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가 먼저 勸하는 술|新東亞

이선경의 讀書, 督書, 毒書

내가 먼저 勸하는 술

  • 이선경 | 文學評論家 doskyee@daum.net

    入力 2017-03-07 11:33:17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新(新) 술 勸하는 社會

    우리는 如前히 술 勸하는 社會에 살고 있다. 取하지 않고서는 견딜 수 없고, 함께 醉해야만 維持되는 飮酒 共同體 文化가 더 以上 露骨的으로는 强要되지 못한다. 그러나 우리 곁에는 언젠가부터 불金이라면 0칼로리인 치麥의 誘惑과 退勤길 힐링人 혼술의 堂堂함이 들어서더니, ‘冊麥’이라는 새로운 讀書 或은 飮酒 形態까지 登場했다. 冊을 보면서도 麥酒를 마시는 愛酒家라고 해야 할지, 아니면 麥酒를 마실 때조차 冊을 놓지 못하는 冊벌레라고 해야 할지. 술을 勸하는 方式은 그 類型과 理由에서 나날이 더 精巧해지고 세련돼지고 있다.

    讀書와 飮酒의 컬래버레이션까지 登場한 新(新) 술 勸하는 社會에서, 冊은 술에 對해 무엇을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 술로부터 出發한 冊이나, 冊에 登場하는 술이나, 讀者의 飮酒 欲求를 刺戟하는 物理的 컬래버레이션은 많다. 그러나 술과 冊이 化學作用을 일으키는 境遇는 드문데, 그것은 取한 以後까지 責任지는 冊이 많지 않아서다. 권여선의 小說集 ‘안녕 酒酊뱅이’가 새로운 飮酒 文化 時代에 脚光받는 것은, 무슨 술을 어떻게 마시냐보다는 取한 以後의 醜함을 통해서야 드러나는 眞實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于先 酒酊뱅이라는 말부터 생각해보자. 이 冊에 收錄된 어떤 短篇小說의 題目도 아닌, 甚至於는 小說 속에서도 거의 登場하지 않는 酒酊뱅이라는 單語는 이 冊 속 飮酒人들을 싸잡아 規定하는 말이다. 事實 飮酒人을 量과 頻度와 自制力의 强度에 따라 陽號에서 不良의 段階로 區分한다면 ‘愛酒家?술꾼 或은 週當?알코올中毒者’ 程度가 될 것이다. 이러한 飮酒 階級에 ‘酒酊뱅이’는 包含되기 힘들다. 술을 마신다고 누구나 酒酊을 부리지는 않으며, 酒酊이란 飮酒하는 姿勢와 態度의 問題라기보다 飮酒 後의 結果나 餘波에 가깝기 때문이다.



    # 飮酒仁義 酒酊(酒酊)法

    于先 ‘愛酒家’들은 主로 혼자 마신다. 그들에게는 술 그 自體의 맛 或은 술이 만들어내는 어떤 雰圍氣가 가장 重要하다. 事實 이 小說集에서 愛酒家라는 高尙한 이름으로 불릴 수 있는 人物은 거의 없는데, ‘姨母’의 主人公 姨母는 거의 唯一하게 儉素하고 節制된 生活 속에서 愛酒家의 面貌를 보여준다. 하루에 平均 5000원을 쓰는 미니멀한 삶을 追求하다가 每週 日曜日 저녁 딱 한 番만 燒酒 한 甁을 若干의 사치스러운 按酒와 즐기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런 그女도 結果的으로는 酒酊뱅이다. 人生에 單 한 番移基는 하지만 大學 時節 醉中眞談으로 告白해온 動機 男學生의 손바닥을 優雅하고도 無慘하게 담뱃불로 지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逆說的이게도 이 唯一無二의 暴力的 酒酊 經驗이 그의 60年 삶을 견디게 해준 原動力이 된다. 平生 未婚으로 살면서 家族을 經濟的으로 扶養하는 犧牲을 강요당한 被害者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他人에게 加害者가 된 瞬間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日曜日 저녁마다 敬虔한 儀式처럼 行해지는 그女의 酒酊은 그 오래된 過去를 두고두고 곱씹는 것이다. 退勤길에 혼술 없이는 歸家할 수 없는 우리 時代의 酒酊뱅이들度 어쩌면 조용하고도 殘忍한 方式으로 혼자만의 意識을 치르는 것일지도 모른다.



    한便 ‘술꾼’은 大槪 여럿이 어울려 마신다. 왁자지껄 모여서 네가 이기나 내가 이기나 孃을 겨룬다. ‘삼인행’은 離婚을 앞둔 규, 朱欄 夫婦와 그들의 親舊인 훈의 奇妙한 三角 알코올 로드트립이다. 그들의 飮酒는 徹底한 計劃下에 이루어진다. 總 다섯 끼를 먹을 수 있는 1泊 2日의 旅行에서 每 끼니에 어울리는 술과 飮食의 種類가 大衆的 口味에 맞춰 緻密하게 짜여 있다. 例를 들면 夜食으로는 地域 名物 手製버거에 麥酒가, 다음 날 모닝커피에는 위스키가, 돌아가는 길에 들르는 有名人의 署名이 櫛比한 黃太解酲국집에서는 燒酒가 말이다. 그렇다면 이 酒黨들이 모여서 어떤 酒酊을 부리는가. 當然히 이들은 對酌을 하며 싸운다. 處理되지 않는 民願에 對해, 相對方의 生活 習慣에 對해, 그 자리에 있지도 않은 第3者의 態度에 對해. 他人에 對해 根據 없는 規則이나 期待나 幻想을 만들어놓고, 그 執着이 깨질 때 마음껏 酒酊을 부린다. 特히나 이 小說의 圭를 비롯해 小說集 곳곳에는 飮酒 時 幻覺과 幻聽 症狀이 同伴되는 酒酊뱅이들이 매우 頻繁히 登場한다. 明白함에 애써 눈 돌리며, 없는 것을 알면서도 굳이 만들어낸다. 혼술 烈風에 휩쓸리는 무리가 各自의 삶에서 무언가를 外面하며 그 에너지를 飮酒에 쏟아부을 때, 各自의 方式으로 酒酊이 始作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中毒者’들의 酒酊은 때와 場所를 가리지 않는다. 또는 巧妙히 속일 줄 안다. 가장 처음에 登場하는 小說 ‘봄밤’에는 술 한 방울 못 마시는, 류머티즘을 앓는 男子와 술 없이는 못 사는 알코올中毒者 女子의 至毒한 러브스토리가 펼쳐진다. 더는 잃을 것 없는 두 사람이 한 療養病院에 머물며 사랑이라는 盲目 或은 名目으로 서로를 極限의 狀況으로 내몬다. 女子는 週期的으로 療養院을 脫出해 便宜店의 값싼 술과 按酒로 滿身瘡痍가 될 때까지 取하며, 男子는 그女를 容認하며 또 安心시키기 위해 苦痛스러운 鎭痛注射를 맞으며 견딘다. 前職 國語敎師인 女子는 金洙暎의 詩 ‘봄밤’을 고래고래 읊어가며 스스로 節制하고 있다고, 알코올 德分에 愉快한 生命感을 얻었다고, 自身과 男子를 속인다. 술을 안 마시는 男子도 술에 醉한 女子도 自己欺瞞이라는 酒酊을 부린다. 그래서 어쩌면 사랑인 것처럼 보이는 이들의 哀切한 關係도 事實은 스스로를 艱辛히 속이며 만든 주정일 수 있다는 것이 이들의 삶을 더 아슬아슬하게 만든다.

    이 위태로운 酒酊뱅이들이 正말 危險한 瞬間은 술기운이 漸漸 떨어지고 그 모든 것으로부터 깨어날 때다. 그 宿醉의 時間에 어떤 出口를 마련할 것인가. ‘봄밤’에서 引用되는 金洙暎의 同名의 市에서는 至毒한 禁斷症狀에서 벗어나려 서두르지 말라고, 唐慌하지 말라고, 赫赫한 業績을 바라지 말라고 慰勞한다. 詩人은 過飮으로 인해 災殃과 不幸과 格鬪라는 酒酊이 찾아온 것에 後悔로 節制를 다짐한다.



    # 酒酊과 宿醉를 두려워 말라

    그러나 1000年 前 李奎報는 60年 前의 金洙暎보다 率直하고 急進的이다. ‘봄 술이나 한盞下世’에는 日常的인 素材에 對한 李奎報의 생각들이 拔萃돼 있고, 題目에서 豫想할 수 있듯 術策 或은 冊術하는 高麗時代 文人의 面貌가 나타나 있다. 李奎報의 宿醉 解消法이 一貫的이지는 않다. 그러나 그러한 非一貫性이 어쩌면 우리의 宿醉 解消에 도움을 줄지도 모른다.

    그는 젊은 時節에는 過激한 酒酊을 하고도 조금의 反省이나 後悔도 하지 않았다. ‘미치지 않았다(狂辨)’에는 自身이 술에 醉해 裸體나 蓬頭亂髮을 하지도 않았으며 心神微弱 狀態도 아니었기에, 미친 것처럼 보였을지라도 “뜻은 올바른 者”였음을 强調한다. 그래서 나이가 지긋해지고 官職에 나아간 後에도 酒酊은 繼續되고, 한番은 賃金과의 술자리에서 거나하게 醉해 自身의 자리를 찾아가지 못하는 等 注射를 甚하게 부린다. 그러나 이 일로 벼슬자리가 위태로워지자 痛烈한 公式 反省文으로 다시는 술을 먹지 않겠다는 다짐을 한다.(‘다시는 술을 마시지 않겠습니다(上崔相國書)’) 하지만 人生의 末尾에 이르러 그는 다시 酒酊을 두려워하지 않고 술을 마신다. 冊의 題目으로 飜譯되기도 한 便紙글 ‘봄 술이나 한盞下世(與全履之手書)’에는 記憶을 잃을 때까지 술을 마시는 李奎報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어울려 놀던 많은 親舊가 이제 世上에 몇 남지 않았음에 對한 悲哀도 담겨 있는데. 봄기운을 빌려 술로 哀傷을 달래고자 親舊를 懷柔하는 內容이다.

    이러한 끊임없는 酒酊과 宿醉에 오히려 解答이 있을지 모른다. 世上이 내게 술을 勸하게 하기보다는, 내가 먼저 世上에 술을 勸하는 것. 그게 어렵다면 적어도 世上이 勸하는 술에 堂堂하고 뻔뻔하게 醉해주자.

    봄밤이 온다. 봄 술이나 한盞下世.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