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하나의 名節, 大보름|週刊東亞

週刊東亞 1074

..

김승용의 俗 담은 우리말

또 하나의 名節, 大보름

‘개 보름 쇠듯’

  • ‘우리말 絶對知識’ 著者 aristopica@gmail.com

    入力 2017-02-03 16:40:52

  • 글字크기 설정 닫기
    한 해의 첫 보름달이 뜨는 正月大보름은 그해 農事의 始作을 알리는 날이었습니다. 잣불 켜고 귀밝이술 마시고 부럼 깨고, 또 五穀밥 지어 먹으며 더위팔기를 하고 달집태우기에 달맞이, 豐年을 비는 다양한 行事까지, 正月 大보름은 說이나 한가위 못지않은 큰 名節이었습니다. 저도 어릴 때 五穀밥에 아홉 가지 나물을 먹고 얼굴이 새카매지도록 쥐불놀이를 하던 記憶이 납니다. 只今은 부럼과 五穀밥, 그리고 달집태우기 程度만 남아 아쉽기만 합니다.

    그런데 正月大보름엔 개에게 밥을 주지 않는 風習이 있었습니다. 아예 大보름날 하루를 굶기거나 달이 뜨는 때 저녁 한 끼만 주었지요. 이를 ‘개보름쇠기’라고 합니다. 사람들은 온終日 먹고 마시고 흥겨운데, 개는 쫄쫄 굶기만 하니 그저 凄凉한 하루입니다. 그래서 ‘개 보름 쇠듯 (한다)’이라는 俗談도 생겼습니다. 名節을 남들처럼 잘 먹고 흥겹게 보내지 못하고 쓸쓸하게 지내는 境遇 이 俗談을 씁니다.

    그런데 왜 大보름날 개를 굶겼을까요. 俗說에 따르면 大보름날 개에게 밥을 주면 개가 파리해지거나 개밥에 파리가 꾀어 개를 굶겼다고 합니다.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도 異常합니다. 굶기면 더 여위어 파리해지지 않을까요. 개밥에 파리가 들끓어 안 준다면 한겨울 빼고 노상 굶겨야 하지 않을까요. 그러니 이 俗說을 믿을 수 없을 듯합니다.

    개와 보름의 關係를 찾아보다 개에 關해 많은 것을 알게 됐는데요. 개의 祖上이 늑대高 늑대는 肉食을 합니다. 그러던 늑대가 개라는 家畜이 되며 오랜 時間에 걸쳐 雜食性으로 바뀐 것이지요. 雜食性으로 바뀌었다고 하지만 아무래도 개의 消化器官이 人間만큼 機能을 하진 못하겠지요. 개가 참외를 먹고 싼 똥에 섞여 나온 참외 씨가 아무데서 나 움튼 것을 개똥참외라고 합니다. 사람도 그렇듯, 개 亦是 참외 氏를 消化하지 못합니다. 그리고 體質에 따라 어떤 사람은 消化器官이 허약해 五穀밥을 먹으면 신물이 올라오거나 가스가 차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개에게 五穀밥은 消化不良을 일으킬 수도 있을 것입니다. 개는 消化不良에 걸리면 몸이 비쩍 마른다고 합니다.

    그래서 마른다, 여윈다, 파리해진다, 파리가 꾄다 式으로 俗說이 만들어진 게 아닐까 싶습니다. 그렇다고 개 먹이자고 五穀밥 말고 따로 밥을 지을 수도 없는 노릇이었을 테고요.



    또한 月犬相剋(月犬相剋)이란 말처럼, 東西洋을 莫論하고 개(또는 늑대)와 달은 相剋이라고 봤습니다. 달이 뜨는 밤에 개나 늑대는 우짖거든요. 世界 民譚에도 月蝕은 개나 늑대가 달을 물어서 생긴 것이라는 이야기가 傳해오고요. 그리고 달은 女性과 出産, 生産을 뜻합니다. 그래서 婦女子들이 大보름달의 精氣를 받으려 언덕에 올라 달맞이를 했고, 달의 크기로 한 해 農事를 점치기도 했습니다. 그런 所重한 날 개가 짖으면 不正이 타겠다 싶었겠지요. 그래서 일부러 개를 굶겨 짖을 기운을 빼버린 건 아니었을까요.

    개는 理由도 모른 채 굶고, 사람들은 밤이 깊도록 먹고 마시니 이처럼 凄凉한 身世도 없을 것입니다. 只今도 客地에 혼자 나와 故鄕에 갈 處地가 못 돼 집에서 하루 終日 TV를 보며 名節을 보내는 사람이 꽤 있습니다. ‘名節症候群’을 겪는 이는 속도 모르고 오히려 그런 사람들이 부럽다 합니다. 正말 그게 부러운 일일까요. 周邊은 흥청거리는데 갈 곳도, 만날 사람도 없이 혼자 보내는 寂寞함이란 어쩌면 孤獨보다 喪失感에 가까울지도 모릅니다. 周邊에 名節을 ‘개 보름 쇠듯’ 보낸 이웃이 있을 것입니다. 門 두드려 五穀밥 한 그릇, 부럼 한 줌 건네는 건 어떨까 싶습니다.


    김승용은 國語學과 古典文學을 즐기며, 特히 傳統文化 探究와 그 價値의 現代的 再發見에 깊은 關心을 갖고 있다. 俗談이 우리 言語文化 속에서 더욱 살찌고 자랄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고자 10年間 資料 蒐集과 執筆 끝에 2016年 ‘우리말 絶對知識’을 펴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