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盧武鉉의 自殺은 버림받은 檢事의 눈에 어떻게 비칠까|신동아

映畫로 읽는 世上

盧武鉉의 自殺은 버림받은 檢事의 눈에 어떻게 비칠까

더 킹

  • 노광우 | 映畫 칼럼니스트 nkw88@hotmail.com

    入力 2017-02-28 13:39:32

  • 글字크기 설정 닫기
    2016~17年 겨울 시즌 開封돼 좋은 反應을 얻은 韓國映畫는 ‘더 킹’(한재림 演出), ‘판도라’ (박정우 演出), ‘마스터’(조의석 演出), ‘共助’(김성훈 演出) 程度다. 이들 作品은 各其 다른 장르에 屬한다. ‘더 킹’은 時代劇인 同時에 드라마, ‘판도라’는 災難映畫, ‘마스터’는 犯罪액션映畫, 그리고 ‘共助’는 南北韓의 刑事들이 共助 搜査를 펼치는 버디액션映畫다. 이렇게 비슷한 時期에 開封한 映畫들이 다양한 장르에서 作品性과 娛樂性에서 일정한 成果를 거둔 것은 오랜만이다.

    이 映畫들 中에서 特히 注目할 만한 作品은 ‘더 킹’이다. 이 映畫는 2000年代 韓國映畫에서 隆盛했던 어떤 傾向性을 이어받고 있다. 映畫를 통해 現代史의 특정한 地點을 되돌아보는 傾向性 말이다. 代表的 作品으로는 ‘薄荷沙糖’(이창동, 2000), ‘親舊’(곽경택, 2001), ‘번지 점프를 하다’(김대승, 2001), ‘클래식’(곽재용, 2003) ‘殺人의 追憶’(奉俊昊, 2003), ‘말죽거리 殘酷史’(유하, 2004), ‘孝子童 理髮師’(임찬상, 2004), ‘그때 그 사람들’(임상수, 2005), ‘그해 여름’(조근식, 2006), ‘오래된 庭園’(임상수, 2006)이 있다.

    이 映畫들은 主로 1970~80年代를 背景으로 하는데, 近代化에 對한 노스탤지어를 담고 있거나  軍事獨裁 時節의 政治的·社會的 彈壓을 다룬다. 이 흐름은 6·25戰爭과 南北 對峙를 描寫한 作品인 ‘실미도’(2003), ‘太極旗 휘날리며’(2003), ‘웰컴 투 동막골’(2005)과 더불어 2000年代 韓國映畫의 르네상스를 이끌었다.



    ‘理念’이 사라진 政治 活劇

    그러나 現代史를 다룬 2000年代 後半의 韓國映畫들은 크게 注目받지 못했다. 이는 部分的으로 主 觀客層의 世代가 바뀐 탓도 있을 것이다. 2010年代 들어 過去 回歸 作品들이 復活한다. 이들은 새로운 世代의 觀客에게 ‘새로운 過去’를 提示했다. 映畫로는 ‘建築學槪論’(이용주, 2012)李, TV 드라마로는 ‘應答하라’ 시리즈(2012, 2013, 2015)였다.



    過去 現代史 映畫와 달리 이 作品들에서는 ‘政治’가 登場하지 않는다. 代身 特定 時代에 새로 登場한 大衆文化가 主로 言及된다. 例를 들어, ‘應答하라 1997’에서 主人公은 HOT의 熱血 팬이고, ‘應答하라 1994’에서는 主要 人物이 서태지의 팬으로 設定된다. 이는 1990年代 共産圈이 沒落하면서 韓國 社會에서 脫理念化 現象이 浮刻된 點과 맞물린다. 學生運動이 한창이던 1988年을 舞臺로 한 ‘應答하라 1988’에서는 一部 登場人物이 運動圈 學生으로 그려진다.

    2010年代에는 이렇게 政治·理念 問題엔 距離를 두는 代身 政治를 스릴러나 犯罪와 結合시키는 새로운 類型의 映畫들이 나타난다. ‘特搜本’(황병국, 2011), ‘더 테러 라이브’(김병우, 2013), ‘新世界’(박훈정, 2013), ‘베테랑’(류승완, 2015), ‘內部者들’(우민호, 2015), ‘阿修羅’(金性洙, 2016) 같은 作品이 그 例다. 이 作品들에서는 公權力과 엘리트가 道德的으로 墮落하고 法的으로 腐敗한 모습으로 登場한다.



    檢事의 墮落과 大選 勝利

    ‘더 킹’도 이러한 흐름과 어느 程度 脈을 같이한다. 이 映畫에서 1980年代 木浦의 양아치 박명훈(정성모 分)의 高校生 아들 박태수(조인성 분)는 有名한 싸움꾼이 됐지만 집에 찾아온 檢事 앞에 아버지가 쩔쩔매는 모습을 보고는 주먹이 아니라 檢事가 眞짜 權力을 쥐고 있음을 깨닫고 工夫를 하게 된다. 박태수는 서울對 法大에 들어가고 司法考試에 合格해 檢事가 되지만 期待와 달리 每日 자잘한 事件들을 處理하는 지루한 生活을 反復한다. 그러던 어느 날 박태수는 女學生을 性醜行한 體育敎師를 起訴하지 못한다. 그 敎師가 地域 維持의 아들이자 檢察 幹部 한강식(정우성 分)과 親分이 있었기 때문이다. 박태수는 法大 先輩이자 漢江式의 部下인 양동철(배성우 分)李 性醜行 事件을 묻어두고 힘 있는 戰略部로 들어오라는 提議를 뿌리치지 못한다.  

    박태수는 起訴를 抛棄하는 代身, 戰略部에서 한강식과 굵직한 事件들을 다루면서 權力의 맛을 본다. 映畫는 政權이 바뀌어도 檢察이 늘 權力의 道具로 기능하면서 組織暴力輩와도 結託해 스스로 權力과 富를 누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한강식은 木浦의 들개파를 봐주고 들개파는 한강식에게 上納한다. 들個派의 一員이자 박태수의 高校 時節 라이벌인 최두일(류준열 分)은 들個派의 江南支部를 맡아 勢力을 키운다. 映畫는 한강식과 박태수가 휘두르는 檢察 權力과 들개波와 최두일이 휘두르는 陰地의 暴力을 對比시킨다.

    映畫는 박태수의 1人稱 내레이션으로 進行되고 時代의 흐름은 박태수의 時點에서 焦點이 맞춰진다. 박태수가 아내 임상희(김아중 분)를 만나는 場面은 빠르게 進行되며 多少 코믹하게 다루어진다. 이렇게 劇의 흐름上 重要하지 않은 場面을 省略하면서 코믹하게 다루는 技法은 마틴 스콜세지의 映畫들에서도 發見된다. 마틴 스콜세지는 ‘좋은 親舊들’(1990), ‘카지노’(1995), ‘울프 오브 더 월 스트리트’(2013)에서 이런 技法을 使用해 美國 資本主義의 浮沈과 主人公의 興亡盛衰를 連結했다.



    支援하되 干涉하지 않는

    ‘더 킹’은 박태수의 人生 고비마다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盧武鉉, 李明博, 朴槿惠 大統領의 演說 場面이나 大選 勝利 場面을 揷入함으로써 그의 興亡盛衰와 政治權力의 變化에 따른 函數關係를 分明히 드러낸다. 박태수는 한강식과 양동철에 依해 버림받고 瀆職 事件에 휘말려 地方으로 左遷되고, 親舊 최두일은 들개派에게 殺害된다. 박태수는 那落으로 떨어져 술에 醉해 쓰러진다. 그런 그의 눈에 盧武鉉 前 大統領의 自殺을 傳하는 TV 뉴스가 비친다. 盧武鉉의 自殺은 버림받은 박태수의 處地와 同一視된다. 이 映畫는 政治的 事件에 關한 TV 뉴스를 權力 近處에 갔다가 墜落하는 박태수의 處地를 빗대기 위해 效果的으로 揷入한다. 映畫는 實際의 政治的 事件을 直接 言及하지 않지만 박태수가 한강식을 잡기 위해 政治에 投身하는 場面을 보여준다.

    이 映畫는 최순실 게이트로 大選 局面이 일찍 展開되고 있는 요즘의 雰圍氣와 잘 맞물린다. 2012年 大選 때에도 ‘남영동 1985’(정지영 演出)와 ‘26年’(조근현, 2012)처럼 政治를 다룬 映畫가 나왔다. 大選을 맞아 映畫는 政治를 諷刺하고 嘲弄할 수 있는 自由를 누리는 것 같다. 勿論 이렇게 大選 政局에서만 政治 드라마가 登場하는 것은 아쉬운 일이다.  政治 諷刺는 누가 政權을 잡든 充分히 保障될 必要가 있다. 韓國에서 世界가 注目하는 酬酌이 나온 理由는 映畫를 통해 社會的 發言을 하는 表現의 自由가 保障됐기 때문이다. 政權은 ‘支援하되 干涉하지 않는 原則’을 지켜야 한다.



    노광우

    ● 1969年 서울 出生
    ● 美國 서던일리노이대 博士(映畫學)
    ● 고려대 情報文化硏究所 硏究員
    ● 論文 : ‘Dark side of modernization’ 外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