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隣村記念會
일화

葉錢을 삼킨 도련님



仁村은 어려서부터 장난이 몹시 甚하고 明朗하여 남을 잘 웃겼으며 人情이 많았다고 한다. 여름 밤이면 洞네 아이들과 함께 옷을 벗고 몸에 검정漆을 하고 참외署理를 다녔는데 옷을 입고 참외 밭을 들어가면 달빛이나 별빛에 비춰 보이기 때문에 벗은 몸에 검정漆을 하고 참외署理를 다녔던 것이다. 참새를 잡는다고 집집마다 처마 밑 구멍을 쑤셔 놓는가 하면 작대기로 대나무 밭을 두들겨 대나무줄기를 망쳐 놓기도 했다고 한다.

참새는 元來 밤눈이 어두워 대나무 밭에 몰려 앉아 잠을 자는데 작대기 찜질을 當하면 앉은 자리에서 다른 자리로 옮겨갈 뿐 멀리 날아가지 못한다. 그래서 눈먼 참새는 대나무 밑에 떨어지기 마련이다. 이렇게 洞네에 무슨 소란스런 일이 일어나면 으레 그 中에는 板石 少年이 끼어 있게 마련이었다. 키는 中키에 몸집이 작은 坪이었으나 板石(隣村의 어릴적 이름)少年은 다부진 便이었다고 한다. 씨름판이 벌어져서 아이들끼리 힘 겨루기를 하면 板石은 自己보다 큰 아이들을 番番이 들어 넘겼는데 머리가 좋아 다른 아이들보다 씨름 技術을 먼저 익혔기 때문이다.

게다가 남한테는 지기 싫어하여 힘이 달려 넘어져도 무슨 수를 쓰던 結局에는 이기고야 말았다고 한다. 智慧가 많았고 참을性과 끈氣, 게다가 勝負에 對한 남다른 執念이 있었다. 장난꾸러기 板石 少年의 智慧는 오성과 맞먹을 때가 있었다. 어느 날인가 사랑에서 工夫를 하던 板石 少年은 배가 아프다며 뒹굴기 始作했다. 집안 어른들이 놀라서 나왔다.

"왜그러니? 응? 點心 먹은게 체한 模樣이로구나. 응?"

놀란 어른들이 다가들어 몸을 흔들었다. 板石은 배가 아프다며 만지지도 못하게 하였다.

"이거참, 멀쩡하게 글工夫를 하던 녀석이 왜 이러지? 霍亂이 난 模樣이다. 어디보자. 응?"
어떤 아들인가. 代를 이을 長孫이 아프다고 뒹구니 집안 모든 사람들은 하얗게 질릴 수밖에 없었다.

"議員을 불러 오너라. 아무래도 얘가 霍亂이 난 模樣이니 士官침이나 빨리 맞아야겠다."
어머니가 廳지기에게 命했다. 그러자 少年이 多急한 소리로 외치며 손을 흔들었다.

"침이라구요?"

"응, 史觀을 맞아야 한다."

鍼이란 말에 少年은 펄쩍 뛰더니 고개를 흔들며 그게 아니라 했다.

"체한 것이 아니라 實은……실은……"

"實은 뭐야?"

"葉錢을 입에 넣고 누워서 놀다가 그걸 그만 삼켜버렸어요."

"뭐가 어째? 葉錢을 삼켰다구? 아이구 큰 일이구나. 이 일을 어쩌면 좋으냐?"

집안 사람들이 발을 동동 굴렀다.

"어머니, 내가 그 前에 들었는데 잣이나 호두를 먹으면 쇠붙이가 녹는대요."

"뭐야? 호두? 그게 正말이냐?"

"네, 그렇다고 해요."

少年의 말을 듣자 어머니가 饌房으로 달려 가더니 깊숙하게 숨겨 둔 호두 바구니를 들고 왔다.

"여기있다., 어서 먹어봐. 응?"

그러자 少年은 일어나 造淸을 찾는 것이었다. 造淸까지 가져다 주자 少年은 호두를 造淸에 찍어 한 자리에서 열 댓個를 집어 먹었다.

"괜찮아? 응?"
모두 근심스럽게 쳐다보자 少年은 한쪽 조끼 주머니에 호두를 가득 집어 넣고 멀쩡하게 일어나며 다른 조끼 주머니에 든 葉錢을 꺼내보였다.

"葉錢을 삼킨건 내 입이 아니구 바로 이 조끼 封窓이었어, 하하하"

"뭐가 어쩌고 어째? 이놈 板石아"

어른들이 불號令을 내리자 少年은 호두 든 주머니를 움켜 쥐고 大門 밖으로 달아나는 것이었다. 집안 큰일 때 쓰려고 장만해 둔 호두를 어른들 몰래 한 개 한 個 꺼내 먹었는데 어느날 갑자기 바구니째 없어졌던 것이다. 아무리 찾아봐도 깊은 곳에 숨겨둔 호두를 찾을 길이 없었다. 먹고는 싶고 그래서 그런 騷動을 피웠다는 것이다.

板石 少年은 그렇게 開口陣 장난꾼이었지만 明晳하고 글工夫에는 무척 熱心히었고, 때로는 어른스런 面이 있었다고 한다. 少年이 일곱 살 되던 해부터 父母는 아들을 위해 勳章을 請해 모셨다고 한다. 洞네 書堂을 다니게 하지 않고 獨先生을 모신 걸 보면 그만큼 집안이 넉넉해서였기도 했지만 아들에 對한 父母의 敎育熱이 남달랐음을 보여준다.

사랑은 곧 書堂이었고 學生은 單 하나, 板石 少年뿐이었는데 어느날 갑자기 學生數가 七八 名으로 불어나 訓長님을 놀라게 했다. 工夫하겠다고 온 아이들은 하나같이 남루한 入城에 버선 하나 제대로 신은 아이가 없었고 空冊 하나 들고 있는 아이가 없었다.

"板石아, 이게 어찌된 일이냐? 이 아이들은 뭐냐?"

"訓長님 밑에서 工夫할 弟子들입니다."

"弟子?"

"예. 저만 工夫하는 것보다는 여럿이서 하는게 좋잖아요? 이 아이들은 모두 가난한 집 아이들여요. 工夫를 하고 싶어두 글 稅를 못 내니 어떻게 書堂을 다녀요? 그래서 거저 배우게 해 줄 테니 우리 집으로 오자구 한거지요"

"허허 저런"

勳章도 할 말이 없는지 나무라지는 않았다. 勳章으로부터 그 말을 들은 父母도 아들이 어른스럽다고 흐뭇해 했다고 한다.

少年은 가난한 洞네 아이들에게 工夫도 시켜주고 空冊이 없는 아이들은 제 돈으로 종이를 사서 매주기도 하며 그 아이들이 工夫를 잘하면 自己 일처럼 좋아 했고 때로는 試驗을 보게 하여 自己 손으로 甲乙兵丁을 매겨서 賞을 나누어 주기도 했다고 한다.

仁村의 그 舍利보다 公益을 위해 모든 것을 베푸는 獻身的인 犧牲精神은 벌써 일곱 살 少年時節부터 드러나고 있었다.

位로가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