마시고 있었다."라고 傳했다. [30] [31]

 
1914年 6月 29日 사라예보 反세르비아 暴動 의 餘波로 거리에 모여든 群衆.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暴力 事態의 擴大 編輯

그러나 사라예보 內에서는 오스트리아 政府가 [32] [33] 세르비아 住民들에 對한 暴力을 부추겼고, 그 結果 사라예보의 크로아티아人 보스니아人 이 세르비아人 두 名을 죽이고 세르비아人 所有의 建物을 불태우는 사라예보 反세르비아 暴動 이 일어났다. 이 事件은 포그롬 의 特性을 갖추었다. 作家 이보 안드리치 는 "사라예보에서 憎惡의 烈風이 불었다"라면서 이런 暴力 事件에 對해 말했다. [34] 세르비아人에 對한 暴力 行爲는 사라예보에서뿐 아니라 現代의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의 領土에 位置한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의 大都市에서도 일어났다. [35]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오스트리아-헝가리 政府는 有名한 세르비아人 5,500名을 收監하고 送還했으며, 그 中 700名에서 2,200名이 監獄에서 死亡했다고 統計내렸다. 세르비아人 460名은 死刑 宣告가 내려졌고, [36] [37] [38] 이슬람敎가 支配的이었던 地域에서는 슈츠크롭스 (Schutzkorps)라는 民兵隊 集團이 形成되어 세르비아人들에 對한 逼迫을 始作했다. [39]

7月 危機 編輯

사라예보 暗殺 事件은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 러시아 帝國, 獨逸 帝國, 프랑스 帝國, 大英帝國 間 1달 間의 外交 機動으로 이끌어졌다.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은 세르비아의 官吏(特히 검은 손 組織의 任員들)들이 이 事件과 關聯되었다고 判斷하고 보스니아 內에서 세르비아의 影響을 줄이기 爲해 [40] 세르비아에게 意圖的으로 戰爭을 刺戟할 10가지 要求 事項으로 構成된 7月 最後通牒 을 보냈다. [41] 세르비아가 10가지 要求事項 中 8가지만 水落瑕疵,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은 1914年 7月 28日 戰爭을 宣布했다. 軍事歷史家인 헤우 스트라첸 은 "세르비아의 初期 模糊한 應答에 關해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이 行動에 差異를 주었을 것인지 아닌지는 疑心해야 한다. 프란츠 페르디난드 對共은 그리 人氣있는 性格은 아니였으며 帝國은 그의 죽음에 그렇게 哀悼를 표하지는 않았다"라고 말했다. [42]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이 발칸 半島의 影響力을 넓히는 것이 내키지 않았던 세르비아 王國의 오랜 支援國인 러시아 帝國은 7月 29日 部分 動員令을 命令했다. [22] 7月 30日 러시아 帝國이 總動員令을 내리자, 같은 날 獨逸 帝國은 動員令을 發動했다. [43] 獨逸은 베를린의 臺詞를 통해 러시아에게 12時間 內에 動員令을 解除하지 않으면 戰爭 狀況이 올 것이라는 最後 通牒을 보냈다. [43] 러시아는 動員令을 解除하는 것에 協商하자는 應答을 보냈다. 그러나, 獨逸 帝國은 協商을 拒否하고 1914年 8月 1日 러시아에게 선전포고했다. [43]

獨逸의 戰爭計劃인 슐리펜 計劃 은 러시아가 東部에서 進軍하기 前에 프랑스 地域을 빠르고 大規模로 侵攻해서 西部를 미리 制壓한다는 戰略이었다. 따라서, 러시아의 動員令 宣布와 同時에 獨逸 帝國은 프랑스에게 中立을 維持하라는 要求를 보냈다. 프랑스 內閣은 卽時 軍士 動員令을 내리라는 軍의 壓迫에 抵抗하여 事件을 막기 위해 프랑스 國境에서 10?km 밖으로 軍隊를 撤收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獨逸 帝國은 8月 2日 룩셈부르크를 侵攻했으며, 8月 3日에는 獨逸 帝國이 프랑스에게 선전포고했다. [43] 8月 4日, 벨기에가 自國의 領土를 통해 프랑스를 侵攻하려는 것에 對해 拒否하자 獨逸 帝國은 벨기에게도 선전포고했다. [43] [44] [45] 英國은 벨기에의 中立 狀態 를 維持하라는 最後通牒을 獨逸 帝國이 無視하자, 1914年 8月 4日 獨逸 帝國에게 선전포고했다. [46]

戰爭의 進行 過程 編輯

開戰 編輯

同盟國 사이의 混亂 編輯

同盟國의 戰略은 잘못된 意思 疏通으로 混亂을 빚었다. 獨逸은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의 세르비아 侵攻에 도움을 주기로 約束했지만,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解釋에 따라 달랐다. 以前의 軍事 展開 訓鍊 計劃은 1914年 初 改正되었지만, 改正 以後의 訓鍊 計劃은 進行된 적이 없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의 指揮官들은 獨逸이 러시아와 戰鬪하면서 北部 戰線을 支援해 줄 것이라고 믿었다. [47] 그러나, 獨逸은 프랑스를 侵攻하는 동안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이 러시아軍의 大部分을 막을 것이라 構想하고 計劃을 세웠다. 이러한 混亂은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 陸軍 이 세르비아 戰線과 러시아 戰線으로 兵力이 나뉘게 하는 原因이 되었다.

1914年 9月 9日 9月 計劃 (Septemberprogramm)에서는 獨逸의 總理 테오발트 폰 베트만-홀베크 가 獨逸의 戰爭 目的 및 勝利할 境遇 聯合國에게 要求할 事項 等에 對해 仔細히 說明하는 計劃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 文書는 公式的으로 採擇되지 않았다.

세르비아 全域 編輯

 
1915年, "올르흐"에서 세르비아軍의 브레리오트 XI .

오스트리아가 侵攻하면서 8月 12日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軍과 세르비아軍 間에 體르 戰鬪 콜壘哱囉 戰鬪 가 勃發했다. 以後 2週日 동안 오스트리아軍의 攻擊은 大量의 人命 損失로 그치면서 戰爭 期間 동안 첫 番째 聯合軍의 主要 勝利로 記錄되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의 迅速한 勝利에 對한 希望이 없어지고 말았다. 그 結果, 오스트리아는 러시아 戰線에 對한 防禦를 약화시키고 代身 세르비아 戰線에 相當한 兵力을 維持시켰다. [48] 1914年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의 세르비아 侵攻 失敗는 지난 20世紀동안 優越한 敵을 相對로 勝利한 戰爭 中 하나로 꼽힌다. [49]

이 全域은 第1次 世界 大戰에서 가장 어린 軍人이 參戰한 全域이다. 츠부스니카 에 태어난 몸漆로 街브리치 는 1914年 8月 오스트리아-헝가리軍에게 그의 父母, 할머니, 兄弟 7名이 죽은 以後 8살에 세르비아 陸軍 第6 砲兵 師團에 入隊했다. [50] [51] [52] 10살때 그는 上兵으로 昇進했으며, [51] [52] 11살에는 下士 代理 兵長이 되었다. [52]

벨기에와 프랑스의 獨逸軍 編輯

 
西部戰線의 英國軍 野戰病院.

第1次 世界 大戰이 勃發하면서 獨逸軍( 第7 野戰軍 의 西部軍)은 改正된 슐리펜 計劃에 따라 進軍하기 始作했다. 이 獨逸軍은 中立國인 벨기에를 통해 프랑스 國境으로 進軍, 獨逸 國境에서 프랑스軍을 둘러싸 南쪽으로 包圍하는 作戰에 投入되었다. [14] 프랑스는 "獨逸과 러시아 사이에 戰爭이 勃發할 境遇, 우리는 完全히 자유로운 行動을 할 것"이라고 말했기 때문에 獨逸은 한 戰線에서는 프랑스를 攻擊하는 同時에 다른 戰線에서는 러시아를 攻擊할 것이라고 다짐하고 있었다. 이러한 시나리오를 충족시키기 위해, 슐리펜 計劃은 1870~1871年의 보불戰爭 과 같이 最大限 빨리 프랑스로부터의 降伏을 얻어내기 위한 計劃으로 짜여졌다. 또한, 프랑스에서 빠른 勝利를 위해 라인 江의 西部가 國境과 맞닿아 있는 알자스로렌의 險한 地形을 통해 攻擊하는 代身 英國 海峽으로 進軍하여 英國의 支援을 沮止한 以後 파리를 攻擊한다는 作戰으로 이루어졌다. 以後 大部分의 軍隊를 러시아로 보냈다. 러시아는 同盟國에게 威脅을 줄 수 있는 動員令 을 完了하는데 오랜 期間이 必要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1914年, 戰線으로 가는 길에 있는 火車 에 있는 獨逸 軍人. 戰爭 初期에는 兩 側이 매우 짧은 戰爭으로 끝날 것이라고 豫測했다.

旣存의 모든 獨逸의 戰爭 計劃은 獨逸軍이 벨기에를 통해 行軍하는 것이었다. 獨逸은 프랑스를 侵攻할 때 벨기에를 통한 自由로운 行軍을 願했다(원래는 네덜란드도 包含되어 있었으나, 獨逸 皇帝 빌헬름 2歲 가 이를 拒否했다). 中立國인 벨기에는 이를 拒否했고, 따라서 獨逸은 벨기에를 侵攻하고자 했다. 프랑스 또한 벨기에를 통해 프랑스軍을 이동시키고 싶었지만, 벨기에는 自國 領土에서 戰爭을 避할 수 있을 것이라는 希望으로 獨逸의 提案 뿐 아니라 프랑스의 提案 또한 拒絶했다. 結局, 獨逸의 벨기에 侵攻 以後 벨기에는 프랑스軍과 함께 戰鬪하고 싶지 않았지만 結局에는 벨기에軍 大部分이 支援에 對한 모든 希望을 잃고 안트베르펜 으로 後退하여 降伏했다.

이 計劃은 獨逸의 右側이 프랑스軍을 迂廻하기 위해 進軍해야 했고(프랑스군의 大部分은 프랑스-獨逸 國境에 몰려 있었다) 以後 파리까지 南쪽으로 進軍해야 했다. 8月 11日부터 24日까지 國境 戰鬪 에서 獨逸軍은 勝利를 거뒀다. 9月 12日, 프랑스軍은 英國 遠征軍 의 도움을 받아 9月 5日부터 12日까지 이루어진 1次 마른 戰鬪 에서 獨逸軍이 파리 東部로 進擊하는 것을 防禦했고 다시 獨逸軍을 戰線에서 50?km 후퇴시켰다. 이 戰鬪는 西部 戰線에서 機動戰 의 終末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14] 프랑스軍의 알자스 南部 攻勢는 8月 20日 뮐루즈 戰鬪 로 始作했지만 制限的인 成功만 거두었다.

東部戰線에서는 獨逸 將校들이 豫想한 것과는 달리 매우 일찍 2個 軍으로 프랑스 侵攻을 始作했다. 프랑스 侵攻에 動員되기로 豫定되었던 第8 野戰軍을 鐵道를 통해 재빨리 오스트프로이센 地域으로 이동시켰다. 파울 폰 힌덴부르크 가 이끄는 이 軍은 8月 17日부터 9月 2日까지 이어진 一連의 타넨베르크 戰鬪 에서 러시아軍을 擊破했다. 러시아의 侵攻을 좌절시켰지만, 지치지 않은 獨逸軍을 東部로 이동시킨 結果 1次 마른 戰鬪에서 聯合國이 戰術的 勝利를 이끌었다. 同盟國은 프랑스에서 빠른 勝利를 거두는 데 失敗하고 2個 戰線에서 戰爭을 始作해야 했다. 獨逸軍은 프랑스 內의 防禦하기 좋은 地域에서 戰鬪를 했고, 永久히 잃어버린 것보다 더 많은 23萬名의 프랑스軍 및 英國軍을 無力化시켰다. 그럼에도 不拘하고, 通信 問題 및 納得하기 어려운 命令 決定은 獨逸軍이 戰爭 初期 勝利하는데 어려움을 주었다. [53]

아시아와 太平洋 地域 編輯

 
1914年 멜버른 兵力 充員소 .

뉴질랜드는 1914年 8月 30日 獨逸令 사모아 占領 했다. 9月 11日, 오스트레일리아 海軍 및 軍事派遣軍 (AN&MEF)李 獨逸令 뉴기니 뉴포메른섬 (나중에 뉴브리튼섬이 됨)에 上陸했다. 10月 28日, 페낭 海戰 에서 獨逸 巡洋艦 SMS 엠덴 러시아 巡洋艦 젬추크 를 沈沒시켰다. 日本軍은 獨逸의 미크로네시아 植民地를 掌握하고 칭다오 戰鬪 를 통해 中國 산둥半島 에 位置한 칭다오 를 占領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 政府가 칭다오에 있는 오스트리아-헝가리 巡洋艦 SMS 카이저린 엘리자베스 의 撤收를 拒否하자, 日本은 獨逸 뿐 아니라 오스트리아-헝가리에게도 戰爭을 宣布했다. 1914年 11月 이 艦船은 칭다오 防禦戰에 參與했으며 나중에는 沈沒했다. [54] 몇 달 以內에, 聯合軍은 太平洋의 獨逸令 地域을 掌握했다. 오직 獨逸令 뉴基地 地域에서만 孤立된 商船 奇襲 및 防禦 態勢만 있었다. [55] [56]

아프리카 電球 編輯

戰爭의 첫 番째 衝突로는 아프리카에서 英國, 獨逸, 프랑스 사이 植民地 勢力의 衝突이었다. 8月 6日~7日에 프랑스와 英國軍은 토골란드 獨逸令 카메룬 地域을 侵攻했다. 8月 10日, 獨逸令 南西아메리카 의 獨逸軍은 南아메리카 共和國을 攻擊하기 始作했다. 戰爭의 나머지 期間 동안 散發的이고 熾烈한 戰鬪가 이어졌다. 大領 파울 폰 레토牛步르베크 (Paul von Lettow-Vorbeck)가 이끄는 獨逸令 東아프리카 식민지군은 第1次 世界 大戰 期間 동안 遊擊戰 을 이끌었고 유럽에서 休戰이 이루어진 지 2週가 지나서야 降伏하였다. [57]

引渡의 聯合國 支援 編輯

英國 政府가 印度에서 叛亂이 일어날 것이라는 두려움과는 달리, 印度에서는 英國에 對한 忠誠과 前例없는 好意가 나타나게 되었다. [58] [59] 印度 國民 會議 및 其他 團體의 印度 政治 指導者들은 熱心히 英國의 戰爭 努力을 支援했으며, 英國에 對한 戰爭 支援이 印度 自治 運動 을 이끌어 줄 것이라고 생각했다. 事實 英國領 印度 帝國軍 은 戰爭 初期에는 英國軍보다는 劣勢였다. 印度 中央 政府 및 印度 土侯國 이 많은 飮食, 돈, 彈藥 普及을 보내주는 동안 130萬名 假量의 印度軍 및 勞動者가 유럽, 아프리카, 中東 等地에서 自願軍으로 活動했다. 總 14萬名이 유럽의 西部 戰線으로 보내졌고, 70萬名이 中東 戰線으로 보내졌다. 第1次 世界 大戰 동안 印度人 47,746名이 死亡했고 65,126名이 負傷을 입었다. [60] 戰爭 自體로의 苦痛 뿐 아니라, 戰爭 以後에도 英國 政府가 印度 自治에 關해 별다른 關心을 보이지 않자 印度 自治 運動은 마하트마 간디 가 主導하는 印度 獨立 運動 으로 發展하는 契機가 된다.

西部 戰線 編輯

塹壕戰의 始作 編輯

 
솜 戰鬪 첫째 날 通信 塹壕에 있는 英國 얼스터 小銃甁

第1次 世界 大戰 移轉 軍事 戰術은 技術의 發展 速度를 따라잡는데 失敗하면서 舊式이 돼버렸다. 이러한 技術的 進步는 剛한 防禦的 戰略으로 이끄는 原因이 되었으며, 舊式의 戰術로는 더 以上 大部分의 戰爭에서 突破가 힘들어지게 되었다. 鐵條網 은 密集步兵의 進軍에 深刻한 妨害物이 되었으며, 砲兵 機關銃 과 結合하여 開放地를 橫斷하는 데 매우 어렵게 만들어 1870年代보다 더욱 致命的으로 發展했다. [61] 兩側 指揮官은 많은 死傷者 없이 塹壕戰 戰略을 발전시키는 데 失敗했다. 그러나, 이 때 技術 進步로 因해 化學 武器 戰車 가 發明되는 等 새로운 攻擊 武器를 開發하게 만들었다. [62]

1914年 9月 5日부터 12日까지 일어난 1次 마른 戰鬪 以後 協商國 및 獨逸軍은 서로 側面을 包圍하기 위해 北部에서 機動戰을 試圖했다. 이러한 一連의 機動戰을 바다로의 慶州 라고 부른다. 이러한 側面 包圍 試圖가 모두 失敗하면서, 英國 및 프랑스는 곧 獨逸 帝國이 벨기에 海岸부터 로렌 地域까지 단단하게 構築한 防禦線을 構築한 것을 보게 되었다. [14] 獨逸은 占領 地域을 防禦하면서 英國 및 프랑스軍에 對한 攻擊을 摸索하고 있었다. 따라서, 獨逸軍의 塹壕는 프랑스 및 英國軍의 塹壕보다 더욱 많이 建設되었다. 英國-프랑스軍의 塹壕는 獨逸軍의 防禦線을 突破하기 前까지 머무르는 "臨時的인" 防禦線에만 끝나 있었다. [63]

兩側은 科學 技術의 進步를 利用하여 膠着 狀態를 깨려 試圖했다. 1915年 4月 22日 第2次 이프르 戰鬪 에서는 獨逸軍이 西部 戰線에서 처음으로 ( 萬國 平和 會議 의 헤이그 協定을 違反하는) 鹽素 가스를 利用했다. 곧 兩側에서 여러 種類의 가스 使用이 一般化되었고, 決定的으로 證明되진 않았지만 戰鬪를 겪은 軍人들은 毒가스 戰爭이 가장 두렵고 記憶에 남는 恐怖가 되었다. [64] [65] 1916年 9月 15日에는 全體的으로는 솜 戰鬪 의 一部인 플레르-쿠르瑟레 戰鬪 에서 영국군이 처음으로 電車를 利用했고, 部分的으로 成功을 거두었다. 以後 戰爭이 進行되면서 電車의 效果는 커졌다. 獨逸軍은 自身들이 디자인한 매우 적은 數의 戰車를 使用했으며, 大部分은 聯合國으로부터 鹵獲한 電車를 戰利品 으로 利用했다.

 
1916年, 베르됭의 프랑스 87聯隊.

塹壕戰의 持續 編輯

 
1917年, 卑微 理智 戰鬪 에서 前進하는 캐나다軍과 英國軍 마크 II 戰車 .

兩側 모두 2年 동안 서로에게 決定的인 打擊을 줄 수 있는 攻擊을 하지 못했다. 1915~1917年 동안, 大英帝國 및 프랑스는 戰略, 戰術的 方向의 側面의 選擇 때문에 獨逸보다 더 많은 死傷者로 苦痛받았다. 獨逸은 오직 하나의 主要 攻勢만 試圖했지만 聯合軍은 獨逸의 防禦線을 突破하기 위한 여러 試圖를 하였다.

1916年 2月 獨逸은 프랑스의 베르됭 에서 프랑스 陣地를 攻擊하면서 베르됭 戰鬪 가 始作되었다. 1916年 12月 프랑스의 反擊으로 攻勢 始作 地點 以前까지 獨逸軍을 退却시키기 前까지 戰鬪는 獨逸軍이 많은 利益을 보았다. 프랑스軍의 死傷者는 엄청났지만, 獨逸軍의 死傷者 또한 이에 못지 않게 높아서 兩 側 交戰國의 死傷者는 70萬名 [66] 에서 97萬 5千名 [67] 가까이 된다. 베르됭은 프랑스의 意志 및 犧牲의 象徵이 되었다. [68]

1916年 7月부터 11月까지 英國-프랑스軍은 솜 戰鬪 를 통해 獨逸軍을 攻擊했다. 이 攻擊이 始作한 7月 1日 當時 英國 陸軍 은 歷史上 가장 큰 死傷者가 發生해, 첫날 戰鬪 에만 19,240名이 死亡하는 等 總 死傷者가 75,470名이나 되었다. 솜 攻勢 全體 期間 동안 英國軍의 死傷者는 約 42萬名이었다. 프랑스軍 또한 大略 20萬名의 死傷者가 나왔으며, 獨逸軍은 50萬名의 死傷者가 나왔다. [69]

1916年 全體 期間 동안 베르됭에서의 오래된 攻擊은 [70] 솜 戰鬪의 深刻한 死傷者와 합쳐져 프랑스軍이 지쳐 崩壞 危機까지 達했다. 1917年 4月 5日 니벨 攻勢 가 聯合國의 失敗로 끝난 以後 英國 및 프랑스軍의 헛된 正面 攻擊 試圖는 프랑스 兵士 (poilu)의 프랑스軍 叛亂 으로 이어졌다. [71] 同時에 일어난 英國의 아라스 戰鬪 는 制限된 範圍에서 이루어져 窮極的으로 戰略的 價値는 떨어졌지만 더 많은 成功을 거두었다. [72] [73] 아라스 攻勢의 一部分으로 캐나다 軍團 이 卑微 理智를 占領했고, 이는 該當 國家에게 매우 重要하게 되었다. 캐나다의 國家正體性이 戰鬪로 誕生되었다는 생각은 以後 캐나다의 軍事 및 一般 史學界에서 널리 퍼지게 되는 意見이 되었다. [74] [75]

1917年 7月부터 11月까지 이루어진 파스샹달 戰鬪 는 이 期間 벌어진 英國의 마지막 大規模 攻勢(프랑스의 支援)가 되었다. 이 攻勢는 10月 戰場이 진흙탕으로 되기 前까지 聯合國 사이의 約束으로 進行되었다. 死傷者에 對해서는 많은 意見이 存在하지만 거의 20萬名에서 40萬名 사이로 推測한다.

西部 戰線의 塹壕戰은 몇 年 동안 많은 地域의 占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고, 그 結果 이 戰線은 種種 靜的이고 變하지 않는 前線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期間 동안 英國, 프랑스, 獨逸은 끊임없는 戰術의 發展 으로 인해 새로운 戰場으로 나타났다.

海戰 編輯

 
1917年, 獨逸 大洋艦隊 의 戰艦.

戰爭이 始作했을 當時, 獨逸 帝國의 巡洋艦 은 全 世界에 흩어져 있었으며 그들 中 一部는 聯合國 商船 을 攻擊하기도 했다. 英國 海軍 은 비록 聯合國 船舶을 保護하는 데는 無能力했지만 唐慌하지 않고 體系的으로 그들을 패배시켰다. 例를 들어, 칭다오 에 駐屯한 獨逸의 東아시아 艦隊의 一部였던 輕巡洋艦 SMS 엠덴 은 15隻의 商船을 捕獲하거나 沈沒시켰으며, 러시아 巡洋艦 및 프랑스 驅逐艦도 沈沒시켰다. 그러나, 掌匣巡洋艦 SMS 샤른호르스트 , SMS 그나이제나우 , 輕巡洋艦 SMS 뉘른베르크 , SMS 라이프치히 , 輸送함 2隻으로 이루어진 獨逸 東아시아 艦隊 는 船舶을 襲擊하라는 命令을 받지 못했고 代身 英國 軍艦을 만났을 때 獨逸 領土로 航海했다. 獨逸 艦隊 및 SMS 드레스덴 코로넬 海戰 에서 掌匣巡洋艦 2隻을 沈沒시켰지만, 1914年 12月 포클랜드 海戰 에서 脫出한 SMS 드레스덴 및 若干의 補助艦을 除外한 모두가 破壞되었고, 脫出한 船舶들도 마스亞티에라 海戰 에서 大部分이 破壞되거나 捕獲되었다. [76]

戰爭 勃發 以後, 英國은 獨逸의 封鎖 를 始作했다. 이 戰略은 지난 2世紀 동안 여러 國際法에 依해 性文化 된 原則을 어기는 것이었지만 여러 重要한 軍事的, 民間的 資源 供給 遮斷에 效果가 있었음이 밝혀진다. [77] 英國은 中立國 船舶에 被害를 입히는 것을 막기 위해 公害에서 바다로 들어오는 모든 艦船의 移動을 막았다. [78] 以後 이 戰術을 制限的으로 따라 獨逸의 無制限 潛水艦 作戰 도 類似한 效果를 가져올 것이라고 期待했다. [79]

1916年 유틀란트 海戰 (獨逸語로 Skagerrakschlacht)은 第1次 世界 大戰 期間 동안 가장 巨大했던 海戰이었으며, 戰爭 中 唯一한 戰艦 間의 戰鬪였다. 이 海戰은 1916年 5月 31日부터 6月 1日까지 北海 윌欄半島 附近에서 일어났다. 獨逸의 大洋艦隊는 라인하드 세어 가 指揮했고, 英國의 大艦隊 는 除毒 존 젤리코 가 指揮했다. 獨逸 艦隊가 海戰에 突入하기 始作하자 自己 艦隊보다 더 큰 英國 大艦隊를 避해 脫出하면서 英國 艦隊에게 많은 被害를 주었다. 그러나, 戰略的으로는 英國이 如前히 制海權을 가지고 있었고, 獨逸 受賞艦隊의 大部分은 戰爭 期間 내내 港口에만 있어야 했다. [80]

 
1918年 獨逸과의 休戰 當時 런던의 타워 브릿지 近處에 展示된 U-155 .

獨逸의 유보트 는 北아메리카와 英國 사이의 補給船을 遮斷하려 試圖했다. [81] 潛水艦戰 의 性格은 攻擊이 자주 警告없이 왔으며 商船의 乘務員들은 生存率이 稀薄했다. [81] [82] 美國은 이에 對해 抗議를 始作했고, 獨逸은 交戰 規則을 바꿨다. 1915年 旅客船 RMS 루시타니아 가 沈沒한 以後, 獨逸은 旅客船이 지나다니는 海路에서 攻擊하지 않겠다고 했으며, 英國은 "安全 場所"(구명보트와는 다른 標準)에 乘務員을 配置하고 警告를 보내는 프라이즈 規則 保護를 넘어서서 商船을 무장시켰다. [83] 마침내, 1917年 初 獨逸이 無制限 潛水艦 作戰 規則을 導入하면서 美國이 선전포고했다. [81] [84] 獨逸은 美國이 海外에서 많은 軍隊를 輸送하기 前에 聯合國 해로 에 對한 攻擊을 試圖했지만, 長距離 유보트를 5隻만 維持시킬수 있어서 實際 效果는 微微했다. [81]

1917年에는 商船들이 驅逐艦 들과 같은 護送船團 을 保護를 받아 유보트의 被害가 줄어들었다. 이러한 護送船團 戰術은 유보트가 標的을 쉽게 찾지 못하게 하여 被害가 크게 줄어들었다. 以後 하이드로폰 爆雷 가 導入되면서 驅逐艦이 手中에 있는 潛水艦을 攻擊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護送船團은 商船이 護送船團이 모일 때까지 기다려야 해서 普及 電送이 느려지는 副作用을 가져왔다. 이러한 遲延을 막기 위해 새로운 貨物들을 構築하는 廣範圍한 프로그램이 만들어졌다. 軍人 輸送船은 潛水艦에게 너무 빨랐기 때문에 護送船團의 支援을 받지 않았다. [85] 유보트는 199隻을 利用해 5,000隻 以上의 聯合軍 艦船을 沈沒시켰다. [86] 또한, 第1次 世界 大戰은 航空母艦 이 처음으로 나온 時期로 HMS 푸리어스 가 1918年 7月 톤데른 奇襲 에서 소프위드 카멜 을 發進시켜 체펠린 飛行船 格納庫를 成功的으로 攻擊했다. 또한, 對潛 巡察基로 小型 巡察船 을 띄우기도 했다. [87]

南部 電球 編輯

발칸반도의 戰爭 編輯

 
1917年, 捕虜로 잡은 세르비아 軍人을 處刑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 軍人. 戰爭 期間 동안 세르비아 王國 은 85萬名이 死亡하면서 戰爭 前에 비해 4分의 1의 人口가 減少했다. [88]

러시아와 直面한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세르비아를 攻擊한 軍隊의 3分의 1萬 러시아 戰線으로 보낼 수 있었다. 큰 損失을 입은 以後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은 세르비아 王國의 首都인 베오그라드 를 占領했다. 그러나, 콜壘哱囉 戰鬪 에서 세르비아軍의 反擊이 成功하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는 1914年 末까지 元來 戰線으로 後退해야 했다. 1915年의 첫 10個月 동안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은 大部分의 軍士를 이탈리아 戰線으로 보냈다. 獨逸과 오스트리아-헝가리 外交官은 불가리아를 說得하여 세르비아를 攻擊하도록 誘導했다. 슬로베니아 ,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地方의 오스트리아-헝가리 軍士는 세르비아 뿐 아니라 이탈리아와 러시아 戰線 等地로도 向해졌다.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와 同盟을 맺었다. [89]

 
1914年, 슈타이어마르크州 라이프니츠 에서 세르비아 難民을 運送하는 모습.

세르비아는 불가리아軍이 60萬名의 軍隊를 動員해 支援하면서 한 달 內에 征服했다. 세르비아軍은 2個 戰線에서 敗北에 直面하면서 戰爭 初期에 侵攻했던 알바니아 公國 北部로 後退했다. 以後, 세르비아軍은 코소보 戰鬪 에서 敗北했다. 몬테네그로는 1916年 1月 6~7日에 있었던 모이코바츠 戰鬪 에서 아드리아 海岸에서 後退하던 세르비아軍을 保護하는 데 成功했지만, 結果的으로 몬테네그로度 오스트리아-헝가리에게 占領當했다. 살아남은 세르비아 兵士들은 배를 통해 그리스로 撤收했다. [90] 征服 以後, 세르비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과 불가리아 王國이 나눠 占領했다.

1915年 末, 프랑스와 英國軍이 테살로니키 에 上陸하면서 그리스 政府에게 同盟國에게 戰爭을 宣布하라고 壓迫하였다. 그러나, 親獨逸 性向의 콘스탄티노스 1歲 國王은 聯合國 遠征軍이 上陸하고 親聯合國人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政府가 들어서기 前까지 이런 要求를 拒否했다. [91] 그리스 國王과 聯合國 사이의 摩擦은 國論 分裂 이 蓄積되어 王黨派와 테살로니키의 베니젤로스 臨時 政府 間 分裂로 이어졌다. 아테네 에서 聯合國波와 王黨派 間의 긴 協商과 老엠브리아나 (Noemvriana)라고 부르는 武裝 鬪爭 끝에 王이 廢位되었으며 그의 둘째 아들 알렉산드로스 가 새로운 國王이 되었다. 以後 그리스는 公式的으로 聯合國 便에 參戰했다.

 
飛行機의 爆擊을 避해 塹壕에 들어간 불가리아 軍人.

처음에는 마케도니아 戰線이 靜寂이었다. 프랑스軍 및 英國軍은 1916年 11月 19日 모나스티르 攻勢 에서 큰 損失을 겪고 비톨라 周邊의 마케도니아 領土 一部를 占領했으며, 戰線의 安定을 가져왔다.

세르비아 및 프랑스軍은 1918年 9月 獨逸 및 오스트리아-헝가리軍 大部分이 後退한 以後에야 前進할 수 있었다. 불가리아軍은 戰爭에서 도브로 폴 戰鬪 에 큰 敗北를 겪었다. 結局, 불가리아는 2週 後인 1918年 9月 29日 降伏했다. [92] 獨逸 最高 司令部는 戰線을 維持하기 위해 軍隊를 派遣했지만, 이 軍隊는 戰線을 維持하기에 너무 弱했다. [93]

마케도니아 戰線 自體가 崩壞되면서 聯合軍은 부다페스트 으로 向하는 道路를 確保했다. 힌덴부르크와 壘덴드로프는 確實히 戰略 및 作戰上 均衡이 確實히 무너졌다고 結論내리고 불가리아의 崩壞 以後 하루만에 卽刻的인 平和를 要求했다. [94]

오스만 帝國 編輯

오스만 帝國 은 1914年 8月 祕密 條約인 오스만-獨逸 同盟 을 맺은 以後 同盟國에 合流했다. [95] 오스만 帝國의 參戰은 러시아의 코카서스 領土 威脅과 수에즈 運河 를 통한 英國-印度 間 連結을 끊을 수 있는 威脅을 가지고 있었다.

아나톨리아 自體에 살고 있던 오스만 터키人 그리스人 , 아시리아人 , 아르메니아인 等의 民族을 그리스人 集團 虐殺 , 아르메니아인 集團 虐殺 , 아시리아人 集團 虐殺 等 大量虐殺하며 러시아 및 英國 側에서 參戰하는 影響을 주었다. [96]

이에 對해, 英國과 프랑스는 오스만 帝國을 侵攻하여 갈리폴리 轉役 (1915年)과 메소포타미아 轉役 을 改悛했다. 갈리폴리에서는 오스만 帝國이 英國軍, 프랑스軍,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軍團 을 成功的으로 擊退했다. 對照的으로, 메소포타미아 에서는 쿠트 攻防戰 (1915~1916年)에서 敗北한 以後 英國軍이 1917年 3月 바그다드 를 占領했다. 오스만 帝國은 쿠르드族 및 투르크맨族과 聯合하여 戰鬪한 데 反해 英國軍은 아랍人 및 아시리아人과 聯合하여 戰鬪했다.

 
1917年 예루살렘 戰鬪 期間 途中 스코푸스 山 의 英國軍 砲兵隊.

또한, 西쪽으로는 오스만 帝國이 수에즈 運河 에 對한 攻擊을 1915年, 1916年 두次例 했으나 占領하지 못했다. 8月에는 獨逸 帝國-오스만 帝國 聯合軍이 로마니 戰鬪 에서 ANZAC 山岳 師團 52 (로우랜드) 步兵 師團 에게 敗北했다. 이 勝利에 이어, 英國 陸軍 이집트 遠征軍 시나이半島 를 橫斷하여 12月에 마그드하바 戰鬪 에서 오스만 帝國을 후퇴시키고 1917年 1月 라파 戰鬪 에 勝利하면서 이집트 시나이와 오스만令 팔레스타인 境界까지 進擊했다.

 
1917年 바스라의 메소포타미아 派遣軍의 交戰 目錄이 적힌 크리스마스 카드.

러시아軍은 코카서스에서 一方的인 戰鬪를 치렀다. 오스만 軍隊의 最高 司令官인 엔베르 파샤 는 러시아가 征服했던 中央아시아 地域을 다시 占領하고자 하는 野心이 있었다. 그러나, 그는 指揮官으로써는 別路였다. [97] 그는 1914年 12月 10萬名의 軍隊를 動員하여 코카서스에서 러시아에 對한 攻擊을 始作했다. 겨울에 러시아軍에 對한 正面攻擊을 하자고 主張했지만, 사리카미스 戰鬪 에서 86%의 兵力을 잃고 오스만軍이 敗北했다. [98]

1914年 12月, 獨逸의 支援을 받은 오스만 帝國軍은 英國軍과 러시아軍 間의 連結을 끊고 카스피해 油層 地帶를 占領하기 위해 페르시아 (現 이란)을 侵攻했다. [99] 페르시아는 表面上 中立國이었지만 實際로는 英國軍과 러시아軍의 影響 下에 있었다. 오스만軍과 獨逸軍은 쿠르드族 아제르바이잔人 의 大規模 支援을 받았을 뿐 아니라 카슈카이인 , 湯器스탄인 , 루르人 , 캄歲흐人 의 支援을 받았으며, 프랑스軍 및 英國軍은 그리스인과 아시리아人 아르메니아인 의 支援을 받았다. 페르시아 全域 은 1918年까지 持續되어 오스만 帝國 및 同盟國의 敗北로 끝났지만, 1917年 아르메니아와 아시리아人을 이끌며 오스만 帝國에 對해 가장 剛하게 攻勢를 하던 러시아가 休戰하면서 補給線이 끊기고, 武器 및 量에서 劣勢가 되면서 北部 메소포타미아의 英國軍이 後退해야 했다. [100]

1915年부터 1916年까지 러시아軍의 指揮官이었던 니콜라이 유데니치 는 南部 코카서스에서 大部分의 터키軍을 몰아내면서 勝利者로 자리잡았다. [98] 1917年, 對空 니콜라우스 니콜레비치 는 코카서스 戰線의 指揮官이 되었다. 니콜라우스는 征服한 地域에서 러시아-조지아 鐵道를 計劃하여 1917年에 攻勢할 새로운 補給品을 얻으려고 했다. 그러나, 1917年 3月(러시아 革命 李霆 율리우스력으로는 1917年 2月) 러시아 2月 革命 을 통해 皇帝가 退位하자 러시아 코카서스 軍 은 崩壞하기 始作했다.

英國 外務部 가 아랍人을 煽動하면서 일어난 아랍 叛亂 은 1916年 英國의 支援을 받은 메카 후세인 빈 알리 를 中心으로 일어난 메카 戰鬪 서부터 始作했으며, 다마스쿠스에서 오스만軍이 降伏하면서 끝났다. 메디나 의 오스만君의 指揮官인 派흐리 파샤 메디나 攻防戰 에서 約 2年 半동안 抵抗했다. [101]

이탈리아령 리비아와 英國領 이집트 國境의 歲累時族 은 터키의 煽動에 힘입어 武裝하여 聯合軍과 小規模 게릴라전을 벌였다. 英國은 歲누시 轉役 에서 蜂起를 鎭壓하기 위해 12,000名이나 投入해야 했다. 이 叛亂은 1916年 中旬 完全히 끝나게 되었다. [102]

오스만 帝國이 苦戰을 면치 못하자, 獨逸 帝國은 獨逸 아시아 軍團 을 派兵하였다.

오스만 戰線에서 聯合國의 總 死傷者는 65萬名이다. 오스만君의 總 死傷者는 75萬名(325,000名 死亡, 425,000名 負傷)이다. [103]

이탈리아의 參戰 編輯

 
트롤 地方의 오스트리아-헝가리 陸軍.
 
1916年 8月 오스트리아-헝가리와 이탈리아 사이 일어난 度베르도 戰鬪 를 描寫한 그림.

이탈리아는 三國 同盟 의 一環으로 1882年에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과 同盟을 맺었다. 그러나, 이탈리아는 오스트리아가 가지고 있던 트렌티노 , 오스트리아 沿海 地帶 , 피우메 (現 리예카), 달마티아 地域을 確保하고 싶었다. 이탈리아는 1902年 프랑스와 祕密 條約을 맺어 三國 同盟을 無效化시켰다. [104] 戰爭이 勃發하자 이탈리아는 三國 同盟은 防禦的 條約이고 오스트리아-헝가리는 攻擊者라는 理由로 參戰을 拒否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政府는 프랑스領 튀니지를 代價로 이탈리아의 中立을 이루기로 했다. 이에 對해, 聯合國은 오스트리아-헝가리가 敗北할 境遇 南部 티롤 , 오스트리아 沿海 地帶, 달마티아 沿岸 地帶를 주는 條件으로 參戰하게 했다. 聯合國하고의 이 協商은 1915年 런던 條約 으로 公式化되었다. 또한, 1915年 4月 聯合國의 터키 侵攻에 刺戟받아 이탈리아는 三國 協商에 加入하고 5月 23日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에게 선전포고했다. 다섯달 後, 이탈리아는 獨逸에게도 선전포고했다.

이탈리아의 參戰은 國務總理 안토니오 사란드라 , 外務部 長官 시드니 소니노 , 國王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歲 가 祕密裏에 推進했다.

1915年 2月 16日, 오스트리아와의 同時 協商에도 不拘하고, 런던의 特使가 이탈리아가 協商國에 參與할 境遇 좋은 去來를 해 주겠다는 提案을 했다. ... 最終 選擇에는 러시아軍이 3月 카르파티아山脈에서 勝利했다는 뉴스의 도움을 얻었다. 사란드라는 協商國의 勝利가 눈앞에서 보이기 始作한다고 생각했고, 그는 迅速하게 合意를 하기 위해 몇 가지 要求 事項을 撤回하라고 特使에게 指示했지만 利益 共有에 關해 너무 늦게 到着한다고 不安해했다. ... 런던 條約은 4月 26日에 採決되었으며 이탈리아는 1個月 內에 戰鬪에 參與하기 始作했다. ... 5月 4日이 돼서야 사란드라는 三國同盟을 廢棄한다고 署名했다. [105]

軍事的으로 이탈리아는 優越했다. 그러나, 이러한 利點은 戰鬪가 일어나는 地形이 險하고 戰略 및 戰術의 不適切한 使用으로 인해 사라져버렸다. 正面 攻擊의 徹底한 支持者였던 陸軍 元首 루이지 카도르나 슬로베니아 高原으로 侵入해 류블랴나 를 占領하고 을 威脅할려는 꿈을 가지고 있었다. 카도르나의 計劃은 堅固한 율리안알프스산맥 크라스 의 險難한 地形, 塹壕戰 과 같은 技術的인 變化를 따라잡지 못한 計劃이었으며 그 結果 엄청난 人命을 犧牲하고 膠着 狀態로 멈춰 버렸다.

트렌티노 戰線에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은 守備하기 유리한 山岳 地形을 利用했다. 開戰 初 戰略的인 後退 以後 戰船은 큰 變化가 없었으며 오스트리아의 카이저쉬젠 (Kaiserschutzen)과 스텐드쉬젠 (Standschutzen)李 이탈리아의 알피니 의 여름에 걸친 白兵戰을 막아냈다. 1916年 봄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은 아시아高 알토피아노 에서 베로나와 파두아를 向해 攻勢를 始作했으나( 트렌티노 攻勢 ), 別 所得이 없었다.

1915年 初, 이탈리아는 트리에스테 北東部의 소카 江 (이손초 江)을 따라 11番의 攻勢 를 進行했다. 11番의 攻勢는 모두 高地帶에 位置했던 오스트리아-헝가리가 擊退했다. 1916年 여름 度베르도 戰鬪 에서 이탈리아軍이 勝利하여 高리치아 를 占領했다. 이 작은 勝利 以後에는 이탈리아軍이 高리치아 東部의 바니시스 플라티禹 카르스트 플라티禹 를 中心으로 攻勢를 進行했지만 1年 가까이 戰線에 變化가 없었다. 1917年 가을에는 東部 戰線이 同盟國에게 유리한 狀況으로 進行되어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은 獨逸軍의 스톰트루퍼 (Stormtrooper)와 알펜크롭스 엘리트원을 包含한 多數의 兵力을 增員받았다.

同盟國은 1917年 10月 26日 獨逸 帝國을 主導로 한 粉碎 作戰을 始作했다. 코바리드 地域에서 일어난 카包레토 戰鬪 에서 독일군이 勝利했다. 이탈리아군은 100?km 넘게 後退했으며, 피아베 江 戰鬪 에서야 戰線을 維持할 수 있었다. 이탈리아軍이 카包레토 戰鬪에서 大規模의 損失을 입었기 때문에 이탈리아 政府는 所謂 18歲 以上의 모든 男性을 召集하는 "99 少年들"(Ragazzi del '99)을 進行했다. 1918年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이 피아베 江 戰鬪 에서 敗北를 겪었으며, 決定的으로 그해 10月 비토리오 베네토 戰鬪 에서 敗北했다. 11月 1日, 이탈리아 海軍은 새로운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週 으로 前歷을 넘기는 것을 막기 위해 풀라 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 海軍의 大部分을 破壞했다. 11月 3日, 이탈리아군은 바다를 건너 트리에스테 를 占領했다. 같은 날에 빌라 지우티 休戰 을 締結했다. 1918年 11月 中盤, 이탈리아군은 오스트리아 沿海 地帶 全體를 掌握하고 런던 條約에서 이탈리아에게 保障된 달마티아 全體를 占領했다. [106] 1918年 11月 戰爭이 끝날 무렵, [107] 提督 엔리코 밀로 는 自身 스스로를 이탈리아령 달마티아의 總督으로 宣布했다. [107]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은 1918年 11月 降伏했다. [108] [109]

루마니아의 參戰 編輯

 
1916年 루마니아君을 査閱하는 조제프 조프르

루마니아는 1882年부터 同盟國과 同盟을 맺고 있었다. 그러나, 戰爭이 始作되자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이 세르비아에게 宣戰布告를 했기 때문에 루마니아가 參戰할 義務가 없다고 말하면서 中立國을 宣言했다. 協商國이 루마니아가 同盟國에게 선전포고하는 代價로 트란실바니아 바나트 와 같이 루마니아人이 많이 사는 큰 領土를 保障해주자, 1916年 8月 27日 루마니아 政府는 協商國에 加入하여 트란실바니아를 攻擊 하여 러시아의 制限된 支援을 받고 參戰했다. 루마니아의 攻勢는 初期에는 成功하여 오스트리아-헝가리軍을 밀어냈지만 以後 同盟國의 反擊으로 인해 다시 루마니아-러시아 國境으로 後退해야 했다. [110] 同盟國이 부쿠레슈티 戰鬪 에 勝利하면서 1916年 12月 6日에 루마니아의 首都가 陷落되었다. 1917年에는 몰도바 地域에서 戰鬪가 繼續되면서 同盟國은 지루한 膠着 狀態로 빠지게 되었다. [111] [112] 1917年 末 10月 革命 으로 인해 러시아가 降伏하자, 루마니아는 1917年 12月 9日 同盟國과 休戰해야 했다.

 
1917年 마라세스티 戰鬪 에서의 루마니아群.

1918年 1月, 루마니아軍은 러시아軍이 抛棄한 베사라비아 地域을 占領했다. 비록 루마니아와 볼셰비키 러시아 政府 사이 1918年 3月 5日~9日에 2달 以內 베사라비아에서 撤收한다는 條約을 맺었지만, 1918年 3月 27日 루마니아 統合 地域 議會가 루마니아로 合倂하는 法案을 통과시키면서 베사라비아를 自國 領土로 倂合했다. 1918年 5月 7日에는 부쿠레슈티 條約 을 맺으면서 同盟國과 平和 條約을 맺었다. 이 條約에서 루마니아는 同盟國과 終戰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에게 領土 割讓이 이루어지고 카르파티아山脈 에 對한 通行券이 주어졌으며, 獨逸에게 石油 採掘權이 附與되었다. 그 代身 同盟國은 루마니아가 베사라비아를 掌握하는 것을 認定했다. 이 條約은 1918年 10月 알렉산드루 마르힐로만 政府가 無效化하면서 1918年 11月 10日 名目上 戰爭이 再開되었다. 다음 날, 부쿠레슈티 條約은 콩피에뉴 에서 休戰이 이루어지면서 無效化되었다. [113] [114] 루마니아는 現代 國境을 基準으로 1914年에서 1918年동안 軍人과 民間人을 包含하여 748,000名이 死亡했다. [115]

東部 戰線 編輯

初期 戰鬪 編輯

 
1917年, 獨逸軍의 攻擊을 기다리는 塹壕의 러시아軍.

西部戰線이 膠着狀態로 빠진 反面, 東部유럽의 戰爭은 繼續되었다. 러시아軍의 初期 計劃은 오스트리아의 갈리치아-로도메리아 王國 과 獨逸의 동프로이센 을 同時에 侵攻하는 計劃이었다. 비록, 갈리齒牙를 向한 러시아軍의 初期 攻勢는 成功的이었으나 東프로이센을 向한 攻勢는 1914年 8~9月에 일어난 타넨베르크 戰鬪 마수리아 號 戰鬪 에서 파울 폰 힌덴부르크 에리히 루덴도르프 의 奮戰으로 沮止되었다. [116] [117] 러시아의 덜 發達된 産業 基盤과 非效率的인 軍事 命令 體系가 以後 벌어진 事件들에 重要한 役割을 했다. 1915年 봄에는 러시아軍이 갈라齒牙 地域에서 後退했으며, 5月에는 同盟國이 폴란드 南部 地域에 突破口를 만들었다. [118] 8月 5日에는 同盟國이 러시아軍을 후퇴시키며 바르샤바 를 占領했다.

러시아 革命 編輯

1916年 6月 러시아軍이 갈리치아-로도메리아 王國 東部를 向한 브루실로프 攻勢 가 成功했지만, [119] 러시아 政府의 戰爭에 關한 不滿이 增加하고 있었다. 攻勢의 成功은 勝利를 위해 支援해야 하는 다른 將軍이 軍士를 내주기 꺼려한 탓에 弱化되었다. 聯合軍과 러시아軍은 8月 27日 루마니아가 聯合國으로 參戰 할 때 一時的으로 蘇生했다. 獨逸軍이 트란실바니아 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軍을 支援하는 동안, 南쪽에서 獨逸-불가리아軍이 攻擊하면서 12月 6日에는 부쿠레슈티 가 同盟國에게 陷落되었다. 한便, 러시아의 차르 니콜라이 2歲 가 戰爭을 繼續 끌면서 러시아 內 不安 狀況이 高調되었다. 알렉산드라 皇后 의 無能한 統治는 示威를 앞당기도록 했고, 1916年 末에는 皇后가 좋아하는 그리고리 라스푸틴 이 殺害당했다.

1917年 3月, 페트로그라드 에서 示威가 일어나 니콜라이 2歲 가 退位하고 러시아 臨時 政府 가 뒤를 이었으나, 이 政府의 힘은 弱했고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社會主義者와 連帶하여 겨우 維持했다. 이러한 狀況은 前線과 後方 모두에서 混亂을 加重시켰다. 陸軍은 漸漸 非效率的으로 變해갔다. [118]

 
1918年, 브레스트-리토프스크 條約 을 맺는 모습.
1. 오토카르 폰 체르닌 伯爵
2. 리하르트 폰 퀼만
3. 바실리 라度슬라프

臨時 政府에 對한 不滿과 脆弱함으로 블라디미르 레닌 이 이끄는 볼셰비키 黨의 人氣가 높아졌고, 이들은 戰爭을 그만둘 것을 要求하고 있었다. 그러자 1917年 11月에는 볼셰비키의 武裝 蜂起가 成功하여 볼셰비키가 政權을 掌握했고, 12月에는 獨逸과 休戰 協商을 맺었다. 처음에 볼셰비키는 獨逸의 要求를 拒絶했으나, 獨逸軍이 無抵抗으로 우크라이나 全域을 掌握하자 1918年 3月 8日 러시아와 同盟國 間 브레스트-리토프스크 條約 이 맺어지게 된다. 이 條約에서는 핀란드, 발트 3國 , 폴란드와 우크라이나의 大部分을 同盟國에게 割讓하는 等 廣大한 領土가 넘겨졌다. [120] 러시아 地域에서 獨逸軍이 明白하게 勝利했지만, 以前 러시아 地域에 駐屯하기 爲해 必要한 獨逸軍의 人力이 너무 많아 以後 일어난 春季 攻勢가 失敗하고 食糧과 物資 普及도 相當히 뒤처지게 하는 原因이 되었다.

브레스트-리토프스크 條約이 맺어지면서 協商國은 解體되었다. 以後 聯合國은 獨逸이 러시아의 資源으로 膨脹하는 것을 沮止하고 러시아 內戰 에서 白軍을 支援하기 위해 러시아로의 小規模 侵攻 을 斷行했다. [121] 聯合軍은 러시아 北部 介入 의 一環으로 아르한겔스크 블라디보스토크 에 上陸했다.

체코슬로바키아 軍團 編輯

 
1918年 블라디보스토크의 체코슬로바키아 軍團

체코슬로바키아 軍團은 체코슬로바키아 의 獨立을 위해 聯合國에 同參하여 戰爭에 參與한 軍團이다. 러시아 內의 軍團은 1917年 만들어졌으며, 1917年 12月에는 프랑스(美國人 自願軍 包含), 1918年 4月에는 이탈리아에서도 만들어졌다. 체코슬로바키아 軍團은 1917年 7月 現 우크라이나 地域에서 일어난 즈보로프 戰鬪 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軍을 이겼다. 이 勝利 以後 체코슬로바키아 自願軍 數가 늘어나면서 체코슬로바키아의 週 軍士가 되었다. 바흐마흐 戰鬪 에서는 獨逸 帝國軍에게 勝利하면서 休戰 協定을 맺도록 强要했다.

러시아 地域에서는 볼셰비키 에 對한 러시아 內戰 이 勃發하면서 체코슬로바키아 軍團은 시베리아 橫斷 鐵道 를 掌握하고 시베리아 의 모든 主要 都市를 占據했다. 이 群團이 예카테린부르크 近處까지 나타나면서 1918年 7月 볼셰비키는 로마노프 王家의 處刑 을 斷行하게 된다. 이 軍團은 이 事件이 일어난 지 7日도 되지 않아 都市를 掌握한다.

러시아의 유럽 地域 港口가 安全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軍團은 블라디보스토크 로의 긴 迂廻路를 통해 待避했다. 1920年 9月 美國 船舶 헤프論을 통해 마지막으로 群團이 떠나게 되었다.

同盟國의 平和 協商 提案 始作 編輯

 
They shall not pass 는 베르됭 戰鬪에서 흔히 쓰이는 文句가 되었다. 寫眞은 베르됭 戰鬪의 塹壕 모습.

1916年 12月, 베르됭 戰鬪 가 10달 지나고 루마니아로 攻勢를 成功的으로 끝내자 獨逸은 聯合軍과의 平和 協商을 準備하기 始作했다. 곧, 美國의 大統領인 우드로 윌슨이 調停者로 介入을 始作하면서 兩側의 條件을 듣기 始作했다.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戰爭內閣은 獨逸의 提案은 聯合軍 사이를 분열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初期의 憤怒와 熟考 以後, 윌슨에게는 別途의 努力으로 美國이 "潛水艦 作戰"으로 인해 獨逸과 戰爭하기 直前이라는 信號를 들었다. 聯合軍은 윌슨의 提案에 對해 論議하는 동안, 獨逸은 "서로의 直接的인 見解 交換"에 對해서 拒否했다. 獨逸의 應答을 보고 聯合軍 政府는 1917年 1月 14日 自由롭게 明確한 要求를 提示했다. 그들은 被害를 報償받고, 占領 地域에서 獨逸軍이 물려나며, 프랑스, 러시아, 루마니아, 기타 參戰國에 對한 賠償을 要求했다. 이 要求에는 이탈리아人, 슬라브人, 루마니아人, 체코슬로바키아人에 對한 解放 및 "자유롭고 統一된 폴란드"를 建設하라는 要求도 했다. 安保에 對해서는 聯合軍은 平和를 維持할 製劑方法으로 未來의 戰爭을 制限하거나 豫防할 方法을 摸索했다. [122] 獨逸이 어떠한 特定 提案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協商은 失敗하고 協商國은 獨逸의 提案을 拒否했다. 윌슨에게 協商國은 同盟國이 占領한 모든 聯合軍 領土에서 나오며 損害 賠償金을 물 때까지 平和 協商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123]

美國의 參戰 編輯

美國은 戰爭 中 英國과 獨逸 肝에서 中立的 立場을 表明하고 있었다. 美國의 우드로 윌슨 大統領은 繼續的으로 “獨逸의 無制限 潛水艦 攻擊에 對해서 傍觀하지 않겠다.”라는 意思를 表明했고, 獨逸은 이에 對해 이러한 攻擊을 中斷할 것임을 몇 次例 約定했다.

그러나 1917年 1月 16日, 獨逸 外務 長官 아서 치머만이 멕시코 駐在 獨逸 帝國 大使 펠릭스 폰 에카르트 에게 보냈던 暗號 專門 치머만 轉補 에서 “멕시코가 美國을 攻擊할 境遇, 멕시코가 1848年에 美國에 빼앗긴 모든 領土를 되찾을 수 있도록 해주겠다.”라는 內容 때문에 美國은 參戰 쪽으로 기울어졌다. 얼마 後 獨逸이 유보트 를 利用해 英國 배를 攻擊했는데, 그 배에 탔던 많은 美國人들이 죽었다. 따라서 윌슨 大統領은 議會에 獨逸에 宣戰 布告할 것을 1917年 4月 6日에 提議했다. 이는 美國 領土에 對한 獨逸의 攻擊에 한한다는 內容으로 下院 決議案 373:50, 上院 82:6으로 承認되었다. 12月 6日 에는 오스트리아에도 宣戰 布告를 하여, 그 範圍가 이탈리아 戰線 까지 擴大되었다.

終戰 編輯

1917年 , 美國이 獨逸에 宣戰布告를 한 以來, 聯合國 은 反擊에 들어가기 始作했다. 結局, 同盟國의 軍隊가 次例대로 投降했다. 불가리아 가, 그 다음 오스만 帝國, 오스트리아 順으로 降伏했다. 오스트리아가 降伏한 같은 날, 獨逸의 (Kiel) 軍港에서는 海軍 水兵에 依한 暴動이 일어났다. 波及 效果는 엄청났는데, 곧바로 獨逸 各地에서 勞動者들이 罷業을 하여 軍警과 실랑이를 벌였다. 結局 獨逸 皇帝 빌헬름 2歲 는 帝位를 抛棄하고 네덜란드 로 亡命했다. 獨逸은 君主制를 抛棄하고 共和政으로 轉換하였으며, 1918年 11月 11日 새벽 5時 프랑스 北部 콩피에뉴의 王室 所有林內에 있는 포쉬 怨讐의 列車안에서 休戰 協定이 調印되어 聯合國과 休戰을 맺었다. 그로부터 6時間 後에 休戰 協定이 發效되어 第1次 世界 大戰은 幕을 내렸다. 이렇게 해서 約 9百萬名이 戰死하고 總 4千萬名의 死傷者를 낸 이 大戰爭은 끝이 났다.

結果 編輯

同盟國 이 聯合國에게 戰爭에 지면서 獨逸은 베르사유 條約 , 오스트리아는 생제르맹 條約 , 헝가리 트리아농 條約 , 오스만 帝國은 세브르 條約 , 불가리아는 뇌이 條約 을 맺으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과 오스만 帝國은 解體되고, 많은 領土와 人口를 잃었다. 이로 因해 발칸 半島와 中東 地方에서 많은 獨立國들이 생겨났다.

獨逸의 境遇 海外 植民地 를 모두 抛棄하였고, 本土 損失은 알자스 로렌 을 프랑스에 넘겨주고 폴란드 地域을 독립시킬 程度의 적잖은 領土를 잃었다. 또한 長期間 戰爭遂行으로 인하여 인플레이션 이 일어났고, 失職者가 續出하였다. 더욱이 베르사유 條約 으로 인한 過多한 賠償金은 第2次 世界 大戰 의 原因이 되었다.

戰爭 以後의 世界 編輯

美國과 英國, 프랑스 等地에서는 民主主義 가 發展했다. 日本은 오세아니아 의 群島에 對한 支配權을 確固히 할 수 있게 되었다.

한便, 獨逸은 베르사유 條約 으로 말미암아 反省보다 至毒한 가난과 賠償金에 對한 것에 시달렸으며 오스만 튀르크度 세브르 條約을 맺음으로써 領土가 크게 줄어들었다( 1922年 解體, 1923年 터키 共和國 樹立).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도 各各 생제르맹 條約 , 트리아농 條約 을 맺음으로써 領土가 크게 줄어들었다. 불가리아는 뇌이 條約으로 남도브루자 를 루마니아에 떼어주었다.

이탈리아는 勝戰國이었으나 聯合國에게 領土를 保障받기는커녕 冷待를 받았다. 結局 1922年 베니토 무솔리니 에 依한 파시스트 政權이 樹立된다. 이탈리아와 마찬가지로 中國 은 聯合國임에도 不拘하고 산둥半島 에 對한 利權을 돌려받지 못하였다. 우드로 윌슨 民族自決主義 原則에 따라 中央유럽의 많은 國家는 獨立하였으며, 獨立을 條件으로 英國을 도왔던 印度 는 그 約束이 霧散되자 持續的인 鬪爭 運動을 始作했다.

한便, 우드로 윌슨 美國 大統領은 民族 自決主義를 提唱하였으며, 戰爭의 防止와 世界의 平和를 위해 國際 聯盟 을 設立할 것을 提案하였다. 이로써 國際 聯盟이 設立되었으나, 정작 美國은 議會의 反對로 加入에 失敗하였다. 結局 다시 孤立의 길을 걸었다.

年表 編輯

1次 大戰의 結果와 意義, 그리고 그 影響 編輯

 
塹壕 건너기에 失敗한 탱크
  1. 美國이 第1次 世界 大戰을 民主主義 를 위한 鬪爭으로 宣言하여 國際 政治가 理念化, 道德化하기 始作했다. 理想的 集團 安全 保障 政策인 國際 聯盟 을 통해 法律的, 道德的 世界 輿論에 副應하여 平和를 求하는 時代가 到來했다.
  2. 이 때부터 總力戰 의 樣相을 띠기 始作했다(영국, 프랑스, 러시아 帝國, 獨逸 帝國). 特히 벨기에 王國 , 러시아 帝國과 獨逸 帝國은 食糧 不足이 深刻했다.
  3. 戰爭 期間 동안 맥심機關銃 (英國), 毒가스 (獨逸), 탱크 (英國), 戰鬪機 (英國, 프랑스, 獨逸), 유보트 (獨逸), 曲射砲 (오스트리아)等의 新武器가 생겨났다.
  4. 獨逸 國民들은 거의 滿場一致로 베르사유 條約 을 承認하지 않았다. 이 條約은 아돌프 히틀러 執權과 第2次 世界 大戰 勃發의 背景이 되기도 하였으며, 바이마르 共和國 이 外部로부터 强要된 體制라는 理由로 民主 政府에 對한 愛情과 意志를 갖지 못하게 하여 共和國의 生命力을 위태롭게 만든 것이나 다름없었다고 主張했다.
  5. 이탈리아의 挫折感과 背信感은 파시즘 의 發展과 베니토 무솔리니 의 執權을 可能케 하였다.
  6. 美國은 超强大國의 地位에 올랐으나, 自身이 만들었음에도 不拘하고 國際 聯盟 參與를 拒否하고 다시 孤立主義 에 빠짐으로써 强大國으로서 國際 役割에 乖離를 가져왔다. 結局 經濟 恐慌 이 생겨난다.
  7. 많은 새로운 國家들이 誕生하여 다른 國家도 國際 社會의 一員으로서 參與할 수 있는 機會를 만들었다. 民族自決主義 民族主義 가 上昇하여 20世紀 政治의 重要한 要素가 된다. 印度 , 朝鮮 等에서 獨立 運動 活潑}.
  8. 日本은 영·日 同盟 을 根據로 聯合軍 側에 加擔하여 1次 大戰期間 동안 여러利得을 보았고, 經濟 好況期를 누림으로써 大體로 滿足하였다. 第1次 世界 大戰이 勃發하자 日本은 英日 同盟 을 理由로 聯合國側에 加擔하여 參戰했다. 그 眞意는 東아시아 地域에 있어서의 日本의 地位를 더 높이고 國際的인 發言權 强化를 目的으로 한 것이었다. [124] [125] 1914年 8月 日本은 獨逸 宣戰布告 한 後, 日本 陸軍은 中國에 있던 獨逸의 租借地 산둥半島 자오저우灣 ( 칭다오 包含)을, 日本 海軍은 太平洋의 獨逸令 南洋群島를 占領하고, [126] [127] 이 地域에서의 利權을 割讓받는 것을 英國 프랑스 가 承認하는 條件으로 地中海 에 小規模 艦隊만을 派遣하는 等 獨逸과의 直接的인 戰鬪에는 消極的인 態度를 보였다. [128] 산둥半島를 占領하고 나서, 日本은 中國에 對해 滿洲와 山東半島 等에 對한 日本의 利權을 半永久化하고, 南滿洲 內몽골 一部를 日本에 租借하는 것을 要旨로 하는 等 21가지 特惠條件을 要求(1915年 1月)하였고, 中國은 이를 受容(5月)할 수 밖에 없었다. (→ 21個組 要求 ) 이와 같이 中國의 主權을 侵害하는 行爲는 5·4 運動 (1919年)과 같은 激烈한 排日(排日) 輿論에 밀려 失敗하였다. [129] 한便, 러시아 革命(1917年)에 뒤이어 일어난 러시아 內戰 (1917~22年)에서 日本은 러시아 白軍을 도와 7萬 2千餘名의 兵力을 시베리아에 派遣하였으나 敗北하였다. [130] (→ 日本의 歷史 )
  9. 中國은 1917年 에 聯合國으로 參戰했음에도 不拘하고 日本이 산둥半島 를 차지한 것에 不滿을 품었고, 사인도 하지 않고 國際 會議場에서 撤收한다. 이것은 5?4運動 과 共産主義 運動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였다.
  10. 國際 政治는 이제 유럽 에만 힘을 기울일 수 없게 되었다. 全 世界가 國際 政治의 舞臺가 되었으며, 國際 政治가 좁은 유럽에서 벗어나 全 世界化하는 契機가 되었다.
  11. 全 世界 國民의 監視 속에 平和를 維持해야 한다는 무거운 責任感을 全 世界 指導者들이 가지게 되었다. 特히, 道德的으로 國際 平和를 追求하게 되었다.
  12. 女性의 社會的 參與가 늘어났고, 民主主義가 發達하였으며, 社會構成員間의 平等에 對한 關心과 要求가 높아지게 되었다.
  13. 國際 政治에도 變化가 크게 나타나 獨逸, 러시아 等의 專制 國家들이 무너지거나 解體되었고, 유럽 國家들의 折半에 가까운 國家에서 共和政이 樹立되었다.

同盟國과 러시아의 前後 結果 編輯

獨逸 帝國 編輯

바이마르 共和國 誕生

  • 莫大한 賠償金 支拂
  • 獨逸의 一部 領土였던 폴란드 땅이 獨立하게 됨
  • 알자스-로렌: 프랑스에 倂合
  • 아프리카 植民地

- 르완다, 부룬디(벨기에 委任 統治令)
- 탄자니아(英國 委任統治領)
- 카메룬, 토고: 英國과 프랑스의 分割
- 산둥半島는 日本에 조차
- 獨逸 帝國의 太平洋 植民地는 美國과 日本이 分割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 編輯

  • 폴란드(新生國), 이탈리아에 一部 領土 割讓.
  • 유고슬라비아 王國 : 크로아티아, 체코슬로바키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로베니아가 聯合 王國으로 獨立한 後 유고슬라비아 王國 建設
  • 헝가리는 오스트리아에서 獨立한 王國이 됨, 루마니아에 一部 領土 割讓.
  • 오스트리아 自體는 오스트리아 第1共和國으로 誕生

러시아 帝國 編輯

  • 발트 3國 및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폴란드, 핀란드 獨立
  • 루마니아에 一部 領土 割讓

오스만 帝國 編輯

死傷者 編輯

獨逸, 러시아, 프랑스 順으로 犧牲者를 많이 냈다. 反對로 日本은 犧牲者를 가장 적게 냈다.

技術 編輯

이 戰爭으로 인해 科學 技術이 發展했다. 그러나 毒가스 와 같은 人類 歷史上 가장 致命的인 武器들도 開發되어 나왔다. 最初의 毒가스는 獨逸軍이 使用하였으며, 聯合軍도 같은 武器로 對應했다. 毒가스에 對한 唯一한 對應策은 兩側 모두 防毒面 外에는 없었다. 毒가스가 使用된 것은 마른 戰鬪 以來 機關銃 , 鐵條網 , 塹壕 線으로 固着化된 戰線을 뚫기 위해서였다. 탱크 도 塹壕線을 뚫기 위해 開發되었으며, 大砲 度 漸漸 大口徑化되었다. 長距離 射擊 能力을 補完하기 위해 列車砲 (獨逸의 크루프 列車가 有名하다)도 登場하였다.

技術의 改善은 前方에서만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代表的인 事例로 生理帶 를 들 수 있다. 第1次 世界 大戰은 女性의 社會 進出을 加速化시키는 契機가 되었는데, 이러한 女性을 위해 生理帶가 開發되었다.

名言 編輯

第1次 世界 大戰에서 벌어진 戰爭의 慘狀은 많은 反響을 불러 일으켰다. 獨逸 의 畫家 오토 딕스 ( 獨逸語 : Otto Dix , 1891年 ~ 1969年)는 塹壕戰의 慘狀을 그린 〈戰爭〉( 1929年 作)에서 塹壕 속에 흩어진 四肢와 흙더미에 거꾸로 박힌 屍體, 피범벅이 된 진흙탕을 描寫하였다. 何必이면 왜 저렇게 끔찍하게 描寫하였느냐는 사람들의 質問에 딕스는 이렇게 對答했다. "바로 저랬다. 나는 보았다." [132]

한便 英國 의 詩人 윌프레드 五言 ( 英語 : Wilfred Owen , 1893年-1918年)은 戰爭의 慘狀을 告發한 半戰時 《高貴한 榮譽》를 發表하였다.

募兵 포스터 編輯

美國 編輯

 
美國의 가장 有名한 募兵 포스터 “샘 아저씨는 네가 陸軍에 支援하기를 願한다.” ( 1917年 作)

美國의 歷代 身柄 募集 포스터 中 가장 有名한 것으로, 美國을 象徵하는 캐릭터인 엉클 샘 이 그려진 포스터가 있다. 아래 글句에는 “샘 아저씨는 네가 陸軍에 支援하기를 願한다.”라고 쓰여져 있다. 美國 海軍에서도 陸軍 못지않게 募兵 포스터를 많이 發行했다.

英國 編輯

 
英國의 募兵 포스터 “누가 빠졌습니까? 當身입니까?”

英國도 美國 못지않게 新兵募集 포스터를 만들었다. 英國은 獨逸보다 人口가 不足하여 未成年者들까지 徵集한 적이 있었다(주로 工夫할 意志가 없는 男學生들이 該當되었다). 實際로 유틀란트 海戰 ( 1916年 덴마크 近處의 유틀란트 灣에서 英國 海軍 獨逸 海軍 사이에서 벌어졌던 戰鬪)에 參戰한 어떤 水兵의 나이는 滿15歲였다고 한다.

  • BE READY? JOIN NOW!?: 準備가 되었습니까? 只今 參與하십시오!
  • TAKE UP THE SWORD OF JUSTICE?: 正義의 칼을 잡으십시오.
  • WHO'S ABSENT? IS IT YOU??: 누가 빠졌습니까? 當身입니까?
  • THERE'S ROOM FOR YOU ENLIST TO-DAY?: 當身이 오늘 支援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 WOMEN OF BRITAIN SAY - “GO!”?: 英國의 女性들은 말합니다. “가세요!”
  • DADDY, WHAT DID YOU DO IN THE GREAT WAR??: 아버지, 아버지는 1次 大戰 때 무엇을 하셨나요?

미디어 編輯

聯合軍이 獨逸의 防禦線을 向해 爆擊하는 모습
프랑스와 英國의 第1次 世界 大戰 時代 戰車
"The Makin's of the U.S.A."
海里 폰 틸저와 피어레스 4重奏團이 連奏. 1918年 3月 컬럼비아 레코드의 빈센트 브라이언이 錄音.
"We're All Going Calling on the Kaiser"
아서 필즈와 피어레스 4重奏團이 連奏. 1918年 5月 에디슨 레코드의 제임스 A. 브레넌이 錄音.

같이 보기 編輯

各州 編輯

內容主
  1. 美國은 파리 講和 會議 에서 條約 批准에 同意하지 않았다.
  2. 불가리아는 1915年 10月 14日에 同盟國에 合流했다.
  3. 美國은 1917年 12月 7日에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에게 선전포고했다.
  4. 오스트리아 第1共和國 은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의 承繼國家 中 하나로 考慮되었다.
  5. 美國은 聯合軍에 武器를 팔아서 美國이 마음에 안들었던독일이 유보트 潛水艦 部隊로 美國 民間船舶을 攻擊했다. 그래서 美國은 1917年 4月 6日 獨逸에게 宣戰布告 했다.
  6. 헝가리 王國 은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의 承繼國家 中 하나로 考慮되었다.
  7. 오스만 帝國은 1914年 8月 2日 獨逸과 祕密 同盟을 採決했다. 1914年 10月 29日에 同盟國으로 戰爭에 參與했다.
  8. 세브르 條約 이 聯合國과 오스만 帝國 間 戰爭을 끝낸 條約이었지만, 오스만 帝國은 이 條約을 認定하지 않았다. 터키 獨立 戰爭 以後 오스만 帝國의 承繼國家인 터키 와 聯合國 間 로잔 條約에 合意했다.
出處週
  1. “British Army statistics of the Great War” . 1914-1918.net . 2011年 12月 13日에 確認함 .  
  2. 大英 帝國과 植民地를 合한 數値이다.
  3. 프랑스 本土와 植民地를 合한 數値이다.
  4. Tucker & Roberts 2005 , 273쪽
  5. Hargrove, Julia (2010). 《Tomb of the Unknowns》 . Lorenz Educational Press. 5쪽. ISBN  978-0-7877-8592-5 . 2013年 7月 18日에 確認함 .  
  6. Karen Zeinert (2001). 《Those Extraordinary Women of World War 1》 . Twenty-First Century Books. 14쪽. ISBN  978-0-7613-1913-9 .  
  7. Eugene L. Rasor (2000). 《Winston S. Churchill: 1874?1965?; a Comprehensive Historiography and Annotated Bibliography》 . Greenwood Publishing Group. 64쪽. ISBN  978-0-313-30546-7 .  
  8. “Were they always called World War I and World War II?” . 《Ask History》 . 2013年 10月 24日에 確認함 .  
  9. Willmott 2003 , 307쪽
  10. Willmott 2003 , 10?11쪽
  11. Willmott 2003 , 15쪽
  12. Keegan 1988 , 8쪽
  13. Bade & Brown 2003 , 167?168쪽
  14. Taylor 1998 , 80?93쪽
  15. Djoki? 2003 , 24쪽
  16. Evans 2004 , 12쪽
  17. Martel 2003 , xii ff쪽
  18. “Oxford English Dictionary” . March 2012에 確認함 .   |腸= 이 無視됨 ( 도움말 )
  19. Baldwin, Elbert Francis (1914). 《The World War: How It Looks to the Nations Involved and What It Means to Us》. New York: MacMillan Company.   This book covers the war up to 20 November 1914.
  20. Shapiro & Epstein 2006 , 329쪽 citing a wire service report in The Indianapolis Star , 20 September 1914.
  21. Repington 1920
  22. Keegan 1998 , 52쪽
  23. Willmott 2003 , 21쪽
  24. Prior 1999 , 18쪽
  25. Fromkin 2004 , 94쪽
  26. Keegan 1998 , 48?49쪽
  27. Willmott 2003 , 2?23쪽
  28. Jeffrey Finestone; Robert K. Massie (1981). 《The last courts of Europe》 . Dent. 247쪽.  
  29. David James Smith (2010). 《One Morning In Sarajevo》 . Hachette UK. He was photographed on the way to the station and the photograph has been reproduced many times in books and articles, claiming to depict the arrest of Gavrilo Princip. But there is no photograph of Gavro's arrest - this photograph shows the arrest of Behr.  
  30. “European powers maintain focus despite killings in Sarajevo?? History.com This Day in History?? 6/30/1914” . History.com. 2011年 6月 2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12月 26日에 確認함 .  
  31. Willmott 2003 , 26쪽
  32. Dimitrije Djordjevi?; Richard B. Spence (1992). 《Scholar, patriot, mentor: historical essays in honor of Dimitrije Djordjevi?》 . East European Monographs. 313쪽. ISBN  978-0-88033-217-0 . Following the assassination of Franz Ferdinand in June 1914, Croats and Muslims in Sarajevo joined forces in an anti-Serb pogrom.  
  33. 《Reports Service: Southeast Europe series》 . American Universities Field Staff. 1964. 44쪽 . 2013年 12月 7日에 確認함 . ...?the assassination was followed by officially encouraged anti-Serb riots in Sarajevo?...  
  34. Daniela Gioseffi (1993). 《On Prejudice: A Global Perspective》 . Anchor Books. 246쪽. ISBN  978-0-385-46938-8 . 2013年 9月 2日에 確認함 . ...?Andric describes the "Sarajevo frenzy of hate" that erupted among Muslims, Roman Catholics, and Orthodox believers following the assassination on June 28, 1914, of Archduke Franz Ferdinand in Sarajevo?...  
  35. Andrej Mitrovi? (2007). 《Serbia's Great War, 1914?1918》 . Purdue University Press. 19쪽. ISBN  978-1-55753-477-4 . 2013年 12月 7日에 確認함 .  
  36. Tomasevich 2001 , 485쪽

    The Bosnian wartime militia (Schutzkorps), which became known for its persecution of Serbs, was overwhelmingly Muslim.

  37. John R. Schindler (2007). 《Unholy Terror: Bosnia, Al-Qa'ida, and the Rise of Global Jihad》 . Zenith Imprint. 29쪽. ISBN  978-1-61673-964-5 .  
  38. Velikonja 2003 , 141쪽
  39. Herbert Kroll (2008年 2月 28日). 《Austrian-Greek encounters over the centuries: history, diplomacy, politics, arts, economics》 . Studienverlag. 55쪽. ISBN  978-3-7065-4526-6 . 2013年 9月 1日에 確認함 . ...?arrested and interned some 5.500 prominent Serbs and sentenced to death some 460 persons, a new Schutzkorps, an auxiliary militia, widened the anti-Serb repression.  
  40. Stevenson 1996 , 12쪽
  41. Willmott 2003 , 27쪽
  42. Strachan 2003 , 68쪽
  43. Crowe, David (2001). 《The Essentials of European History: 1914 to 1935, World War I and Europe in Crisis》. Research & Education Assoc. 4?5쪽. ISBN  978-0-7386-7106-2 .  
  44. Dell, Pamela (2013). 《A World War I Timeline (Smithsonian War Timelines Series)》. Capstone. 10?12쪽. ISBN  978-1-4765-4159-4 .  
  45. Willmott 2003 , 29쪽
  46. “Daily Mirror Headlines: The Declaration of War, Published 4 August 1914” . BBC . 2010年 2月 9日에 確認함 .  
  47. Strachan 2003 , 292?296, 343?354쪽
  48. Tucker & Roberts 2005 , 172쪽
  49. John R. Schindler (2002年 4月 1日). “Disaster on the Drina: The Austro-Hungarian Army in Serbia, 1914” . Wih.sagepub.com . 2013年 3月 13日에 確認함 .  
  50. Mom?ilo Gavri? - najmlađi vojnik Prvog svetskog rata ("Ve?ernje novosti", 31 August 2013)
  51. Wenzel, Marian; Cornish, John (1980). 《Auntie Mabel's war: an account of her part in the hostilities of 1914?18》. Allen Lane. 112쪽.  
  52. 《Srpski biografski re?nik, vol II》. Budu?nost. 2004. 601쪽.  
  53. Tucker & Roberts 2005 , 376?8쪽
  54. DONKO, Wilhelm M.: "A Brief History of the Austrian Navy" epubli GmbH, Berlin, 2012, page 79
  55. Keegan 1968 , 224?232쪽
  56. Falls 1960 , 79?80쪽
  57. Farwell 1989 , 353쪽
  58. Brown 1994 , 197?198쪽
  59. Brown 1994 , 201?203쪽
  60. 《Participants from the Indian subcontinent in the First World War》 , Memorial Gates Trust , 2008年 12月 12日에 確認함  
  61. Raudzens 1990 , 424쪽
  62. Raudzens 1990 , 421?423쪽
  63. Goodspeed 1985 , 199 (footnote)쪽
  64. Michael Duffy (2009年 8月 22日). “Weapons of War: Poison Gas” . Firstworldwar.com . 2012年 7月 5日에 確認함 .  
  65. Love 1996
  66. Dupuy 1993 , 1042쪽
  67. Grant 2005 , 276쪽
  68. Lichfield, John (2006年 2月 21日). “Verdun: myths and memories of the 'lost villages' of France” . 《The Independent》. 2015年 4月 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7月 23日에 確認함 .  
  69. Harris 2008 , 271쪽
  70. Tucker & Roberts 2005 , 1221쪽
  71. Tucker & Roberts 2005 , 854쪽
  72. Keegan 1998 , 325?326쪽
  73. Strachan 2003 , 244쪽
  74. Inglis 1995 , 2쪽
  75. Humphries 2007 , 66쪽
  76. Taylor 2007 , 39?47쪽
  77. Keene 2006 , 5쪽
  78. Halpern 1995 , 293쪽
  79. Zieger 2001 , 50쪽
  80. Tucker & Roberts 2005 , 619?24쪽
  81. Sheffield, Garry, “The First Battle of the Atlantic” , 《World Wars In Depth》 (BBC) , 2009年 11月 11日에 確認함  
  82. Gilbert 2004 , 306쪽
  83. von der Porten 1969
  84. Jones 2001 , 80쪽
  85. Nova Scotia House of Assembly Committee on Veterans' Affairs (2006年 11月 9日), “Committee Hansard” , 《Hansard》, 2011年 11月 2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3月 12日에 確認함  
  86. Roger Chickering; Stig Forster; Bernd Greiner; German Historical Institute (2005), 《A world at total war: global conflict and the politics of destruction, 1937?1945》, Washington, D.C.: Cambridge University Press, 73 쪽, ISBN  0-521-83432-5  
  87. Price 1980
  88. " The Balkan Wars and World War I ". Library of Congress Country Studies .
  89. Neiberg 2005 , 54?55쪽
  90. Tucker & Roberts 2005 , 1075?6쪽
  91. Neiberg 2005 , 108?10쪽
  92. Tucker, Wood & Murphy 1999 , 120쪽
  93. N.Korsun. “The Balkan Front of the World War (in Russian)” . militera.lib.ru . 2010年 9月 27日에 確認함 .  
  94. Doughty 2005 , 491쪽
  95. The Treaty of Alliance Between Germany and Turkey 2 August 1914, Yale University
  96. Naayem, Shall This Nation Die?, p. 281, http://books.google.co.uk/books?id=hokGAQAAIAAJ&pg=PA281&dq=Agha+Petrus++Malik+Khochaba&lr=&as_brr=0&cd=1#v=onepage&q=Agha%20Petrus%20%20Malik%20Khochaba&f=false
  97. Fromkin 2001 , 119쪽
  98. Hinterhoff 1984 , 499?503쪽
  99. a b c The Encyclopedia Americana, 1920, v.28, p.403
  100. a b c d e f g (Northcote 1922, pp. 788)
  101. Sachar 1970 , 122?138쪽
  102. Gilbert 1994
  103. Hanioglu, M. Sukru (2010), 《A Brief History of the Late Ottoman Empi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0?181쪽, ISBN  978-0-691-13452-9  
  104. Page
  105. Denis Mack Smith, Modern Italy: A Political History , Univ. of Michigan Press (1997) p. 262
  106. Giuseppe Praga, Franco Luxardo. History of Dalmatia . Giardini, 1993. Pp. 281.
  107. Paul O'Brien. Mussolini in the First World War: the Journalist, the Soldier, the Fascist . Oxford, England, UK; New York, New York, USA: Berg, 2005. Pp. 17.
  108. Hickey 2003 , 60?65쪽
  109. Tucker 2005 , 585?9쪽
  110. Michael B. Barrett, Prelude to Blitzkrieg: The 1916 Austro-German Campaign in Romania (2013)
  111. “The Battle of Marasti (July 1917)” . WorldWar2.ro. 1917年 7月 22日 . 2011年 5月 8日에 確認함 .  
  112. Cyril Falls, The Great War , p. 285
  113. Bela, Kopeczi, 《Erdely tortenete》 , Akademiai Kiado  
  114. Bela, Kopeczi, 《History of Transylvania》 , Akademiai Kiado, ISBN  84-8371-020-X  
  115. Erlikman, Vadim (2004), 《Poteri narodonaseleniia v XX veke?: spravochnik》, Moscow, ISBN  5-93165-107-1  
  116. Tucker 2005 , 715쪽
  117. Meyer 2006 , 152?4, 161, 163, 175, 182쪽
  118. Smele
  119. Schindler 2003
  120. Wheeler-Bennett 1956
  121. Mawdsley 2008 , 54?55쪽
  122. Kernek 1970 , 721?766쪽
  123. Stracham (1998), p. 61
  124. 第1次 世界大戰과 日本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 圖書出版 犯한. 2004. 第1次 世界大戰이 勃發하자 日本은 영·日 同盟(英日同盟)을 理由로 聯合國側에 加擔하여 參戰했는데 그 眞意는 極東地域에 있어서의 權益 擴大와 國際的인 發言權 强化를 目的으로 한 것이었다.  
  125. 연민수 (1998). 《日本歷史》. 보고사. 246쪽. ISBN  89-86142-81-3 . 日本은 日英同盟에 根據하여 聯合軍側에 加擔하고 이해 8月 獨逸에 宣戰布告를 하였다 1) . ... 1) 參戰의 目的은 가토 他카아키(加藤高明) 外相의 發言에서 알 수 있듯이 日英同盟의 約束과 獨逸의 根據地를 아시아로부터 一掃하여 日本의 地位를 높인다는 戰略이었다.  
  126. 第1次 世界大戰과 日本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 圖書出版 犯한. 2004. 日本은 卽刻 中國 산둥省(山東省)의 獨逸 利權을 차지하고 獨逸令 南洋群島(南洋群島)를 占領했다.  
  127. 연민수 (1998). 《日本歷史》. 보고사. 246쪽. ISBN  89-86142-81-3 . 陸軍은 獨逸의 아시아 根據地인 中國의 山東半島의 敎主만(膠州灣)을, 海軍은 太平洋의 獨逸令 南洋群島를 占領하였다.  
  128. 연민수 (1998). 《日本歷史》. 보고사. 246쪽. ISBN  89-86142-81-3 . 그러나 英國이 要請한 日本軍의 유럽派兵은 이루이支持 않았고, 1917年에 大獨逸戰에서 勝利한 後에 日本이 占領한 獨逸令 南洋群島와 山東半島에서의 獨逸의 利權을 日本으로의 移讓을 英佛 兩國이 承認하는 條件으로 小艦隊를 地中海 方面에 派遣했을 뿐이었다.  
  129. 연민수 (1998). 《日本歷史》. 보고사. 246~247쪽. ISBN  89-86142-81-3 . 더욱이 世界大戰으로 유럽列强이 아시아에 눈을 돌릴 餘力이 없는 것을 본 日本은 1915年 中國의 袁世凱(袁世凱) 政權에게 中國에서의 權益廓大를 위한 21個條의 要求를 提出하였다. 中國側은 이를 쉽게 容忍하지 않았지만 日本은 最後通牒을 보내 强力하게 要求하여 大部分을 承認시켰다. 이 때문에 中國에서는 膈한 排日運動이 일어났으며 3) 列强도 日本의 이러한 行動에 疑心을 갖게 되었다. ... 3) 特히 파리講和會談이 열리던 1919年에 5?4運動이라 불리는 激烈한 排日運動이 일어났다.  
  130. 연민수 (1998). 《日本歷史》. 보고사. 247쪽. ISBN  89-86142-81-3 . 日本은 美國?英國과의 約束한 72,000名이 넘는 兵力을 派遣하여 戰費 10億엔, 死亡者 3,500名, 負傷者 2萬 名 以上의 代價를 치렀지만 革命勢力의 抵抗에 當初의 目的은 實現하지 못하였다.  
  131. 임영태, 人類이야기 現代篇 1, 아이필드, 2007, 112쪽
  132. 陳重權, 춤추는 죽음 2, 세종서적, 2005, ISBN  89-8407-138-8 ?{{ isbn }}의 變數 誤謬: 有效하지 않은 ISBN . , 276쪽

參考 文獻 編輯

參考 文獻 目錄은 第1次 世界 大戰의 서지 文書를 參照하십시오.

外部 링크 編輯

地圖 애니메이션 編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