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寄贈館:國立中央博物館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 寄贈館 寄贈Ⅰ
    기증Ⅰ

    展示室 紹介

      • 寄贈Ⅰ실은 寄贈館의 導入部로서, 觀覽客이 寄贈의 槪念과 價値에 보다 쉽게 接近하고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마련한 空間이다. 
        ‘나눔의 價値를 發見하는 空間’이라는 主題로 새롭게 門을 연 寄贈Ⅰ실은 寄贈品 展示를 鑑賞하며 쉴 수 있는 라운지, 寄贈과 關聯된 資料와 情報를 찾아볼 수 있는 아카이브, 映像 等이 어우러진 複合空間으로 造成하였다. 
        아울러 손기정 先生이 寄贈한 그리스 투구를 集中 照明한 空間을 마련하여 先生이 투구를 寄贈하게 되기까지의 過程과 투구를 媒介로 펼쳐지는 다양한 이야기를 만날 수 있도록 하였다.


      • 展示 動映像 


      • ('기증Ⅰ실 홍보 영상'의 대체텍스트입니다.)  나눔의 가치를 발견하는 공간, 기증관  (이름) 나눔의 서재  기증품을 감상하며 쉬어가고,  기증과 관련된 정보를 자유롭게 찾아보며  (이름) 기증 정보 아카이브  (이름) 기증, 기억을 나누다 인터뷰 영상  기증의 의미와 가치를 헤아려 보는 공간  (이름) 나눔의 길  기증품에 담긴 이야기를 살펴보며 새로운 기억을 담다  (이름) 손기정 기증 그리스 투구  나눔의 가치를 발견하는 공간 함께하는 기증관 상설전시관 2층 기증Ⅰ실(209호) 개관

      • 寄贈Ⅰ失  미리보기 (1:35)

        • ('寄贈Ⅰ失 미리보기' 映像의 代替텍스트입니다.)

        • 나눔의 價値를 發見하는 空間,
        • 寄贈館

        • (이름) 나눔의 書齋

        • 寄贈品을 鑑賞하며 쉬어가고,

        • 寄贈과 關聯된 情報를
        • 자유롭게 찾아보며

        • (이름) 寄贈 情報 아카이브

        • (이름) 寄贈, 記憶을 나누다
        • 인터뷰 映像

        • 寄贈의 意味와 價値를
        • 헤아려 보는 空間

        • (이름) 나눔의 길

        • 寄贈品에 담긴 이야기를
        • 살펴보며 새로운 記憶을 담다

        • (이름) 손기정 寄贈 그리스 投球

        • 나눔의 價値를 發見하는 空間
        • 함께하는 寄贈館
        • 常設展示館 2層 寄贈Ⅰ失(209號) 開館


      • 기증관 인터뷰영상 파일최종 221218

      • 寄贈, 記憶을 나누다 (10:26)

      • ('寄贈, 記憶을 나누다'의 代替텍스트입니다.)


        寄贈, 記憶을 나누다


        寄贈

        寄贈者가 蒐集하고 所藏한 文化遺産에 對한 所有權을 博物館에 條件 없이 讓渡하는 行爲 


        文化遺産이 간직한 固有한 記憶은 어느 蒐集家의 손을 거쳐 博物館에 展示되며 그 모든 過程이 담긴 記憶을 우리에게 共有한다.


        Part 1. 蒐集家의 記憶 


        유창종 Yoo Changjong

        유금瓦當博物館長, 前 서울중앙지방검찰청 檢事長

        蓮꽃무늬 수막새 等 1,875點 寄贈


        忠州支廳에 勤務할 때인데 탑평리 七層石塔 周邊에 踏査를 갔다가 그 밭에서 蓮꽃 文樣 瓦當 破片을 주웠어요. 그런데 이 瓦當이 ‘어떻게 하나의 瓦當이 高句麗, 백제, 新羅 瓦當의 特色을 다 가졌나?’ 이런 疑問이 생기고 그 疑問이 젊은 檢事의 好奇心을 刺戟해 가지고 마치 搜査를 하듯이 原因을 캐고 工夫하다가 瓦當의 魅力에 빠진 거죠. 이게 내가 혼자 가지고 들여다볼 게 아니고 국립중앙박물관에 寄贈하기를 正말 잘했구나. 많은 사람이 이걸 보고 나와 마찬가지로 깨우침을 얻는다면 얼마나 보람 있겠나 (생각했죠). 


        윤인구 Yun Inkoo

        아나운서

        윤두수 肖像 等 3點 寄贈


        윤두수 肖像 / 유영修養館延命地圖


        제가 數年 前에 固有물을 다루는 프로그램을 進行하면서 正말 當身 宅에서 寶物처럼, 國寶처럼 所重하게 다뤘던 遺物들을 寄贈하겠다는 분들도 계셨어요. 그 遺物이 얼마나 所重한 價値를 갖고 있다는 걸 알고 제가 進行者로서 입으로 “이런 寄贈 文化는 宏壯히 所重한 것입니다. 여러 사람이 함께 共有할 수 있도록. 나만 所有하는 게 아니라” 남한테(만) 그렇게 하라는 저 自身이 좀 많이 부끄러웠던 거죠. 그런데 그 渦中에 보니까 恒常 저희 집 한쪽을 채우고 있었던 11代祖 할아버님의 初喪과 그 系灰都家 있었던 거죠. 苦悶했을 때 생각난 것은 ‘國立中央博物館밖에 없다’라는 結論을 내려서 이제 進行하게 된 거죠. 더 自矜心을 느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마크 테土 Mark Tetto

        YFM 會員·企業人·放送人

        YFM (Young Friends of the Museum) 

        젊은 經營人을 中心으로 한 文化 後援 및 親睦 모임

        日本의 어떤 컬렉터가 高麗時代의 佛龕을 가지고 있었어요. YFM에서 우리 다 한 名씩 募金해서 韓國으로 들어오게끔 하고 그다음에 博物館에 寄贈했어요. 그런 經驗은 아마 저한테 처음이었을 거예요. 고마울 程度의 反應을 보여주셔서 感動받았어요.


        김종학 Kim Chonghak

        畫家

        三層 饌卓 等 292點 寄贈


        (나는) 돈이 생기면 遺物을 샀다고. 하나둘 (모으던) 게 한 300點이 됐어요. 그래서 하루는 (국립중앙박물관) 정양모 學藝室長이 트럭을 두 臺 가지고 왔더라고. “者, 골라가시오.” 했더니 다 달래요. 內 木器가 갈 데 갔고, 우리 民族이 이런 훌륭한 木器가 있다는 걸 外國人한테도 보여주고 우리 自身한테도 보여주고 우리가 矜持를 갖도록. 


        송철 Song Cheol

        고 송성문 先生 아들


        송성문 Song Sungmoon

        敎育事業家

        大寶積經 卷59 等 101點 寄贈


        “平生 힘들게 蒐集했지만 國家에 돌려줘야 할 文化遺産이다.” 송성문


        “이건 우리 것이 아니다.” 애初부터 이건 寄贈한다고 累累이 말씀해 왔어요. 寄贈을 實行에 옮기기 며칠 前에는 장난 같지 않게 眞摯하게 물어봤어요. “그렇게 (寄贈을) 해도 되겠느냐.” 나뿐만 아니라 家族들 모두한테. “아이고, 좋지요. 다른 데도 아니고 中央博物館인데, 여러 사람이 보면 좋겠다.” 그랬죠. 다들 反對하는 사람은 없었죠. 뿌듯하고 氣分 좋았어요.


        박병래 Park Byoungrae

        醫師 

        白瓷 香盒 等 375點 寄贈 


        박노원 Park Nowon

        고 박병래 先生 딸


        執念이 剛하세요. 한 番은 冷麵집에 가니까 젓가락을 꽂아 놨는데 좋은 筆筒이더래요. 그래서 每日 가셨대요. 그러니까 그 집에서도 異常하게 여겨서 ‘異常하다. 저 손님이 맨날 筆筒을 눈毒 들인다.’ (했죠). 그래도 어떻게 해서 그걸 사셨다고 그러더라고요. 그렇게 “月給쟁이라 자잘하게 산 것이 나중에 이렇게 남들이 好感을 (느끼고) 보게 됐다.” 그러시면서 기뻐하셨어요. 


        “醫業을 天職으로 알고 살아온 50年 동안 骨董 蒐集에 趣味를 붙이지 못했더라면 내 人生은 한결 索莫했으리라고 믿는다.”

        박병래, 『陶瓷여적』(중앙일보사, 1974)


        博物館에 (遺物을) 드릴 때 돌아가시기 며칠 前에 遺物을 다 包裝해서 博物館에 다 移徙시켜 놓고 그날 저녁에 “딸을 좋은 곳으로 시집보낸 느낌이다.” 그렇게 말하고는 며칠 있다 가셨죠. 


        Part 2. 博物館의 記憶


        이건무 Yi Kunmoo

        前 국립중앙박물관長


        寄贈館 設置의 意味라고 한다면 그동안 寄贈하셨던 분들의 文化遺産 사랑에 對한 精神을 기리기 위해서 文化·知識·情報의 나눔이라는 큰 뜻이 있고 社會 構成員이 함께 博物館을 만들어 간다는 그런 意味도 있었기 때문에 寄贈館을 設置하게 되었습니다. 寄贈이라는 것은 自己 自身이 所有하고 있는 것을 남에게 주는 것입니다. 宏壯히 高貴한 일입니다. 나에게서 우리, 個人에서 社會로의 轉換입니다. 모두가 함께 그 文化遺産의 價値를 共有하자는 高貴한 뜻을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이광표 Lee Kwangpyo

        서원大學校 敎授 


        同時代에 共有하고 또 그것을 後代까지 繼續 傳承해야 하는 거죠. 그런 것들이 蓄積되면 어느 個人의 感動과 記憶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우리 社會, 우리 時代, 우리 民族의 어떤 感動과 記憶으로 이어지는 거죠. 그게 博物館이라든지 컬렉션의 鎭靜한 存在 理由인데 存在 理由를 가장 克明하게, 그리고 가장 드라마틱하게 보여주는 過程이 寄贈이다.


        博物館은 나눔, 配慮, 寄贈 이런 것이 얼마만큼 社會的으로 큰 役割을 할 수 있는 것인가에 對해서 많이 說明하고, 博物館 敎育을 통해 弘報하고 이런 일이 가장 重要한 것이 아니겠나 생각합니다.


        그런 點에서 저는 博物館에서 寄贈品을 展示하거나 活用하거나 이럴 때는 所藏者들의 來歷, 遺物의 移動 經路죠. 그게 바로 컬렉션의 過程이에요. 스토리에 담겨 있는 感動, 우리가 잘 몰랐던 ‘이런 일이 있었구나’라는 側面들을 조금 더 積極的으로 浮刻해줄 必要가 있다. 다른 遺物보다 더 (그러한) 생각이 듭니다. 


        Part 3. 우리의 記憶

        김호준 Kim Hojun

        國立中央博物館 靑年記者團


        2020年에 歲寒圖를 국립중앙박물관에 寄贈하셨던 (손창근) 先生님은 그 以前까지 數百 點의 文化遺産을 寄贈하셨는데 歲寒圖만큼은 끝까지 거의 마지막까지 가지고 계셨다고 합니다. 값을 매길 수 없는 그런 貴重한 文化遺産을 선뜻 寄贈해 주신다는 것은 宏壯히 高貴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신동훈 Shin Donghun

        성일高等學校


        이우치 이사오 井內功 Iuchi Isao

        日本人 醫師

        짐승얼굴무늬 기와 等 1,082點 寄贈 


        제가 가장 記憶에 남았던 文化遺産은 蓮꽃무늬 수막새입니다. 이걸 寄贈해주신 분이 日本人 이우치 이사오라는 분이라고 알고 있어서 누가 쉽게 할 수 있었을까? 韓國人도 쉽게 못 하는 寄贈인데 外國人이. 


        김우찬 Kim Woochan

        성일高等學校 


        寄贈은 銀河水라고 생각합니다. 별들이 모여서 아름다운 銀河水를 이루는데 寄贈館度 寄贈者들 個人의 寄贈品들이 모여서 아름다운 寄贈館을 이루는 것처럼. 


        이주환 Lee Ju Hwan

        성일高等學校


        아마 共同體이지 않을까요? 왜냐하면 사람들이 直接 마주 보지 않아도 實際로 寄贈한 物品들끼리 만나고 또한 그 寄贈이 모여서 하나의 큰 共同體를 이루면…


        김예림 Kim Yerim 

        國立中央博物館 靑年記者團


        내가 아닌 他人 그리고 우리를 위해 나의 것을 나누어준다는 點이 가장 큰 價値라고 생각합니다. 


        김진우 Kim Jinwoo

        성일高等學校


        寄贈함으로써 그 寄贈된 遺物을 많은 사람들이 보고 記憶하고 寄贈된 自身의 이름도 사람들에게 記憶될 수 있기에 記憶되는 게 가장 重要하다고 생각합니다. 


        -

        이런 博物館 같은 文化 共通 機關에 寄贈하는 것은 다른 무엇하고 比較할 수 없는 價値를 가진 것입니다. 

        博愛 精神의 發露다. 寄贈이란 남을 사랑하는 마음이다.

        이렇게 表現하고 싶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